Reference_______☆/☆Business☆

스타마케팅의 범위

그♥남자♡♬ 2007. 4. 18. 13:42
우리나라의 스타마케팅의 경우 TV의 극중장면에 특정제품을 배치하여 시청자에게 노출시키는 간접적으로 브랜드(제품)을 홍보하던 ‘PPL(Product Placement)’의 개념과 의류브랜드 이미지와 맞는 연예인에게 자사의류를 협찬해서 구전효과를 노리는 ‘연예인 의상협찬’의 개념이 합쳐지면서 파생된 것으로 보여진다. 미국 등의 스타마케팅은 관련업 협업체제 및 단체등의 조직적인 활동으로 스타마케팅의 법위를 스타상품에 국한하지 않고 스타의 전반적인 마케팅을 포함하고 있다

*스타매니지먼트
-스타발굴
-스타키우기 및 홍보
-출연 섭외 스폰 협찬

*스타상품의 판매
-초상권
-음반 등 저작권
-화보집
-캐리커쳐
-브로마이드
-캐릭터상품

*공연 행사
-공연
-연극
-pen싸인회, 축제 등 행사참여

*메체마케팅
-PPL

*영상산업
-드라마(영화) 제작참여

*프로모션
-PC통신의 연예관련 IP사업
-음성사서함
-스타 의상판매 등
-SP & 이벤트

*스타공익
-스타공익연계마케팅
-천사표마케팅
-공익단체 홍보대사
-스타 도네이션
-출연료 ?% 단체 기부 등 기부

이런 스타마케팅은 기업 측면에서 생각하면 스타와 브랜드 그리고 고객간의 상호작용으로 형성되는데 브랜드는 스타에게 제품협찬과 트렌드 계약을, 스타는 브랜드에게 방송출연과 각종 홍보활동, 고객화, 모델화 시켜주고, 또한 스타와 고객간에는 추종과 모방, 동일시에 대해 유행이나 희망을, 브랜드와 고객간에는 스타에 대한 대리충족과 다양한 판촉행사를 통해, 브랜드 로열티 구매까지의 상호작용이 있음으로써 스타마케팅의 효과가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