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 11. 14. 13:59ㆍReference_______☆/☆ETC☆
Ⅰ Composition of Medical Terminology
[ Prefixis - 접두사 ]
1. 부정 및 긍정, 혹은 동일 및 반대의 접두사
Word part |
Definition(정의) |
Example |
a-, an-(G) |
without 없는, 결핍된 |
․aphagia[əféidʒə] (not to eat) : 연하불능증 ․aphonia[eifóunjə] (without voice) : 발성불능증, 무성 ․apnea[əpníə] (not to breath) : 무호흡 ․amenorrhea[eimenərí:ə] (not month to flow) : 무월경, 월경결여 ․anorexia[ænouréksiə] (not appetite) : 식욕부진 |
in-, ein-(L) |
not, opposite of 없는, 반대의 |
․insomnia[insꐁmniə] (not sleep): 불면증 ․imbalance(not having two scales) : 불균형, 불평형, 평형실조 |
counter-, contra-(L) |
against, opposite 반대의 |
․contraindication (against to make known) : 금기, 배합금기(약물 복용 등에서) - cf) indication : 적응증 ․counteraction : 방해, 저항, 반작용 |
ant-, anti-(G) |
against 반대의 |
․antibody : 항체 ․antitoxin : 항독소 ․antivenom : 해독제 - cf) antivenin, -venene : 항사독소 |
con-, co-, com-(L), syn-(G) |
with 모두, 함께 |
․congenital : 선천적인 ․cooperation : 협력 ․collateral (together with side) : 부행의, 측부의 ․synthesis[sinɵisis] (to put together) : 합성 ․synergy (to work) : 상승작용, 상협작용, 협력작용 |
homo-(L), iso-(G) |
equal 같은, 동등한 |
․homograft(=allograft) (other stylus) : 동종이식 ․homosexual : 동성의 ․homozygote (same yoke) : 동형접합체 ․isoelectric : 등전(等電)의 |
hetero-(L), allo-(G) |
different 다른 |
․heterozygote : 이형(종)접합체 ․heterograft(=xenograft): 이종이식 ․allograft : 동종이지만 유전적으로 다른 두 개체간의 조직 이식 ․allergy : 앨러지, 과민증 ․allele : 대립유전자, 대립인자 |
2. 방향과 장소, 시간의 접두사
Word part |
Definition |
Example |
antero-, anterior-(L) anter- |
foremost 앞, 앞의, 전방의, 복측의 |
․anteroposterior : 전후의 ․anteversion : 전경(前傾) - 중앙선에서 멀리 떨어진 축에서 앞으로 기울어진, 기관의 비정상적인 위치. |
postero-, posterior-(L) |
behind 후방의, 후의, 뒤의, 등쪽의 |
․posteroanterior(PA) [chest PA] (coming after before) : 전후의 |
supero-, superior-(L) |
higher 위의, 보다 높은, 보다 나은, 양질의 |
․superstition : 미신 ․superiority : 우월, 우위, 우세 등 |
infero-, inferior-(L) |
lower 밑에, 아래쪽의 |
․inferosuperior |
ventro-, ventral(L) ventri- |
belly 복측의, 몸의 앞쪽으로 |
․ventromedial : 복내측의 ․ventrodorsal |
dorso-, dorsal(L) |
the back 배측의, 등쪽의, 뒤쪽의 |
․dorsolumbar : 배요골부의 ․dorsolateral : 측배의, 등외측쪽 |
cephalo-, cephalic(G) cephal- |
머리쪽, 두부 |
․cephalad position : 태아의 위치 - cf) cephalad (head) : 머리쪽으로, 또는 끝이나 꼬리로부터 멀리 떨어진 ․cephalosporin[sèfəlouspɔ:rin] : 세팔로스포린. - 미생물 Cephalosporium falciforme가 만든 반합성 화합 물질 의 항생제. 생선의 머리에서 추출. |
intra-(L) |
within 내부의 |
․intravenous(I.V.) : 정맥의 ․intradermal (within skin) : 피내의 ․intramuscualr(I.M.) (within muscle) : 근육내의 |
endo-, en-(G) end-, ent-, ento- |
in 안쪽의, 내재의 |
․endoderm (skin) : 내배엽 ․endoscope : 내시경 ․endothelial[endouɵéliəl] (within nipple) : 내피의 |
exter-, extra-(L) extro- |
이외의, 이상으로 |
․extracellular (storeroom) : 세포외의 ․extraperitoneal[ekstrəpèrətɚní:əl] (near, around to stretch) : 복막외의, 복강 밖에서 일어나는 |
medio-, medial(L) mesial, meso- |
middle 신체의 중앙을 향한, 중앙선상에 놓인 |
․mesoderm : 중배엽 ․mediolateral |
later-, lateral(L) |
side 측면의, 가쪽(외측)의 |
․lateroflexion : 외측굴곡 ․collateral : 측부의 |
amphi-(G), ambi-(L) amph-, ampho- ambo-, amb- |
both sides 양측의, 쌍의, 이중의 |
․amphitheater : 이중 수술실 - cf) theater : 수술실, 강당 ․ambivalent ( both strength) : 양가성의, 양 방향성의 - 두 반대 방향에 대해 동등한 힘을 가진 |
inter-(L) |
between 사이의 |
․intercostal (between ribs) : 늑간의 ․interdigital : 손가락 사이의 |
trans-(L) |
though 통해서, 넘어서 |
․transposition : 전위, 전치, 착위증 ․transdate |
ab-(L), apo-(G) abs- |
from, away from, off ~로부터 |
․abnormal : 비정상적인, 이상한 ․abduction : 외전 ․apoprotein : 아포단백질 |
circum-(L), peri-(G) |
around 주위의 |
․circumcision (around to cut) : 환상절개법, 포경수술 ․peripheral : 말초의 |
per-(L), dia-(G) |
~의 전체에 걸쳐, 완전히 ~을 가로질러, ~를 해내는 |
․perforation ․diagnosis[dꐃꐅəgnóusis] (knowledge) : 진단(법), 감별 |
pre-(G), ante- |
before 전의, 앞의 |
․preoperation : 수술전 ․prognosis : 예후 ․antenatal : 출산전 - cf) natal : 낳는, 출산하는 |
retro-(L) |
back 후방의, 역방의 |
․retroversion (to turn) : 후경증 ․retroperitoneal (around to stretch) : 복막후의 ․retrograde (step) : 역행의, 퇴행의 - cf) retrograde amnesia : 역행성 기억상실증, 역행성 건망증 |
infra-(L) |
beneath 고정된, 구성된, 바로 아래에 일어나는 |
․infrasternal : 흉골하의 ․infraclavicular : 쇄골하의 |
supra-(L) |
above, on 바로 위나 위, 초월하여, 앞에 |
․supracondylar fracture : 과상골절 |
3. 시간과 속도의 접두사
chro-(G) |
|
․chronic(=chronical) (time) : 만성의 |
acutus-(L) |
sharp 예리한, 격심한 |
․acuta, acute |
tachy-(G) |
fast 급속의 |
․tachycardia (fast heart) : 빈맥 ․tachypnea (breathing) : 빈호흡 |
brady-(G) |
slow 느린, 무딘 |
․bradycardia (slow heart) : 서맥 |
4. 수 및 수량의 접두사
semi-(L), hemi-(G) |
half 반의 |
․semicoma : 반혼수상태 ․hemiplegia (stroke) : 편마비, 반측마비 ․hemiparesis (to be palsied) : 편측부전마비 ․hemisphere (sphere) : 반구 |
pan-(G) |
all 전부, 범, 모두 |
․panperitonits(panperi.) : 전복막염 ․pancytopenia (cell poverty) : 범적혈구감소증 |
poly-(G), multi-(L) |
many, much 많은, 다량(다수)의 |
․polyuria (urine : 소년, 뇨) : 다뇨증 ․polydipsia (thirst) : 다음다갈증, 번갈다음증 ․polynuclear : 다핵의 ․multipara (to bear) : 경산부(생존 가능한 태아를 1회 이상 분만 한 여성. pluripara라고도 함) - cf) para : 임산부 ․multivitamin |
oligo-(G) |
few, a few 적은, 거의 없는 |
․oligouria(oliguria) : 핍뇨(24시간 동안 요배설량이 500mL 미만 으로서 대사 과정의 노폐물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없다. ․oligomenorrhea[àligoumenərí:ə] : 월경과소증,(비정상적으로 월경 량이 적거나 감소한 것) |
hypo-(G) |
under 아래에, 밑에, 부족한 |
․hypotension : 저혈압, 긴장저하증 ․hypoglycemia(=hyopglycaemia) : 저혈당증, 혈당감소증 |
hyper-(G) |
over 과다의 |
․hypertension : 고혈압 ․hypertrophy : 비후, 비대 |
micro-(G) |
very small 작은 |
․microscope : 현미경 ․microsurgery : 미세외과, 현미외과(현미경 아래에서 미세조직 구조를 절개, 조작하는 수술 |
macro-(G) |
big, huge 큰, 비정상적으로 큰 |
․macrocyte : 대적혈구(직경이 크고 성숙된 비정상적 적혈구) ․macrophagia : 대식세포 - cf) -phagia, -phag(e), -phagy : 먹거나 소비하는 |
mega-(G) megalo-, mego- |
very big, huge 거대한, 커다란 |
․hepatomegaly : 간비대, 간종대 ․cardiomegaly : 심장비대 ․splenomegaly : 비장종대 ․megacolon : 거대결장 |
ultra-(L) |
above, excess 범위를 넘어, 어떤 한계를 넘어 |
․ultrasonogram(USG) : 초음파검사법 ․ultrastructure : 초미세구조 ․ultraviolet(UV) : 자외선의, 자외선 |
uni-, mono-(G) |
one side, a 한쪽의, 단일의, 하나의 |
․monocyte : 단구, 단핵구, 단핵세포 ․unilateral : 편측비후, 편측성의, 일측성의, 한쪽만의 |
nuli-(G) |
not ~하지 않는 |
․nulipara : 미경산부(생존할수 있는 아이를 출산하지 않은 여성) |
bi-(L), di-(G) |
two 두 개의 |
․bipolar : 양극성의 ․biceps : 이두근 (ex : biceps brichii) ․diversion : 기분전환 ․bifurcation : 분기, 갈림, 분지 |
tri-(L,G) |
three 세 개의 |
․triceps : 삼두근 ․tripod sign : 삼각대(3개의 다리(발)을 가지고 있는 것) ․triad : 삼징후(3개의 요소) ․triple : 삼중의 |
quadri-(L), tetra-(G) |
four 네 개의 |
․quadriceps : 사두근 (ex : quadriceps femoris) ․quadriplegia : 사지마비(quad) ․quartet : 4중주, 4중창 |
chromo-(G) |
color 색깔의 |
․chromosome : 염색체 ․chromatography : 크로마토그래피 |
leuko-(G) |
white 백색의 |
․leukocyte : 백혈구 ․leukimia :백혈병 ․interleukins : 인터루킨(림프구․단핵 백혈구에서 생산․분비되 어 면역 응답에 관여하는 사이토킨 중 하나) |
erythro-(G) |
red 적색의 |
․erythrocyte : 적혈구 ․erythema : 홍반 ․erythromycin 에리트로마이신(항박테리아성 항생제) |
cyno-(G) |
blue 청색의 |
․cyanosis : 청색증 ․cyanocobalamin : 시안코발라민. 비타민 B12의 흔한 제제형 |
xantho-, cirrho-(G) |
yellow 황색의 |
․xanthoma : 황색종 ․xantheloma : 안검황색종(안검(눈두덩이)에 발생하는 황색반점) ․liver cirrhosis : 간경변증(간엽이 섬유조직으로 덮이는 간의 만성 퇴행성 질환) |
polio-(G) |
gray 회백질의 |
․poliomyelitis : 소아마비, 폴리오, 회백질척수염 |
melano-(G) |
black 검은 |
․melanocyte 멜라닌 형성 세포 ․melanoma : 흑색종(암의 일종) |
6. 기타 사용되는 접두사
cryo-(L) |
cold 차가운 |
․cryosurgery : 냉동외과 수술, 한랭 수술 ․cryotherapy : 냉동요법, 한랭요법 |
thermo-(L), calo-(G) |
hot 뜨거운 |
․diathermy : 투열요법 ․thermometer : 온도계 ․calory : 칼로리(열량단위) |
malac-(G) |
soft 부드러운 |
․chondromalacia : 연골연화증 ․osteromalacia : 골연화증 |
sclero-(G) |
hard 딱딱한 |
․arteriosclerosis : 동맥경화증(동맥벽의 비후․탄력손실․석회화 가 특징인 흔한 동맥질환) ․atheroclerosis : 죽상(동맥)경화증(플라크에 의한 동맥질환) ․dermatosclerosis : 피부경화증, 경피증 |
dys-(G) |
not good 좋지 않은, 곤란한 |
․dysuria : 배뇨곤란 ․dyspnea(=dyspnoea) : 호흡곤란 ․dyspepsia : 소화불량 |
mal-(L) |
wrong 잘못된 |
․malnutrition : 영양불량, 영양장애 ․malfunction : 기능부전 ․malpractice : 의료과오, 부정의료 ․malunion : 부전유합, 불량유합(골절골편이나 다른 조직의 부정 위유합) |
pseudo-(G) |
unreal 가짜의 |
․pseudocyesis : 가상임신 ․pseudocyst : 가성포, 가낭포(내점막이 없는 가스나 액체를 포 함하고 있는 공간이나 강) ․pseudomembrane : 가성막, 위막 |
ortho-(G) |
right, straight 곧은, 바른, 정형의 |
․orthopedics : 정형외과학 ․orthoposition : 정형자세 ․orthopnea : 기좌호흡(숨을 깊게 또는 편하게 쉬기 위해서는 앉 거나 서있어야만 하는 비정상적인 상태) |
neo-(G) |
new 새로운 |
․neonate : 신생아 ․neoplasm(=tumor) : 산생물종양(양성 또는 악성의 새로운 조 직의 비정상적 성장) |
crypto-(G) |
hiden 숨은 |
․cryptorchidism : 고환정체, 잠복고환증(고환 중 하나나 2개 모 두가 음낭으로 내려오지 못해 복부나 서혜부 에 잠재해 있는 발달상의 결함) ․cryptogenic : 잠재성의, 특발성의(원인 모를 질병과 관련된) |
ankylo-(G) |
stiff 굳은 |
․ankylosing spondylitis : 강직성 척추염 ․ankylosis of joint : 관절강직 |
[ Suffixes - 접미사 ]
1. 병리적 상태를 나타내는 명사형 접미사
-sis, -osis, -asis, -esis(G) |
활동, 과정, 상태, 결과를 뜻하는 접미사 |
․hemolysis : 용혈(현상) ․analysis : 분석 ․diagnosis : 진단법, 감별 - pl) diagnoses ․prognosis : 예후 ․hydronephrosis : 수신증(요로폐색으로 배뇨하지 못한 소변의 축적에 의해 신우, 신배의 팽만이 일어난 것) - cf) hydr(o)- : 물의, 수소의 - cf) nephro- : 신장의 ․bronchiectasis : 기관지확장증 ․hematemesis : 토혈증 ․pseudocyesis : 가상임신 ․nephrolithiasis : 신절석증, 신석증 - cf) lith : ‘결석’을 뜻하는 접미사 |
-ism(G) |
상태의, 습관의, 이론의 |
․hyperthyroidism : 갑상선(기능)항진(증) ․adrenalism : 부신기능항진 |
-oma(G) |
종양을 뜻하는 접미사 |
․adenoma : 선종 - aden(o)- : ‘선’을 뜻하는 접두사 ․fibroma : 섬유종 ․carcinoma : 암종(악성 상피세포 신생물) - carcin(o)- : ‘암’을 뜻하는 연결형 ․sarcoma : 육종(연조직의 악성 신생물) - cf) -sarcoma : '결합조직의 악성 종양‘을 뜻하는 연결형 |
2. 증상 및 징후(symptoms and signs)를 나타내는 접미사
-algia(G) -algy |
아픈, 고통스러운 |
․neuralgia : 신경통 ․myalgia : 근육통 - cf) my(o)- : ‘근육’을 뜻하는 접두사 |
-ptosis(G) |
‘어떤 기관’, ‘그 일부의 하수’를 뜻하는 접미사 |
․gastroptosis : 위하수증 - cf) ptosis : 안검하수(한쪽 또는 양쪽 상안검이 아래로 처져 있는 비정상적인 상태) ․blepharoptosis - cf) blephr(o)- : '안검‘, ’속눈썹‘을 뜻하는 연결형 |
-cele(G) |
‘탈장이나 부종과 관계된’이란 뜻의 접미사 |
․cystocele : 방광류(방광이 질벽을 통하여 돌출 또는 탈장된 것, 방광이 작아져 압력이 커지지만 배출이 자유롭지 못 해 한 부분이 튀어나옴.) ․hematocele : 혈낭종, 음낭혈류, 음낭혈종 |
-itis(G) |
‘어떤 특정한 기관의 염증’을 뜻하는 접미사 |
․neuritis : 신경염 ․nephritis : 신장염 ․otitis media : 중이염 ․gastritis : 위염 |
-penia(G) |
‘결핍’을 뜻하는 접미사 감소증 |
․leukocytopenia (=leukopenia, leucopenia) : 백혈구감소증 ․erythrocytopenia : 적혈구감소증 ․pancytopenia : 범혈구감소증 - cf) pan- : '전부‘, 범’, ‘모두’를 뜻하는 연결형 |
-pathy(G) |
'질병‘. ’고통‘을 뜻하는 접미사 |
․encephalopathy : 뇌질환 ․hepatopathy : 간질환 ․nephropathy : 신장질환 |
-stenosis(G) |
‘좁아지거나 수축됨’을 뜻하는 접미사, 협착 |
․mitral stenosis (=mitral valve stenosis) : 승모판협착증 - cf) mitral : 승모의, 심장의 승모판, - cf) mitral valve : 승모판(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의 이첨판) ․pyloric stenosis : 유문협착증 - cf) pyloric : 유문의 ․cardiac stenosis : 심장협착증 - cf) cardiac : ‘심장’을 뜻하는 연결형. 심장성의, 분문의 |
-staxis(G) |
|
․epistaxis : 코피, 비출혈 |
-stasis(G) -stasia |
‘설 수 있는 능력’을 뜻하는 접미사 |
․hemostasis : 지혈 - cf) stasis : 울체(체내의 혈관을 통한 액체의 정상적인 흐름에 서행이나 정지가 되는 장애) ․circulatory stasis : 혈액 순환 정체(증상 : 몸이 붓는다) |
-emia(G) -aemia, -hemia, -haemia |
'혈액 상태‘를 뜻하는 접미사 |
․anemia : 빈혈 ․hyperglycemia : 고혈당증 ․leukemia : 백혈병 |
-esthesia(G) |
지각, 감각 민감성 또는 느낌, 인지 |
․anesthesia : 무감각(증), 지각마비 ․hyperesthesia : 지각과민, 감각과민 ․paresthesia : 감각이상, 지각이상(감각저하, 저림, 또는 핀이나 주사 바늘로 찌르는 듯한 느낌을 경험하는 주관 적 감각) - cf) para- : 유사한, ~을 넘어서, 부수적인, 부상의 |
-osmia(G) |
‘후각(의 상태)’을 뜻하는 접미사 |
․osmidrosis |
-(r)rhea(G) -(r)rhoea, -(r)rhoeica |
‘유량’, ‘유출’을 뜻하는 접미사 |
․diarrhea : 설사 ․rhinorrhea : 비루, 콧물 ․menorrhea : 월경(대하) - 자궁에서 나오는 혈액과 조직의 정상 분비물 |
-(r)rhage(G) |
'파열‘, ’과잉유량‘을 뜻하는 접미사 |
․hemorrhage : 출혈 ․menorrhagia : 월경과다 |
-tomy(G) |
'절개‘를 뜻하는 접미사 |
․gastrotomy : 위절개술 ․nephrotomy : 신장절개술 |
-ectomy(G) |
‘절제’를 뜻하는 접미사 |
․gastrectomy : 위절제술 ․nephrectomy : 신장절제술 |
-stomy(G) |
‘외과적 개구’를 뜻하는 연결형(절개 후 도구를 끼울 때) |
․gastrostomy : 위루술 ․mephrostomy : 신장루술 |
-plasty(G) |
‘신체 특정 부위에 대한 재건 및 수술적 교정’을 뜻하는 접미사 |
․rhinoplasty : 비형성술, 코성형술 ․blepharoplasty : 안검성형술(brow lift) ․osteoplaysty : 골성형술(골조직에 시행) ․tenoplasty : 건형성술 |
-centesis(G) |
강에 천공 또는 천자하는 것 |
․paracentesis : 천자술(체내의 공동이나 강에서 체액을 뽑는 것) ․thoracentesis (=thoracocentesis) : 흉강천자술, 흉막천자술 |
-desis(G) |
|
․arthrodesis (=ankylosis) : 강직 (외과적으로 관절을 고정시키 는 것은 통증을 감소시키거나지지 대를 제공하기 위함) |
-gram(G) -gramme |
'그림‘, ’기록‘을 뜻하는 연결형 |
․electrocardiogram : 심전도(EKG, ECG) (심전도 검사에서 나타 나는 그래프의 기록) ․fistulogram - cf) fistula : 누출관, 누관, 누공 ․arthrogram : 관절조영상 ․bronchogram : 기관지조영상 |
-graph(G) |
그래프 |
․electromyograph : 심전도 그래프 |
-scope(G) |
‘관찰용 기구’, ‘진찰’을 뜻하는 접미사 |
․microscope : 현미경 ․endoscope : 내시경 |
-opsy(G), |
조직 검사방법 |
․biopsy : 생검, 생체검사법 ․autopsy : 부검, 사체해부, 검시 |
-tome(G) |
‘절단하는 기계’ 또는 ‘분절의 뜻'을 뜻하는 연결형 |
․dermatome : 피판, 피부분절, 피부도, 피부절제기 ․microtome : 마이크로톰, 현미경절편도 |
5. 명사의 단수 및 복수의 접미사
single |
pl |
Example |
-ma |
-mata |
․adenoma → adenomata : 선종 ․xanthoma → xanthomata : 황색종 |
-on |
-a |
․ganglion → ganglia : 신경절 |
-us |
-i |
․calculus → calculi : 결석 |
-um |
-a |
․atrium → atria : 심방, 방 |
-a |
-ae |
․bursa → bursae : 윤활주머니, 활액낭 및 활액초, 점액낭 |
-is |
-es |
․pelvis → pelves : 골반 |
-ix |
-ces |
․appendix → appendixes, appendices (=appendage): 수, 부속, 충수(주 구조물에 부착된 보조기관) |
-ex |
-ices |
․cortex → cortices : 피질, 피층 |
-ax |
-aces |
․thorax → thoraxes, thoraces : 흉곽, 가슴(chest) |
Ⅱ Structural Organization of the Body[신체의 구조]
[Structural Organization of the Body]
Word part |
Definition |
보충설명 | |
cell membrane(세포막) |
the structure surrounding and protectiong the cell |
double-layer membrane(이중막) | |
nucleus(핵) |
the structure that contains genetic material and controls the cell activity |
| |
cytoplasm(세포질) |
mitochondria(사립체) |
carrys on the process of oxidation of energy |
|
endoplasmic reticulum(내형질 세망) |
canals within the cytoplasm, ribosomes are found on them |
| |
golgi apparatus(골지체) |
contains the material of ER products releasing by vesicles | ||
기타 |
lybosom, ribosome, chromosome(염색체) |
epithelial tissue(상피조직) - 기관지, 유방, 자궁내막, 위, 소장 등에서 찾아볼 수 있음 |
lining for internal organs, in endocrine and exocrine glands, as the outer surface of skin |
muscle tissue(근육조직) |
․voluntary muscles ․involuntary muscles ․striated muscle |
connective tissue (결합조직, 결체조직) |
this can be fat, cartilage, bone, areolar tissue or bloods |
nerve tissue(신경조직) |
conducts impulse all over the body(axon, terminal end (=botton)) |
3. Organs[기관]
간(liver), 신장(kidney), 심장(heart), 위장(stomach), 내분비기관(endocrine organ)
4. System[계, 통]
System |
Organs |
digestive Sy.[소화기계] |
mouth, pharynx(인두), esophagus(식도), stomach, intestines(소장), liver, pancreas(췌장), colon(대장), rectum(직장) |
urinary Sy.[비뇨기계] |
kidneys, ureters(요관), bladder(방광), urethra(요도) |
respiratory Sy.[호흡계] |
nose, pharynx, larynx(후두), trachea(기관, 기도), bronchus(기관지), bronchiole(세기관지), alveolar(폐포) |
reproductive Sy.[생식기계] |
ovary(난소), Fallopian tube(난관), uterus(자궁), vagina(질), testes(정소), vas defferens(정관), prostate(전립선), urethra(요도), penis(음경) |
endocrine Sy.[내분비계] |
thyroid lands(갑상선), pituitary gland(뇌하수체), sex glands, adrenal gland(부신), pancreas(췌장), parathyroid gland(부갑상선), testes, ovary |
nervous Sy.[신경계] |
brian, spinal cord, plexus, peripheral N., cerebral N., autonomic N. |
cardiovascular Sy.[심맥관계] |
heart, artery(동맥), arteriole(소동맥), vein(정맥), capillary(모세혈관) |
muscular Sy.[근육계] |
skeletal M., smooth M. |
skeletal Sy.[골격계] |
약 600개의 muscles |
integmentary Sy.[외피계] |
|
[Body Cavities 체강]
Cavities |
Organs |
cranial ca.[두가강] |
brain(cerebrum, celebelrum), cranial Ns. |
thoracic ca.[흉강] |
heart, lung, esophagus(식도), trachea(기도), thymus(흉선), aorta(대동맥) |
abdominal ca.[복강] |
stomach, intestines(소장), spleen(비장), liver, pancreas(췌장), colons |
pelvic ca.[골반강] |
urinary bladder(방광), urethra(요도), ueters(자궁), rectum(직장) |
spinal ca.[척수강] |
spinal cord and its nerves |
[Division of the Abdomen and Back 복부와 배부의 구분]
1. Anatomical Divisions of the abdomen(해부학적 구분)
1) hypochondriac regions(upper lateral region below the ribs) : 좌우 하늑부
2) epigastric region(region of the stomach) : 상위부
3) lumbar regions(2 middle lateral regions) : 좌우 요부
4) umbilical region(region of the navel(배꼽) or umbilicus(배꼽, 제)) : 제부
5) iliac regions(lower lateral regions) : 좌우 장골부
6) hypogastric region(lower middle region, below the umilicus) : 하복부
2. Clinical Divisions of the Abodomen(치료적 구분)
1) right upper quad.(RUQ) : right lobe of the liver, hepatic flexure(간누공, 간루) of the colon
2) left upper quad.(LUQ) : left lobe of the liver, spleen, splenic flexure of the colon
3) right lower quad.(RIQ) : cecum(맹장) of colon, appendix, intestine, ilium, ileum
4) left lower quad.(LLQ) : sigmoid coln(S상결장), intestine, rectum
3. Anatomical Divisions fo the Back(Spinal column)
1) cervical spine(경추부) : C1 - C7
2) thoracic spine(흉추부) : T1 - T12
3) lumbar spine(요추부) : L1 - L5
4) sacral spine(천추부) : S1 - S5
5) coccygeal spine(미추부) : tail bones(3~4 bones)
[Planes of the body 해부학적 체면]
1) frontal plane(전두면) : 머리에서부터 발까지 통과하는 수직면(관상면, coronal plane)
2) sagittal plane(시상면) : 신체의 전후면 또는 신체의 정중선에 평행이 되는 단면
3) transverse plane(횡평면) : 수평면
4) midian plane(정중면) : 신체의 정중선을 나누는 단면
Ⅲ Musculoskeletal System[근골격계] <전반>
<Bones>
[ Anatomical terms 해부학적 용어]
1. Structure of Bones
A. 골격의 분류
골 종류 |
예 |
long bones(장골) |
femur, humerus, radius, tibia, fibula |
short bones(단골) |
carpal, tarsal bones |
flat bones(편평골) |
ribs, scapula, pelvic girdles, bones of skull, sternum |
sesamoid(종자골) |
patella |
B. Bone Development(뼈 발육)
1) osteoblast(골아세포) : bone forming cells to form the bone tissue
→ 교원질(collagen)과 당단백(glycoproteins)을 합성하여 골양기질 을 형성하며, 성장하고, 발달하여 골세포가 된다.
2) osteoclast(파골세포) : bone cell that absorbs and removes unwanted bone tissue
→ 거대다핵성 골세포로 뼈의 발달과 성장 또는 치유기에 골조직의 파괴 및 흡수 등의 역할을 한다.
C. Structure of a long Bone
1) diaphysis(골간) : shaft region of a long bone
2) epiphysis(골단) : end of a long bone and center of ossification for growing bone(성장판 위)
3) epiphyseal plate(골단면) : cartilaginous area at the ends of long bone
4) periosteum(골막) : 말단부를 제외하고 골을 덮은 섬유성 혈관성 막. 단단하며 tendon이 붙는다.
5) compact bone(치밀골) : 단단하고 조밀한 뼈로 해면골의 망상구조와 구별되며 보통 골격 구조의 말 단부에서 발견된다.
6) cancellous bone(해면골) : 골판과 결절이 망상구조이고, 장골의 말단에 나타난다.(spongy bone)
7) medullary cavity(골수강) : a narrow space throughout the lenght of the diaphysis
-cf) madullary : 수질의, 뇌수질․골수․척수에 속하는 것
-cf) bone marrow(골수) : 골단의 해면질 공간을 채우는 특수한 반액체 조직
┌ yellow marrow : 성인의 long bones의 근위 골단의 해면체에서 볼 수 있다.
└ red marrow : 영아/아동의 많은 뼈에서 볼 수 있다.
8) endosteum(골내막) : lining membrane of medullary cavity of a bone
2. Processes and Depressions in Bones
A. Bone Processes : 돌출부
골 명칭 |
Definition |
Explanation |
Example |
bone head |
골두 |
rounded eminence of a bone |
neck, diaphysis(shaft) |
tubercle |
결절 |
근의 기착부위 |
great/lesser tubercle of humerus(biceps brachii) |
trochanter |
전자 |
대퇴골의 골절낭을 형성하는 부위 |
great trochater of femur (abdouction에 관여하는 근육이 부착) |
tuberosity |
넓은 조면 |
근육 자체가 부착하는 곳 (∵거칠기 때문) |
|
condyle |
과 |
rounded, knuckle-like process at the joint(long bone) |
epicondyle(femur), supracondyle(over the condyle) |
B. Bone Depressions : 함몰부
골 명칭 |
Definition |
Explanation |
Example |
fossa |
와 |
depression in a bone |
olecranon F., subscapular F., glenoid F. |
foramen |
공, 구멍 |
famous in the skull |
F. magnum(대공), F. ovale(난원공), F. rotundom(정원공), F. emissary |
sulcus, groove |
구 |
going over the tendons or nerves |
bicipital G., patellar S. |
sinus |
동 |
especially in cubic bone |
frontal S., maxillary S.(축농증 sinusitis), ethymoidal S. |
3. Cranial Bone(두개골)
frontal bone(1) |
전두골 |
parietal bone(2) |
두정골 |
temporal bone(2) |
측두골 두개골 중 가장 얇다 |
occipital bone(1) |
후두골 대체로 삼각형 |
sphenoid bone(1) |
접형골 |
ethymoid bone(1) |
사골 |
anterior fontanelle |
대천문 |
|
|
4. Facial Bone(안면골)
nasnal bone |
비골 |
lacrimal bone |
누골(눈물뼈) |
maxillary bone |
상악골(광대뼈) |
mandibular bone |
하악골(치과에서 관리) |
zygomatic bone |
관골 temporal bone에서 나오는 저작근들이 아래로 지나감 |
vomer |
서골 nasal septum(비중격)에 있는 뒤쪽의 뼈 (앞쪽 : 연골) |
5. Vertebral Column and Structure of Vertebrae
․intervertebral disc(추간판) Cervical B., Thoracic B., Lumbar B., Sacral B., Coccygeal B.
6. Bones of Thorax, Tohraces(흉곽골)
clavicle(쇄골) |
scapular bone(견갑골) |
sternum(흉골) |
ribs(costa, 늑골) |
① true ribs(진늑골) : 1~7번의 늑골로 흉골에 부착 | |
② false ribs(가늑골) : 8~12번의 늑골로 흉골에 부착되어 있지 않다. | ||
③ floating ribs(부유늑골) : 11, 12번 늑골 |
7. Bones of Arm and Hand(상박골과 수장골)
humerus(상박골, 상완골) |
ulna(척골) |
radius(요골) | |
carpals(수근골) : scaphoid(주상골), lunate(월상골), triquetrum(삼각골), trapezium(대능형골), trapezoid(소능형골), capitate(유두골), hamate(유구골) | |||
metacarpals(중수골, 5개) |
phalanx, phalanges(수지골, 14개) |
8. Bones of the Pelvis(골반골)
A. Hip Bones : iliac bone(장골), ischial bone(좌골), pubic bone(치골)
B. Pelvis Bones : 산도(産道)가 되는 곳으로 앞으로는 pubic bone의 후면, 뒤로는 sacral bone, coccygeal bone이 형성되고 양측은 장골의 협소부가 된다.
9. Bones of the Leg and Foot(하지와 발의 뼈)
femur(대퇴골) |
patella(슬개골) |
tibia(경골) |
fibula(비골) |
tarsal bones(족근골) : talus(거골), calcaneus(종골), navicular(주상골), cuboid(입방골), first(medial) cuneiform, second(intermediate) cuneiform, third(lateral) cuneiform | |||
metatarsal bones(중족골) |
phalanx, phalanges, phalangeal bones(지절골) |
[ Symptomatic Terms(증상 용어) ]
1) lumbago, lower back pain(요통, 저배통) : sciatica(좌골통)
2) crepitation(crepitus, 염발음) : 손가락 사이로 모발을 비빌 때 나는 소리.
3) sequestrum(부골, 이편골) : dead bone. 분쇄골절 때 떨어져 나간 뼈 조각 중 피가 안 통하는 뼈.
4) phantom limb pain(환상지통, 환각지통) : phantom limb syndrome(가상사지증후군). 사지를 절단한 후 흔히 나타나는 것으로 상실한 사지에 대해 감각과 불편감을 느끼는 현상. 일부 사람은 심한 통증이 지속된다.
5) callus(가골) : 외부 압력 또는 마찰에 의해 두꺼워진 피부 각질층. 통증이 없다.
[ Pathological Conditions and Fractures(별리적 상태와 골절) ]
1. Inflammation and Infections
1) osteitis(골염) : 감염, 퇴행 또는 상해로 발생하는 뼈의 염증.
-cf) osteitis deformans(Paget's disease, 변형성 골염) : 파제트병. 원인 불명의 비대사성 뼈 질환으 로 흔히 중년이나 노인에서 호발하며 과도한 뼈의 파괴와 비구조적인 뼈의 회복 등이 특징적이다.
2) osteomyelitis(골수염) : 골과 골수의 국소적 또는 전반적인 감염. 포도상구균이 가장 흔한 원인균.
3) periostitis(골막염) : 골막의 염증. 만성 또는 급성 감염이나 외상으로 유발되며 골의 압통, 관련 부 위의 종창, 동통, 발열, 오한이 특징이다.
4) Pott's disease(tuberculous spondylitis, 결핵성 척추염) : 초기 병소, 대개는 폐결핵으로 인한 결핵 균이 관절을 침범하여 일으킨 관절의 염증.
5) spondylitis(척추염) : 강직과 통증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의 염증. 척추의 외상, 감염이나 류머티스 질환이 원인이 된다.
6) tendinitis(건염) : 대개 좌상으로 인하여 생긴 건의 염증성 상태.
-cf) tenosynovitis(건초염, 건활막염) : 칼슘 축적, 반복된 좌상 또는 손상, 높은 콜레스테롤 수치, 류 머티스성 관절염, 통풍 또는 임질이 원인이 된 건초의 염증.
7) osteoarthritis(골관절염) : 하나 또는 여러 관절에 퇴행성 변화가 나타나는 비감염성 형태의 관절염.
8) rheumatoid arthritis(류머티스성 관절염) : 만성적이고 염증을 일으키며, 때로는 변형시키는 자가면 역 성분을 가진 교원병. 활액낭에 대칭적인 염증이 나타나며 활액성 삼출물이 증가하는데 활막을 비 후 시키고 관절의 종창을 유도한다.
2. Congenital and Metabolic Disease(선천성 및 대사성 질환)
1) anencephaly(anencephalia, 무뇌증) : 선천적으로 뇌의 중요 부분이 없고 뇌간이 기형인 상태.
2) craniostosis(craniosynostosis, 두개골 조기 봉합증) : 두 개봉합선의 조기골화 현상으로 흔히 다른 골격의 결함과도 동반된다. 외과적 교정 없으면 두 개의 성장은 멈추고, 머리는 변형되고 눈과 뇌는 흔히 손상을 받는다.
3) kyphosis(척추후만증) : hunchback, humpback
4) lordosis(척추전만증) : lumbar bone이 앞으로 나오는 경우가 많다.
5) scoliosis(척추측만증) : 20대 여성에게 특발성 측만증이 자주 있다(T7~T12)
6) talipes planus(편평족) : flat foot
-cf) pes(pedes) : 발 또는 발과 같은 구조
7) talipes equinus(첨족) : 절름발이(사지의 차이가 10cm 이상인 사람)
8) talipes varus(내반족) : ‘O'자 다리
9) talipes cavus(요족) : 종족궁이 비정상적으로 깊은 상태
10) coxa plana(Legg-Calvé-Perthes disease, 편평고) : 어린이 대퇴골 두부의 골연골증
11) genu varum(varus)(bowleg, 내반슬, 내번슬) : 양쪽 무릎은 qkRKx으로 벌어졌으며 다리는 안쪽으 로 만곡되어 있는 기형.(걷기 시작한 아이에게 잘 나타남.)
12) genu valgus(valgum)(knck-knee, 외반슬, 외번슬) : 허벅다리가 안쪽으로 휘어져 무릎이 비정상적 으로 가까이 붙어 있어서 두 발목 사이의 간격이 넓다.
13) hallux valgus(무지외번증) : 엄지발가락이 체정중선에서 떨어져 다른 발가락 쪽으로 굽은 기형. 엄지발가락이 다른 발가락 위나 아래에 위치한다.
14) hammer toe(추상 발가락) : 다지증(Mallet finger)
15) syndactylia(syndactily, 합지증) : 물갈퀴모양의 손가락이나 발가락을 갖는 사람.
16) spina bifida(척추이분증) : 후방 척추궁의 골폐쇄부전을 특징으로 하는 발육 기형.
17) osteoporosis(골다공증) : 골밀도의 비정상적 손실이 특징인 장애.
3. Traumatic Disorders(외상성 장애)
1) fracture(Fx., 골절)
2) closed Fx.(폐쇄골절)
3) open Fx.(개방골절) :골절된 뼈가 피부를 찢는 경우
4) comminuted Fx.(분쇄골절) : 뼈가 여러 조각으로 부서지는 골절로 많은 수의 절편이 생긴다.
5) impacted Fx.(매복골절) : 골절된 뼈의 인접 조각 끝이 함께 쐐기같이 끼워진 골절 상태.
6) greenstick Fx.(약목골절) : 뼈의 한쪽이 부러져 다른 쪽으로 구부러지는 불완전 골절.
7) compression Fx.(압박골절, 압축골절) : 특히 짧은 뼈에서 골조직이 파괴되고 이에 따라 해당 뼈가 짜부라지는 골절.
8) depressed Fx.(함몰골절) : 두개골의 골절에서 파편이 정상 표면 아래로 함몰된 골절.
9) incomplete Fx.(불완전골절) : 골조직에서 손상으로 인한 갈라진 금이 뼈의 전체 폭을 완전히 횡단 하지는 않고 하나나 그 이상의 방향으로 뻗어 있는 골절.
10) pathological Fx.(병적골절) : 얌세포나 결핵 등으로 약해진 뼈의 골절
11) Colles's Fx(콜리스골절) : 손목 관절의 1인치 이내 요골 하단의 골절로, dorsal과 lateral 위치에서 손의 전이를 유발한다.
12) delayed union(지연유합)
13) nonunion(불유합) : 정상적으로 붙을 기간이 지나도 뼈가 안 붙는 경우
14) malunion(부전유합) : 정상적으로 형태는 붙었으나 기능적으로는 정상적으로 붙지 못한 상태
4. Tumor(종양)
1) exostosis(외골종, 외골증) : 뼈의 표면이 비정상적으로 증식한 것으로 양성이다.(hyperostosis)
2) osteogenic sarcoma(골원성 육종) : 골의 악성 종양으로 간엽조직에서 유래된 미분화세포로 이루어 진다.(osteosarcoma)
3) Ewing's sarcoma(유잉육종) : 골수, 특히 장골과 골반에 생기는 악성 종양으로 통증, 부종, 발열, 백혈구증가증이 나타나며 부드럽고 부서지기 쉬운 회색 종양은 주위 연조직을 침범하여 신경아세포 종이나 림프종과 조직학적으로 구별하기 어렵다.
4) fibrosarcoma(섬유육종) : 섬유성 결합조직을 포함하고 있는 육종.
5) multiple myeloma(다발성 골수종) : 골수의 악성종양. 형질세포로 이루어진 종양은 정상의 골수 기 능을 붕괴시키고 특히 편평골의 골성 조직을 파괴한다. 통증, 골절, 고칼슘혈증, 골격의 변형을 일으 킨다.
Ⅳ Musculoskeletal System[근골격계] <후반>
[ Theraph and Operative Terms 치료 및 수술 용어 ]
A. Reduction of Fx. (골절 정복)
1) closed reduction(비관혈적 정복술, 폐쇄적 정복술) : 절개 없이 골절의 수동적 정복
2) open reduction(관혈적 정복술, 개방성 정복술) : 연관된 뼈의 부분을 노출해서 골절이나 탈구를 경 감하는 외과적 절차
3) simple immobilization(단순고정) : with cast, arm sling
4) bone grafting, transplatation of the bone(골이식, 골편이식)
5) osteoclasis(외과적 절골술) : surgical Fx. or refracture of a bone(좋지 않게 뼈가 붙어갈 때 다시 수술하여 제대로 잡아주는 수술)
6) osteotomy(골절제술) : excision of a bone, Wedge Excision of a bone
→ 뼈를 자르거나 톱질하는 것. 절골술의 종류로는 뼈의 일부를 절제하는 볼록형 절골술(block osteotomy), 골설을 제거하는 설상절골술(cuneiform osteotomy), 배열이나 체중부하가 걸리는 부위를 바꾸기 위해 뼈를 외과적으로 재샐계하는 전위절골술(displacement osteotomy)이 있다.
7) sequestrectomy(부골 적출술)
-cf) sequestrum(sequestra) : 부골편, 사골편, 골저(주위 EH는 인접한 건강한 뼈로부터 부분적 EH는 전체적으로 분리된 죽은 뼈의 파편)
8) internal fixation for Fx. : Intramedullary Fixation(수질내 고정), Plate Fx.
9) external fixation for Fx. : Pin&Plate, Illizarop instrument, Screw & Side Fixation
< Joints(Articulation) >
[ Anatomical Terms 해부학적 용어 ]
1. Types of Joints(articulations)
1) synarthrosis(관절 유합증, 보동관절) : also called suture joint
2) amphiarthrosis(연골관절, 반관절) : slight movement, symphysis pubis, cartilage joint,
distal tibiofibular joint
3) diarthrosis(가동관절, 완전관절) ; also called synovial joint
2. Structure of Joint(관절 구조)
1) bursa(활액낭) : 건과 그 밑의 뼈 사이에 있는 섬유성 낭. 활액을 분비하는 활막과 나란히 있으며, 건이 수축․이완할 때 뼈 위에서 작은 쿠션 역할을 한다.
2) synovial membrane(활막) :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관절을 둘러싸고 있는 관절낭 안쪽 조직의 얇은 층. 활막은 외부 섬유낭에 느슨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관절 내로 짙은 액체를 분비하여 관절 에 윤활제로 사용된다. 관절이 손상을 받으면 동통을 유발하는 정도가 증가되기도 한다.
3) synovial cavity(활액강) : 구강 또는 복강과 같은 보다 큰 구조 내의 텅 빈 공간.
4) synovial fluid(synovia) : 관절과 점액낭, 건의 윤활제로 작용하며 활막에 의해 분비되는 달걀 흰자 위와 유사한 투명하고 알칼리성인 점조액. fluid 자체가 영양을 공급.
5) ligament(인대) : 관절을 연결시켜 주고 뼈와 연골을 연골시키는 섬유성 조직.
6) tendon(건) : 근육을 뼈에 붙여주는 희고 반짝거리는 밀집된 섬유성 결체조직.
7) aponeurosis(건막) : flat sheet of fibrous tissue that usually serves as an attachment of muscles
→ 근육을 뼈에 붙여 주는 건이나 근육을 묶어 주는 건막으로 작용하는 섬유성 결합 조직의 질긴 막.
8) cartilage(연골) : 연골세포와 여러 섬유로 구성된 비혈관지지 결체조직.
주로 관절, 흉곽과 후두, 기관, 코, 귀 같은 여러 견고한 관에서 발견됨.
9) Joint capsule(관절낭) : 관절을 싸고 있는 섬유성 결합조직.
[ Symptomatic Terms 증상 용어 ]
1) ankylosis(관절 강직증) : LOM 증가, ROM 감소
→ 비정상적인 자세가 지속되어 관절이 고정됨으로써 류머티스성 관절염이 발생하는 것처럼,
연골하골과 관절연골의 파괴로 인해 발생.
2) hemarthrosis(관절혈증) : 관절 내로 혈액이 유출되는 상태.
-cf) hemophilia(혈우병) : 혈액 응고에 필요한 요인 중 하나가 결핍된 일련의 유전적 출혈장애.
3) hydroarthrosis, collection of fluid of a joint(관절수증, 관절 종창, 수액저류)
: synovial fluid의 농도가 낮다.
4) tophus(tophi, 통풍성 결절) : 관절 주위의 섬유 조직에 생기며 요산염을 함유하는 결석으로 주로 통풍환자에게서 보인다. 관절안이 거칠어짐.
-cf) crystal impregnation : 결정 임신
-cf) Foreign body(이물) : 장기나 조직에서 발견되는 것으로 기관지 내의 음식물 덩어리 또는 눈에 있는 먼지 조각과 같은 정상 환경에 속한 것이 아닌 어떠한 물체나 물질.
5) arthralgia(관절통) : 관절의 통증
6) increased joint laxity : 관절 이완의 증가
7) claudication(휴간 파행) : 종아리에 쥐가 나는 듯한 통증이 있으며 다리 근육으로 혈액이 충분하게 순환되지 않아 발생한다. 간헐적인 파행증은 특정 시간에만 임상 증상이 있는 질환의 형태로서 보통 장기간의 보행 후에 발생하고 휴식으로 완화된다. 파행증은 대퇴슬와 측부로와 같은 동맥의 측부로 이식이 필요할 수 있다. (intermittant C.)
-cf) vasculogenic : 혈관성의
-cf) neurogenic : 신경성의
[ Pathological Conditions 병리적 상태 ]
1. Inflammation and Infections(염증과 감염)
1) arthritis(관절염) : 관절의 염증 상태.
․chronic arthritis : rheumatoid arthritis, degenerative arthritis
․acute arthritis : pyogenic arthritis(bacterial arthritis)
2) rheumatoid arhtritis(류마토이드 관절염) : 만성적이고 염증을 일으키며, 때로는 변형시키는 자가면 역 성분을 가진 교원병. 활액낭에 대칭적인 염증이 나타나며 활액성 삼출물이 증가하는데 활막을 비 후 시키고 관절의 종창을 유도한다.
3) degenerative arthritis, osteoarthritis(퇴행성 관절염, 골관절염)
4) gouty arthritis(통풍성 관절염)
-cf)gout(통풍) : 요산 대사의 선척적 이상에 의한 질병으로 요산 분비를 방해하거나 생산을 증가시 킨다. 과도한 요산은 혈관에서 침전되어 요산염 결정으로 전환되어 관절이나 다른 조직에 침착된 다. 증상은 관절의 과도한 통증과 종창을 가져오며 열과 오한을 동반하며 장기간 재발된다.
5) ankylosing spondylitis(강직성 척추염) : chronic, progressive arthritis with stiffening of joints
→ 처음에 척추와 부근 구조에 영향을 주며 진행되다가 결국에는 포함된 관절의 유합을 일으키는, 원 인을 알 수 없는 만성 염증성 질환. 유전적이 경향이 강하고 척추, 엉덩이, 어깨, 목, 늑골, 턱관절 에 영향을 미친다. 늑골척추관절에 침범하면 호흡시 흉곽의 확장이 어려울 수도 있다. 전신적인 질환이며 종종 눈과 심장에도 영향을 준다. 또한 많은 환자들이 염증성성 장질환을 경험한다.
6) bursitis(활액낭염) : 관절을 둘러싼 결합 조직성 구조물인 점액낭의 염증. 관절염, 감염, 상해, 과도 한 운동, 상해성 운동 등이 촉발 요인이 된다.
7) synovitis(활액막염) : 염좌나 심한 좌상과 같은 외상성 손상이 있을 때 무균성 상처의 결과로 인한 관절 활막액의 감염상태. 무릎이 가장 일반적인 곳이다. 낭 주위에 액체가 축적되고 관절을 붓고 허 약하여 동통이 있으며 움직임이 제한된다. 대부분 감염은 진정되며 액체는 내과적이나 외과적 중재 없이 재흡수된다. (감기를 앓은 후 일시적으로 어린아이들에게 잘 걸림.(temporary synovitis))
8) tenosynovitis(건초염) : 손목의 단무지 신전근과 장무지 외전근 사이에 염증.
→ 칼슘 축적, 반복된 좌상 또는 손상, 높은 콜레스테롤 수치, 류머티스성 관절염, 통풍 또는 임질이 원인이 된 건초의 염증. 어떤 경우에서 움직일 때 탁탁 소리가 나기도 한다. 대개의 경우에는 전신 질환을 일으키지 않는다.
9) chondromalasia : 연골연화증
-cf) patellar chondromalasia(슬개연골연화증) : 젊은 층에서 무릎 손상 후에 발생하며 부종, 통증과 X선 검사에서 보이는 퇴행성 변화가 특징이다.
-cf) cohndromalacia fetalis(태아연골연화증) : 치명적인 선천성 장애로 사산된 아이의 사지가 무르고 휘기 쉬운 상태를 나타낸다.
2. Traumatic Disorders and other Conditions(외상성 장애와 기타 장애)
1) dislocation(탈구) : 정상적 관절로부터 뼈가 이탈되는 것.
2) subluxation(incomplete dislocation, 아탈구, 불완절 탈구) : 관절에서 관절표면의 비정상적인 부분적 분리(관절낭이 비뚤어짐)
3) sprain(염좌) : 통증, 부종, 관절 위 피부의 변색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부위의 건․근육․인대의 손 상으로 지지조직의 손상 여부와 손상된 시간에 따라 증상이 다양하다.
-cf)strain(과긴장, 과다운동) : 근육이 손상을 입을 정도로 물리적 힘을 가하는 것.
4) herniation of intervertebral disc(HIVD) : 추간판 탈출증
herniation of nucleus pulposus(HNP) : 척수핵 탈출증
5) bunion(건막류) : abnormal prominence with bursal swelling at the metatarsophalageal joint near the base of the big toe.
→ 엄지발가락 기저 부위 관절의 비정상적인 비대. 점액낭의 염증에 의해 발생하는데 유전적인 소인, 퇴행성 골관절질환, 만성적 자극 및 잘 맞지 않는 신발로 인한 압박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통증, 부종, 피부가 두껍게 되는 것, 엄지발가락 바깥쪽 변위 등의 특징적 증상이 나타난다.
6) spondylolisthesis(spinal fusion, 척추골융합술) : 척수의 불완전한 분절의 고정. 골견인이나 body cast에 의한 부동환자에게 나타날 수 있으나 외과적 시술에 의한 경우가 가장 흔하다.
7) tearing of meniscus
3. Tumors(종양)
1) chondroma(연골증) : 연골세포로 이루어진 양성 종양.
연골 내에서 서서히 성장하거나 연골 표면에서 발달.
2) chondrosarcoma(연골육종) : 연골세포 또는 그것이 유래하는 세포로부터 발생하는 악성 신생물. 가 장 흔한 발생 부위는 장골, 골반, 견갑골이다. 종양은 크고 부드러우며, 초자연골 결절로 이루어져 소 엽상의 성장을 하고, 약간 두드러진 석회화로 보일 수 있다.(chondroma sarcomatosum)
3) synovioma(활막종) : 임상적으로 악성 종양이며 재발하는 경우가 많다.
(신경에 너무 가까이 있을 경우 수술 불가능)
[ Therapy and Operative Terms 치료 및 수술 용어 ]
1) arthroscopy(관절경 검사) : 작게 절개한 후 특별히 고안된 내시경을 관절 내로 삽입하여 하는 검 사. 주로 무릎관절에 이상이 있을 때 이용하며, 연골이나 활액막 조직검사를 하고, 손상된 반월판을 진단한다. 어떤 경우에는 관절 내 늘어진 부분을 제거할 수도 있다.
2) arthrodesis(관절 고정술) : 외과적으로 관절을 고정시키는 것은 통증을 감소시키거나 지지대를 제 공하기 위함이다.(ankylosis, fusion)
3) arthroplasty(관절 형성술) : 골관절염, 류머티스성 관절염의 운동력을 복원하거나 선천적 기형을 교 정하기 위해 통증이 있고 퇴행된 관절을 외과적으로 복구하거나 대치하는 것.
-cf) reconstruction of joint : 인공 관절 치환술
4) bunionectomy : 건막류 절제술
5) synovectomy : 활막 절제술
6) laminectomy(추궁판 절제술) : 척추뼈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제거하는 수술. 상해 또는 디스크의 퇴 화로 인해 뼈의 위가 어긋났을 때 척추가 압박 받는 것을 감소시키거나 추간 디스크의 위치를 바로 잡기 위해 시행한다. 전신 마취 상태에서 복와위로 누인 후 추궁을 절제하여 근본적인 문제를 교정.
7) meniscectomy(반월상연골 절제술) : 찢긴 연골의 만성 동통과 불안정, 관절을 고정시켜야 할 때.
8) excision of nucleus pulposus(수핵 절제술) : 섬유 연골을 통해 스며 나와 추간판 탈출과 강한 동 통의 원인이 될 때.
-cf) endoscopic excision of nucleus pulposus :
-cf) chemical lysis of neucleus pulpus :
9) spinal fusion : 척추 유합술
<Muscles>
[ Anatomical Terms 해부학적 용어 ]
1. Types of muscles
1) striated muscles(횡문근) : skeletal muscles(골격근육)을 포함해서 보통의 근육은 두껍고 가는 근원 섬유가 겹쳐져서 근섬유에 규칙적인 가로무늬(횡문)가 보인다. 횡문근에는 골격근과 심근이 있는데, 골격근은 체성신경의 지배로 수의근인 데 반하여, 심장근은 자율신경의 지배로 불수의근이 다.(skeletal muscle, voluntary muscle)
2) smooth muscles(평활근, 무군근) : 장, 위, 다른 장기의 평활근 같이 자발적 조절을 받지 않는 길다 란 방추 모양의 근육세포로 구성된 3가지 근육 종류 중 하나.(involuntary muscle, unstriated muscle)
3) cardiac muscles(심근) : 심장의 횡문근육으로 인접한 근섬유의 접합부에 검게 삽입된 얇은 원반을 내포한다.
2. Structure of Muscles(근육의 구조)
1) fascia(근막) : 인대와 같이 특정 구조로부터 분리된 신체의 섬유성 결합조직.
2) insertion of muscle : 근기착점
3) origin of muscle : 근기시점
4) tendon & penosteum
3. Movement(운동)
1) abduction(외전)/adduction(내전)
2) flexion(굴곡)/extension(신전)
3) rotation : 회전 - internal(medial)/external(lateral) rotation
4) dorsiflexion(배측굴곡)/plantar flexion(등측굴곡) : ankle에서의 운동
5) supination(회외운동, 회외전)/pronation(회내운동, 회내전)
6) circumduction(원주운동) : universal joint
[ Symptomatic Terms 증상 용어 ]
1. Inflammation and Infections(염증과 감염)
1) myalgia : 근육통
2) fascitis : 근막염
3) torticollis(wryneck, 사경) : 경부근육의 수축 상태로 머리의 위치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친 비정상적 인 상태로 선천성일 수도 있고 후천성일 수도 있다.
* 원인 ┌ ⅰ) 골격성
└ ⅱ) 근육성(多) : SCM muscle(흉쇄유돌근)이 난산으로 파열되어 잘 나타남.
4) Volkmann's ischemic contracture(허혈성 볼크만 연축) : 허혈에 의한 전완과 수부의 심각한 지속 적인 굴곡수축으로 elbow의 압박 또는 압궤손상이 이런 조건에 선행함.
5) muscular dystrophy(근이영양증) : 유전적 질병으로 신경 조직의 퇴화나 관련성이 없이 골격근에서 대칭적으로 진행성 위축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
* 증상 : progressive weakness and degeneration action of muscles,
-cf) Lou Gehrig's Disease(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 손, 전박, 다리 근 육의 허약과 위축이 특징인 운동뉴런의 퇴행성 질환으로 몸의 대부분과 얼굴로 확산된다. 전각․ 피질척수로의 운동뉴런의 퇴행으로 중년기에 시작되며 빠르게 진행하고 2~5년 안에 사망한다.
6) myasthenia gravis(중증 근무력증) : 만성적 피로, 특히 얼굴과 목 근육의 허약함이 특징인 비정상적 상태로 특히 근신경시냅스에서 신경자극전도장애의 결과로 인한다.
7) hypertrophy(비후, 비대) :세포의 수보다는 세포의 크기 증가로 인해 기관의 크기가 커지는 것.
․dystrophy(이영양증) : 영양 파괴를 초래하는 모든 비정상적인 근육질환. 종종 크기는 증가하되 힘 은 오히려 감소하는 퇴행성 지방침착 같이 신경은 침범하지 않고 근육의 발달만을 변화시킨다.
․atrophy(위축증, 무영양증) : 질병이나 다른 어떤 영향에 의한 신체 일부분의 크기나 생리적인 활동 의 축소 또는 소멸. 신경계 또는 근골격계 질병이나 신체적 운동 부족의 결과로 골격근 위축 이 발생할 수 있으며 나이가 들면서 뇌와 중추신경계로 가는 혈류 저해를 받아 위축이 일어날 수 도 있다.
8) muscle tearning : fascicle의 파열, fascia의 파열이 원인
2. Degeneration and Disturbances of Innervation(신경의 퇴행 및 장애)
1) claudication(파행, 기능적 파행)
2) Volkmann's kschemic contracture(볼크만의 허혈성 구축)
3) muscular dystrophy(근이영양증) : ingerited disease charactirized by progressive weakness and degeneration of muscles.
4) myasthenia gravis(중증 근무력증)
․blepharoptosis(안검하수) : 눈뜨는 근육이 약해 눈꺼풀을 완전히 못 뜨는 증상
․mastication : 저작
․swallowing
․dyspnea : 호흡곤란
3. Tumors(종양)
1)myoma(근종) : 자궁근육의 양성인 평활근종. 30대 후반의 여성 특히 임신 경험이 없는 흑인 여성에 서 자주 발병한다. 월경통, 배통, 변비, 월경불순, 성교불쾌증, 그리고 다른 증상이 종양의 크기․위 치․성장률에 비례하여 나타난다.
․myoma uteri : 자궁근종
2) myosarcoma(근육 육종) : 근육 조직의 악성 종양
3) rhabdomyosarcoma(횡문근 육종) : 대부분의 머리와 목에서 빈번하게 일어나며, 원시 횡문근 세포 에서 비롯되는 고도의 악성 종양
4) leiomyoma(평활근종) : 대부분 공통적으로 자궁, 위, 식도, 소장에서 발생하는 양성 평활근종
5) leiomyosarcoma(평활근 육종) : 평활근의 큰 방추형 세포를 포함하는 육종
6) synovial sarcoma(활막육종) : 활액아세포로 구성된 악성 종양으로 초기에는 부종이 약간 있다. 종 양이 발견되기 전에 혈행을 통해 폐로 전이되기도 한다.
[ Therapy and Operative Terms 치료 및 수술 용어 ]
1) fasciotomy(근막 절개술) : 근막 부위를 절개하는 시술.
근육이 부을 때 압박하는 것을 찢어주면 오히려 혈액순환이 잘 된다.
2) tenorrhaphy(건봉합술)
3) tenoplasy (건형성술)
4) fasciorrhaphy(근막봉합술)
[ Clinical Procedures 임상 처치, 조작 ]
1) arthrocentesis(관절천자) : 관절에 주사바늘을 꽂아 관절액을 뽑아내는 것
2) muscle biopsy(근육 생검) : 진단을 위해 외과적으로 제거한 근육 조직에 대한 검사
3) electromyography(EMG, 근전도 검사) : 근육의 활동 전압을 전기적으로 기록하는 과정
4) arthroscopy(관절경검사)
5) arthrogram(관절조영술) : 조영제를 주사한 후 촬영하는 관절 조영 사진
[ Abbreviations 약자 ]
1) AP(anterior to posterior) / PA(posterior to anterior)
2) C1~C7, L1~L5, T1~T12
3) DIP joint(distal interphalangeal joint) / PIP joint(proximal interphalangeal joint)
4) MP joint(metacarpal phalangeal joint)
5) ROM(range of motion) / LOM()
6) AK(above knee) / BK(below knee) amputation
7) HIVD(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 척추 추간판 탈출증
8) HNP(Herniation(Herniated) of Nucleus Pulposus) : 척추간판핵 탈출증
9) Fx.() / Dx.() / Px.() / Tx.()
10) ACL(anterior cruciate ligament) / PCL(posterior cruciate ligament)
11) MCL(medial collateral ligament) / LCL(lateral collateral ligament)
12) Rt. forearm AP. & Lat. : right forearm anterior to posterior & lateral
13) Lt. ankle AP. Lat. & Mortise View : left ankle anterior to posterior lateral & 모티스 촬영상
Ⅴ Cardiovascular system[심장맥관계]
< Heart >
[ Anatomical Terms 해부학적 용어 ]
1. Pathway of Blood through the Heart
1) heart : 2 atria(동맥), 2 ventricles(정맥)
2) vena cava(대정맥) : inferior vena cava, superior vena cava
3) right atrium(우심방)
4) tricuspid valve(오른방실판막, 삼첨판막) : valve located between the right atrium and ventricle
-cf) tricuspid : 뾰족한 잎, 삼첨판의
5) right ventricle(우심실)
6) pulmonic(pulmonary) valve(폐동맥판) : 3개의 반월판으로 되어있는 심장의 구조물.
7) pulmonary artery(폐동맥)
8) left atrium(좌심방)
9) mitral valve(승모판, 이첨판)
10) left ventricle(좌심실)
11) aortic valve(대동맥판)
12) aortic(대동맥) : prevent regurgitation(역류 방지)
2. Heart Wall Structure
1) septum, pl. septa (중격) : 격막, 격벽. 심장의 심방을 분리하는 심방 중격과 같은 칸막이 또는 벽.
- interatrial septum(심방중격), interventricular septum(심실중격)
2) endocardium(심내막) : 심장의 심방과 심실을 둘러싼 층으로 작은 혈관들과 몇몇 다발의 평활근이 있다. 이는 큰 혈관들의 내피세포와 연결되어 있다.
3) myocardium(심근층, 심장근육층) : 심방벽의 대부분을 이루는 근육층으로 독특하게 이루어지고 정 돈된 근육세포의 두꺼운 수축성 중간층. 심근층은 혈관을 뺀 아주 작은 다른 조직을 함유하며 내부는 심내막이 덮고 있다.
4) pericardium(심낭, 심막) : pericardial cavity with fluid.
→ 심장과 큰 혈관 뿌리를 감싸는 섬유장액성 낭. 혈청성 심장막과 섬유질의 심장막으로 구성됨.
3. Conduction System of the Heart(심장의 전도계)
① sinoatrial node(S-A node, 동방결절) : 심장의 우심방벽, 상대정맥 근처에 위치한 많은 세포의 군 락. 양쪽 심장이 수축하도록 근섬유를 통해 빠르게 전달되는 자극을 생성하는, 변형된 심근의 무리.
⇓
② atrioventricular node(A-V node, 방실결절) : 동방결절로부터 심장 자극을 받아 방실 속에 전도함 으로써 푸르킨예 섬유와 방실벽으로 자극을 전달하는 특수 심근영역. 좌우심방 사이의 중격벽에 위치
⇓
③ atrioventricular bundle(bundle of His)(방실속, 방실다발) : 세포 내 수축 기구가 거의 없는 특수 심근섬유다발. 방실결절의 원위 부위로부터 발생하고, 방실홈을 가로질러 속지로 분지하는 곳인 방실 중격 첨부로 연장된다.
⇓
④ Purkinje fiber(푸르키예 섬유) : 심근의 가지 속에서 끝나는 심근 섬유.
4. Others(기타)
1) diastole(확장기, 이완기) : diastolic phase
2) systole(수축기) : systole phase
3) blood pressure(혈압)
4) coronary artery(관상동맥) : 대동맥에서 뻗어 나온 1쌍의 동맥.(Rt.&Lt)
5) foramen ovale(난원공) :태아 심장의 좌우 심방 사이 중격의 개구로 자칫 태아의 폐로 흐를 수 있 는 혈액의 보조적 흐름을 제공한다. 태아의 상대정맥 대부분의 혈액은 난원공을 통해 좌심실로 흐른 다. 출생 후 난원공은 신생아가 첫 호흡을 하여 폐를 통한 순환이 가능할 때 기능적으로 닫힌다.
6) chordae tendinae(건삭) : papillary muscle(꼭지근)
→ 심실이 수축하는 동안 심방으로 판막이 탈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심실유두근에 이첨판과 삼첨판 막의 첨단을 연결하는 건삭.(tendinous cords)
7) patent ductus arteriosis(PDA, 동맥관 개존중) : 출생 후 태내 동맥관이 닫히지 않아 나타나는 대 동맥과 폐동맥간의 비정상적 개방으로 미숙아에서 주로 나타난다.
[ Symptomatic Terms 증상용어 ]
1) angina pectoris(협심증) : 협심증, 동맥경화증 또는 관상동맥의 경련으로 인한 심근의 무산소로 인 해 발생하는 발작성 흉통.
-cf) pectoris :
2) arrhythmia(dysrhythmia, 부정맥) : 심박동의 비정상적인 양상.
- heart block(심차단) : 심장근육의 활동을 조절하는 전기적 흥분의 정상적 전도의 장애. 심실로 전 도되어야 할 모든 심방 흥분이 심실에 도달하나 약간(몇 분의 1초) 지연되는 것.
- flutter(조동) : 정상적인 기능을 방해할 수 있는 빠른 진동이나 맥박.
- fibrillation(심세동) : 단일한 근육섬유나 신경섬유의 격리된 다발의 불수의적 희귀성 수축. 심방세 동이나 심실세동과 같이 비정상적으로 수축하는 것.
3) bradycardia(서맥) : 심실박동이 1분에 60회 이하인 상태. 심장 박출량이 줄어들어 기절, 현기증, 가 슴 통증의 원인이 되며 결국 실신과 순환계 허탈을 일으킨다.
4) tachycardia(빈맥, 빈박) : 심근이 1분 동안 100번 이상 수축하는 상황. 심박률은 정상적으로 열, 운 동, 신경 흥분에 의해서 가속화된다. 병적인 빈맥은 빈혈, 울혈성 신부전, 출혈, 쇼크와 같은 산소결핍 증을 초래한다.
5) cardiac arrest(심박동정지, 심정지)
6) murmur(잡음) : 심잡음으로 부드러운 바람 소리 같이 펄럭이는, 윙윙거리는 소리로 청진으로 감지하기 쉬운 소리를 말한다.(종류 : systolic(수축), diastolic(이완), continuous murmurs(지속성 잡음))
-cf) rale(수포음) : 페에서 나는 잡음. 흡식 때 흉부 청진시 들을 수 있는 흔한 비정상적인 호흡음으 로 단속적인 거품 소리가 특징이다. (crackle, 악설음)
7) precardial pain : 심장 주변통, 흉내통
8) cardiomegaly : 심장비대증
9) regurgitation(역류) : aortic regurg.(동맥역류), esophageal regurg.(식도 역류)
[ Pathological Conditions of the heart and blood vessel 심장과 혈관의 병리적 상태들 ]
1. Congenital Heart Disease(선천성 심장질환)
1) coarctation of the aorta(대동맥 협착증) : 대동맥의 국소적인 협착이 특징인 선천적 심장기형. 그 결과 손상된 부위의 증가된 압력과 그 이하 말단 부위의 감소된 압력이 나타난다. 이 상태의 증상은 수축에 의해 나타난 압력 변화와 직접적으로 관련된다. 협착의 가장 흔한 부위는 대동맥으로부터 왼 쪽 쇄골하동맥의 기시부 아래이며, 상지와 두부에 고혈압을 하지에 저혈압을 나타내게 된다.
2) dextrocardia(우심증) : 우측 흉곽에 심장이 위치하는 것으로 질병에 의한 변위 또는 선천성 기형에 의한다.
3) septal defect(중격결손증) : 심장의 두 방을 분리해 주는 벽의 비정상적, 선천적인 결함. 산소화된 혈액과 탈산소화된 혈액이 다량으로 섞여 혈액으로 말초조직의 산소운반량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됨.
4) Patent Ductus Arteriosis(PDA, 동맥관 개존증, 동맥관 잔존증)
5) tetralogy of Fallot(Fallot 사중주, 4기형증) : 팔로사징후, 선천성 심기형사징후. 선천성 심장 결함의 복합으로, 폐동맥판 협착, 심실중격결손, 대동맥의 우방전위, 우심비대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대동 맥 우방전위로 대동맥은 심실 중격을 뒤엎고, 정맥혈과 동맥혈의 양쪽을 받게 된다. 수축기 잡음이 항상 들리고, 제 2심음이 약하거나 없다. 수술 적령기는 대략 1세이다.(Fallot's syndrome)
2. Inflammation and Infection Disoders(염증과 감염 장애)
1) endocarditis(심내막염) : 여러 가지 질병에 의해 초래된 장애가 있는 심내막과 심장판막의 비정상 적 상태.(세균성 심내막염, 무균성 혈전성 심내막염, Libman-Sacks 심내막염 등)
2) myocarditis(심근염) : 심근에 염증이 있는 상태로, 대부분 급성 바이러스 형태에서 자주 발생하며 급성 심부전을 일으키기도 한다.
3) pericarditis(심낭염) : 외상, 악성 종양, 감염, 요독증, 심근경색증, 교원질 질병, 특발성 원인과 관련 된 심낭의 염증.
4) rheumatic heart disease(류마티스성 심질환) : 류머티스성 열의 에피소드로 인해 일어난 심근과 심판막의 손상.
3. Degenerative Heart Conditions(퇴행성 심장질환)
1) congestive heart failure(disease)(울혈성 심부전증) : 손상된 심장수축을 나타내는 비정상적인 상태 로 심근경색, 허혈성 심질환, 심근장애에 의해 발생된다. 비효율적인 심실의 혈액 방출은 혈액과부하, 방실비대, 심장 내 상승된 압력을 발생시킨다. 좌심장에서 발생되는 상승된 심장압의 퇴행성 전도는 폐울혈의 원인이 된다. 우심장에서 발생되는 상승된 심장압은 전신 정맥울혈과 말초부종의 원인이 된 다. (심장에 피가 많이 몰리지만 잘 빼내지 못해 한계에 다달아 기능이 떨어짐.)
2) corpulmonale(폐성심) : 1차적인 폐질환에 의해 발생된 심장 내 우심실의 비대. 경우에 따라 우심실 의 비대 결과로 우심실 부전증이 발생한다. (폐기능이 많이 떨어져서 시장으로 나가는 피가 효과적이 지 못해 심장에 부담이 감.)
3) coronary artery disease(관상동맥 질환) : 관상동맥의 비정상적인 상태의 하나로 심장동맥과 다양 한 병리적 영향력, 특히 심근으로 흐르는 산소와 영양소의 흐름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관상동맥성 동맥경화증, 관상동맥염 또는 관상동맥의 섬유근성 비대증과 같은 관상동맥질환 중 하나가 협심증의 특징적 증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 가장 흔한 관상동맥질환의 하나는 관상 동맥성 동맥경화증이다.
4) myocardial infarction(heart attack, 심근경색증) : 죽상경화증, 혈전 또는 경련에 의한 관상동맥장애 결과로 생기는 심근층 일부의 괴사(심장 한 부분이 좁은 혈관으로 인해 손상이 가 통증을 일으킴.)
[ Therapy and Operative Terms 치료와 수술 용어 ]
1) cardiocentesis(심장 천자) : 심장에 직접 Ca 이나 에피네피렌을 투여.
-cf) centesis(천자) : 강에 천공 또는 천자(구멍을 내는 것)하는 것.
-cf) pericardiocentesis : pericardio에 물이 찬 것을 빼주는 것.
2) cardiac massage(심장 마사지) : 심장 정지 또는 심실세동 후 순환 유지를 위해 손상되지 않은 흉 벽을 통해 압박을 가하거나, 수술하는 동안 심장에 직접 반복적이고 율동적인 압박을 가하는 것.
3) pericardiectomy(pericardiotomy, 심낭절제술) : 심장막의 외과적 절개술.
4) valvotomy(심판막 절개술) : 결손을 교정하고 적절한 개폐를 유지하기 위해 심장의 판막을 절개함.
5) artificial pacemaker(인공심박조율기) : 심장 근육을 전기로 자극하여 심한 서맥에서 심박동률을 증 가시키는데 쓰이는 전기적 장치.
6) cardioversion(defibrillation, 심장충격술, 전기충격술) : 심율동전환. 환자의 가슴에 부착된 2개의 금 속판(전극)을 통해 동시에 전기 충격을 주어 심장의 정상 리듬을 회복시키는 것.
7) cardiac catheterization(심도자법, 수술) : 팔 또는 다리의 큰 정맥을 절개한 후 혈관을 통해 심장까 지 삽입하는 진단적 절차.
8) heart-lung machine(인공 심폐기) : 심장을 열고 수술하는 경우 심장을 멈추게 해야할 때 사용.
→ extracorporeal circulation(체외순환)
9) mitral commissurotomy(승모판 교차연결 절제술) : 승모판 협착증 치료를 위해 승모판 첨두의 연 결 부위를 나누는 심장판막증 수술법.
10)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CPR, 심폐소생술) : 인공호흡과 외부 심장 마사지 수기로 구성된, 생명의 유지를 위한 기본적인 응급절차. 심정지의 경우, 순환과 환기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시행하 며, 무산소증으로 발생하는 돌이킬 수 없는 뇌손상을 예방하는 것이 목적이다. 외부적 심장마사지는 흉골과 흉추 사이의 심장을 압박하는 것이다. 압박하는 동안 혈액이 전신 순환과 폐순환을 하도록 하 여, 압박을 중지했을 때 정맥혈이 심장에 다시 채워진다. 구강 대 구강 호흡이나 인공호흡기를 사용 하여 혈액이 순환계를 통해 산소화 되도록 부수적으로 이용하고 있다.
[ Abbreviations 약자 ]
1) ASD(atrial septal defects) : 심방 중격 결손증
VSD(ventricular septal defects) : 심실 중격 결손증
2) BP(blood pressure) : 혈압
3) EKG(심전도)
4) MI(myocardial infarction) : 심근경색증
5) MS(mitral stenosis) : 승모판 부전증
6) PDA(patent ductus artenosis) : 동맥관 개존증
7) PTCA(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 경피혈관 관상동맥 형성술
→ 경피적 경혈관관상동맥 확장술. 동맥경화의 관상동맥 질한과 협심증의 치료기술. 심장의 동맥에서 일부 플라크들을 동맥벽쪽으로 편평하게 만듦으로써 혈액의 흐름을 증진한다.
8) TIA(transient ischemic attack) : 일과성 허혈발작. 부적절한 뇌혈관 문제로 흔히 죽상동맥에 섬유 서 플라크 형성으로 인해 동맥혈관의 폐색과 관련되어 나타난다. 한쪽 또는 양쪽 눈에 시력 장애, 어 지러움, 쇠약, 연하곤란, 무감각, 무의식이 일어날 수도 있다. 발작은 일반적으로 짧게 나타나 2~3분 간 지속되기도 하나 드물게 증상이 몇 시간 동안 계속되기도 한다.
9) VHD(valvular heart diasease) : 판막성 심질환. 심장 판막의 선천적․후천적 이상. 협착이나 혈류 폐색, 판막 퇴화와 혈류 역행이 특징이다.대동맥 판막과 승모판막 질환은 선천적 결함, 박테리아성 심 내막염, 매독, 류머티스열에 의한 경우가 가장 흔하다. 협착성 대동맥판막은 칼슘을 제거하고 연합부 를 개방하거나 첨판들을 제거하여 판막을 재건하고 돼지판막이나 인공판막으로 대치한다. 결손성 승 모판이나 삼첨판은 외과적으로 대치되거나 복구된다.
< Arteries, Capillaries, Veins 동맥, 모세혈관, 정맥 >
[ Anatomical Terms 해부학적 용어 ]
1) aorta : 대동맥
2) artery : 동맥
- tunica adventitia(외막), tunica media(중막-가장 발달), tunica intima(내막)
3) arteriole : 세동맥, 소동맥
4) capillary vessel : 모세혈관
5) venule : 세정맥
6) vein : 정맥
[ Symptomatic Terms and Disease Terms 증상용어와 진단용어 ]
1. Symptomatic Terms
1) angiospasm(혈관경련) : 돌발적이고 일시적인 혈관 수축(vasospasm)
2) vasoconstriction(혈관수축, 협착) : 피부나 복부 내장의 혈액 저장소 동맥과 정맥 등 혈관의 내강이 좁아지는 것. 혈압을 조절하고 혈액을 분배하는 여러 가지 기전에 의해 발생.
3) vasodilation(혈관 확장) : 혈관의 지름이 증가하는 것. 수축성 신경을 억제하고 확장성 신경을 자극 하여 일어난다.(vasodilatation)
4) infarction(경색증) : 경색의 발달이나 형성
-cf) infarct(경색) : 조직, 혈관 기관 또는 조직의 무산소증으로 인한 부분에서 국소적인 괴사.
5) ischemia(허혈, 국소빈혈) : 신체 기관이나 국소로 산화된 혈액의 고급이 감소된 상태. 종종 허혈성 심질환 같은 통증과 기능 이상을 유발한다.(iscaemia)
2. Inflammation and Infections(염증과 감염 용어)
1) arteritis(동맥염) : 1개 이상의 동맥에서 생긴 염증.
2) endocarditis : 심내막염
3) thrombophlebitis(혈전성 정맥염) : 정맥의 염증으로 가끔 응혈괴를 동반하기도 한다.
4) thrombo-angitis obliterans, Buerger's disease(폐쇄성 혈전혈관염, 뷔르거 병) : 혈관의 폐색 상태 로 일반적으로 다리나 발에 발생하는데, 먼저 작은 동맥과 중간 크기의 동맥이 염증 상태가 되고 그 다음에 혈전이 형성된다. 심할 경우 발가락이 괴사되기도 한다. 여성보다 남성에서 자주 나타나며 흡 연 남성과 20~40세 남성에서 잘 발생한다.
3. Degenerative Disorders(퇴행성 질환)
1) aneurysm(동맥류) : 혈관벽의 국소적인 확장. 흔히 동맥경화와 고혈압으로 발생하며 가끔 외상이나 감염으로 인해, 또는 선천적으로 혈관벽이 약해서 발생한다. 대동맥에서 가장 흔히 나타나며 말초혈 관에서도 발생한다. 나이 든 사람은 하지에, 특히 슬와동맥에 흔하다.(뇌안에서 잘 생긴다. 터질 경우 사망 또는 편마비가 온다.)
2) arteriosclerosis(동맥경화) : 동맥벽의 비후․탄력소실․석회화가 특징인 흔한 동맥질환. 특히 대뇌 와 하지의 혈액순환이 감소한다.
3) atherosclerosis(죽상경화) : 콜레스테롤, 지방 및 대동맥벽과 중 정도의 동맥벽의 내층에서 탈락된 세포의 노란색 플라크를 특징으로 하는 흔한 동맥질환. 혈관벽은 비후하고 섬유화하며 석회화하고 관 강이 좁아져 정상적으로 동맥에 의해 기관에 공급하는 혈류가 감소한다.
4) embolism(색전증) : 이물질이 혈류를 따라 흐르다가 혈관 벽에 걸리는 비정상 순환 상태.
- embolus, pl. emboli (색전) : 혈관에 걸리기 전까지 혈류를 따라 순환하는 이물질, 소량의 공기나 가스, 조직이나 종양조각 또는 혈전조각.
- thrombosis(혈전)
- infarction(경색증) : 조직, 혈관 기관 또는 조직의 무산소증으로 인한 부분에서 국소적인 괴사.
5) varicosity(정맥류종창) : 부종과 굴곡을 동반한 정맥의 비정상적 상태(의 정맥).
- varicose vein(정맥성류 정맥) : 판(valve)의 문제로 정맥이 꼬이고 확장된 것. 선천성 판막결손이 가장 흔한 원인이며 혈전성 정맥염, 임신, 비만 등도 원인이 된다.
6) hypertension : 고혈압
7) Raynauld's phenomenos(-a)(Raynold 지허혈 현상) : 사지의 허혈이 간헐적으로 나타나는 것. 특히 손, 발가락, 귀, 코 등이 찬 기운에 노출되거나 정서적인 자극을 받았을 때 일어난다. 발병시 사지가 심하게 핏기가 없어지며 청색증을 보이다가 다시 발적을 보인다. 이 때 무감각, 얼얼함, 화끈거림과 간헐적인 동통이 동반된다.
[ Therapy and Operative Terms 치료 및 수술 용어 ]
1) aneurysmectomy : 동맥류 절제술(근처의 혈관을 묶어 피가 통하지 않게 한 후 절제)
2) embolectomy(색전절제술) : 색전이나 응고물을 제거하기 위해 동맥을 외과적으로 절개하는 것. 수 술은 가능한 통증이 시작된 지 4~6시간 내에 이루어져야 한다.
3) endartectomy(동맥내막절제술) : 동맥 내막층의 외과적 절제. 플라크가 축적되어 막힐 수 있는 큰 동맥을 깨끗이 하기 위해 하는 시술.
4) thrombectomy(혈전절제술) : 혈관으로부터 혈전을 제거하는 수술로 손상된 부분의 순환을 회복시 키기 위한 응급수술. 수술 전에 항응고제 투여가 시행된다.
5) vein stripping(정맥박리술, 정맥압착술) : 엉덩이부터 발목까지 복재정맥을 압착 또는 제거하는 외 과적 시술. 재발성 혈전성 정맥염이나 심한 정맥류의 치료를 위해 시행되며 관상동맥 우회술 같은 혈 관이식의 경우에도 시행된다.
6) venous sclerosis by sclerosing agent(정맥경화술)
7) venipuncture(정맥천자술) : 유연한 플라스틱 관이나 날카롭고 딱딱한 소침 또는 주사기나 관에 부 착된 금속 바늘로 피부를 통과하여 정맥을 천자하는 것. 혈액 검사물을 체취하거나 정맥절개술, 약물 투여, 정맥 내 수액 공급, 방사선검사를 위한 방사성 물질 주사를 위해 사용한다.(venepuncture)
[ Clinical Procedures and Laboratory Tests 처치 및 병리검사 ]
1) serum enzyme test(혈청효소검사)
- CPK(creatine phosphokinase) : 크레아틴 포스포카이네이스(인산) 효소
- LDH(lactic degydrogenase) : 유수탈수소효소
- SGOT(serum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 혈청글루타민산 옥살로초산 트란스아미네이스
→ 신체의 여러 부위, 특히 심장, 간, 근육 조직에서 발견되는 촉매 효소.
- SGPT(serum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 혈청글루타민산 파이부빈산 트란스아미네이스
→ 간에서 고농도로 발견되는 촉매성 효소. 혈청 속의 정상치 이상의 증가는 간의 손상을 나타냄.
2) EKG : 심전도
3) echocardiography : 초음파 심장 조영술
4) treadmill stress test : stress 부하 검사
5) cardiac ultrasonogram : 심장 초음파검사법
6) coronary angiography : 관상 혈관조영술
7) coronary intervention(관상 시술) : balloonig(풍선확장), spring(용수철), stent(부목)
Ⅵ Blood and Lymphtics system [ 혈액과 림프계 ]
< Blood >
[ Hematological Terms 혈액학적 용어 ]
1) erythroblast(적아구) : 적혈구의 미성숙한 형태. 골수에서만 발견되며 헤모글로빈을 함유하고 있다.
- immature red blood cells.
2) erythrocyte(적혈구) : 순환 혈액의 주요 성분으로 산소 및 탄산가스 운반이 주요 기능.
원판 모양으로 핵이 없다. 고정된 모양을 유지하지 않고 막의 탄성으로 변형된다.
3) leukocyte(백혈구) : 골수와 림프절에서 형성되며 핵을 지녔다. 핵이 염색되는 상태에 따라 호산성구(적색), 호염기구(청보라), 호중성구(자주색)로 나뉜다. 세포질의 과립 유무에 따라 과립백혈구, 무과립 백혈구로 분류한다.
- granulocyte(과립구)
① neutrophil(호중구) : 식세포 작용. 세균 침입에 가장 먼저 대응(50~70%)
② eosinophil(호산구) : 알레르기성 염증, 기생충 감염 등에 반응(1~4%)
③ basophil(호염구) : 항응고제인 heparin을 간에서 유리하여 혈액 응고를 방지. 항원-항체 반응시 histamin 방출.(0~1%)
- agranulocyte(무과립구)
① lymphhocyte(림프구) : 항체 형성 - 면역의 중추. 세포성 면역에 관여하는 T-lymphocyte와 체액 성 면역에 기여하는 B-lymphocyte로 구별한다.
- T-Lymphocyte : 흉선-thymus에서 생성. 림프절에서 항원과 결합하여 감작 T-lymphocyte로 변형되어 면역반응을 보인다. Killer T cell, Memory T cell, Helper T cell, Suppressor T cell이 있다.
- B-Lymphocyte : 골수에서 생성. 항원에 대한 항체를 생산하여 면역작용을 한다. 혈장세포(plasma cell)와 기억세포(memory B cell)로 나뉜다. 기억 B세포는 림프절에 저장되어 있다가 그 항원이 침입하면 곧 혈장세포로 변환하여 다량의 항체를 생산한다.
② monocyte(단핵구) : 대식세포. 호중성구보다 5배 이상의 능력을 가짐. 항원정보를 림프구에 제공. 조직에서 macrophage로 전환됨.
* 크기 : ①<② * 핵크기 : ①<②
4) plasma(혈장) : 혈액의 약 55%. 90%는 물이고, 7%가 단백질, 3%가 무기질 및 유기질 등으로 구성. 단백질을 세포에 공급. 혈액의 교질 삼투압을 일정하게 유지. 혈액과 조직사이의 물질교환을 조절(예 : 알부민). γ-globulin은 면역항체를 함유하며 미생물, 독소로부터 방어. 혈장단백질은 주로 간에서 생성되어 간기능을 판정하는 중요 지표가 되며 양성 전해질로서 산-염기의 평형 유지에 기여한다.
-cf) cytoplasm(형질)
5) serum(혈청) : plasma(혈장) - 섬유소
6) platelet(thrombocyte, 혈소판) : 혈액에서 가장 작은 세포. 골수에서 형성되어 일부는 비장 내에 저장된다. 원판모양으로 헤모글로빈을 함유하지 않으며, 혈액응고에서 필수적인 요소이다.
7) hemoglobin(혈색소) : 폐에서 세포로 산소를 운반하고, 세포에서 폐로 CO2를 운반하여 제거하는 혈액 내의 단백질-철 복합체.
8) hematopoiesis(조혈, 혈액 생성) : 골수에서 이루어지는 혈구의 정상적 생성과 발달. 심한 빈혈이나 혈액이상일 경우 골수 외의 기관에서 혈구가 생성되기도 하는데, 이를 골수외조혈(extramedullary hematopoiesis)이라 한다.
9) blood clotting(혈액응고) : 액체에서 반 고형으로의 혈액 상태의 전환. 정상 혈관에서도 응고가 일어날 수는 있지만, 보통 조직 손상이 있을 때 응고가 시작된다. 혈관벽이 손상을 받은 후 수초 내에 혈소판이 손상 부위에 뭉치게 된다. 칼슘, 혈소판, 조직 인자들이 정상적으로 존재하면 프로트롬빈은 트롬빈으로 전환된다. 또한 트롬빈은 섬유소원을 불용성의 섬유소로 전환시킴으로써 모든 혈액 구성 성분이 고정되는 촉매제로 작용한다.
-cf) coagulation(응고, 응축) : 혈액에서 액체가 고체로 변하는 과정.
10) blood type(혈액형) : ABO Type, Rh Type
11) stem cell(간세포, 줄기세포) : 후대의 낭세포들이 다른 세포로 분화될 수 있는 줄기가 되는 세포.
12) Macrophage : monocyte가 조직내에서 분화된 것
13) Reticulo-Endothelial Cell(세망내피세포) : 외부 분자에 저항하는 면역체 형성 또는 콜로이드 분자와 식세포, 바이러스를 수용할 수 있는 혈관과 림프관을 채우는 세포.
14) Mast Cell(비만세포) : 헤파린, 세로토닌, 브레디키닌, 히스타민을 포함하는 커다란 호염기성 과립이 함유된 결합조직의 구성요인.
15) Plasma cell(형질세포) : 골수․결합조직 및 혈액에서 발견되는 림프구나 림프구 유사세포. 면역 기전에 관계하며 다발성 골수종에서 다량 형성된다.
[ Pathological Conditions 병리적 용어]
1. Symptomatic Terms(증상용어)
1) anisocytosis(적혈구 부동세포증) : 비정상적인 크기의 과다한 적혈구의 비정상적인 상태
- 같은 것이 만들어지지 않은 상태.
2) erythrocytosis(적혈구 증가증) : 순환 적혈구 수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는 것.
3) leukocytosis(백혈구 증가증) : 순환백혈구의 수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는 것. 종종 세균을 동반하나 바이러스성 병원체나 감염이 항상 함께 하지는 않는다.
4) leukopenia(백혈구 감소증) : 백혈구의 수가 5,000㎣이하로 감소하는 상태. 약의 부작용, 방사선 중독증 또는 병리적 상태에 의해 일어난다. 가장 일반적인 형태 두 가지는 호중구성 백혈구 감소증과 림프구성 감소증이다.(leucocytopenia, leucopenia)
5) macrocytosis(적혈구 거대증, 대적혈구증) : 말초 혈액에서 대적혈구의 비정상적인 증식.
6) microcytosis(적혈구 소구증, 소적혈구증) : 정상보다 작은 적혈구를 가진 혈액상태. 철결핍성 빈혈에서 볼 수 있다.
- 원인 ⅰ) Fe 조달 미흡 ⅱ) globulin이 적게 생성되는 질환일 경우
7) neutrophilia(호중구 증가증) : 백혈구증가증의 흔한 원인이 되는 혈액 내 호중구 수가 증가하는 것.
8) megaloblastosis(거대 적아구증) : 미성숙 거대 기능 부전성 적혈구로 일반적으로 심한 악성 빈혈이나 엽산 결핍성 빈혈과 관련된다.
-cf) megakaryocyte(거핵세포) : 극도로 큰 골수세포로 골수 내 혈소판 생산과 증식에 필수적이며, 순환 혈액 내에는 정상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9) poikilocytosis(변형 적혈구 증가증) : 혈액 내 적혈구의 모양이 비정상적으로 변형한 정도.
10) blood dyscrasia(혈액 이혼화증) : 백혈병, 재생불량성 빈혈 또는 태아 Rh 부적합증 같이 혈액이나 골수에 이상이 있을 때 나타나는 특이한 쇠약 상태.
11) hemochromatosis(혈색소증) : 드문 철 대사 질병으로 몸 전체에 나타나는 철의 과잉 침전이 특징이다. 간비대, 피부착색, 당뇨병, 심부전이 일어날 수도 있다. 이 질병의 대부분은 종종 겸상 세포 빈혈 같은 용혈성 빈혈의 합병증으로 발전한다. 치료를 위해 다량의 수혈이 필요하다.
- 실제로 색소와는 별 관계가 없다.
12) hemolysis(용혈 반응) : 적혈구의 수명이 끝나 정상적으로 일어나는 적혈구의 파손과 헤모글로빈의 유리. 항원-항체 반응, 적혈구 수명을 심각하게 감소시키는 적혈구의 대사장애, 심장의 인공 삽입물 같은 기계의 손상으로 일어날 수 있다. 과용량의 저장액의 정맥 내 주입에 의한 혈액 희석은 적혈구를 점진적으로 팽창시켜 용혈이 일어나게 한다.
- Serologic hemolysis : 혈청학적 용혈
- 헤모글로빈 정상수치 : 14~15
- 5~6으로 떨어질 경우 :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어 보이나 격한 운동에는 호흡이 가빠짐.
13) rouleaux formation(연전형성) : 복합골수종이나 거대 글로불린 혈증에서와 같은 비정상적인 단백질에 의해 발생하는 롤빵 모양으로 보이는 적혈구의 응집.
-cf) pseudoagglutination : 가상응집반응
- 혈관에 혈구들이 꽉 끼어서 지나가는 현상. 심할 경우 막힌다.
14) plycythemia vera(polycythemia) (다혈구증, 적혈구 증가증) : 원발성 또는 속발성 폐질환, 심장질환, 장기간 고지 체류나 개인 특성으로 생기는 혈액 내 적혈구 수 증가. 적혈구암
-cf)polycythemia (rubra) vera(진성 적혈구 증가증) : 적혈구 수, 혈구용적량, 세포혈색소, 백혈구, 혈소판 및 퐁 혈액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것이 특징인 원인 불명 상태. 피부와 점막이 적갈색 또는 서양 자두색으로 변하고 간비대, 췌장비대, 고혈압, 신경증으로 발전한다. 이런 상태는 F-염색체 결핍과 관련이 있다.
15) anemia(anaemia, 빈혈) : 정상 범위보다 낮은 수준으로 혈중 헤모글로빈이 감소된 상태. 적혈구 생산의 감소와 적혈구 파괴, 또는 혈액의 손실로 일어난다. 증상과 징후는 피로, 힘든 작업이나 운동 시 호흡곤란, 현훈, 두통, 불면증, 창백 등이다. 식욕부진, 소화불량, 심계항진, 빈맥, 심장 확장, 수축기 잡음도 있을 수 있다. 철분 결핍이 가장 흔한 유발 인자이다.
- iron deficiency anemia(철결핍성 빈혈 - hypochromic microcytic anemia), pericious anemia(악성 빈혈), aplastic anemia(무혈성성 빈혈, 재생불량성 빈혈 - 골수기능 이상으로 혈구생성이 안됨), hemolytic anemia(출혈성 빈혈)
16) hereditary spherocytosis(유전성 구상 적혈구증) : 상염색체에 의해 유전되는 혈액학적 장애로, 둥글거나 중앙의 양쪽이 오목한 모양보다 공 모양의 적혈구가 많아 용혈성 빈혈을 특징으로 한다. 세포는 취약하며, 산소가 부족한 말초순환계내에서 용혈된다. 복통, 발열, 황달 및 비장비대의 발작적 위기가 발생한다.
- 혈구가 잘 깨져 빈혈이 생기기 쉬움.
17) sickle cell anemia(겸상 적혈구성 빈혈) : 심한 만성 불치의 헤모글로빈증 빈혈 상태로, 동형접합의 헤모글로빈 S를 가진 사람에게서 발병한다. 비정상적 헤모글로빈은 적혈구의 파괴와 취약성을 초래하며, 관절통과 혈전 형성, 발열의 발증을 특징으로 하며, 만성 빈혈시 비장 비대, 기면, 전신 허약감 등을 나타낸다.
18) thalassemia(지중해성 빈혈) : 헤모글로빈 합성 능력의 결핍으로 생존 기간이 짧고, 저색소성, 소구성 적혈구로 인한 용혈성 빈혈이다. 지중해 지역 사람이 다른 곳보다 유병률이 높다. 상염색체 열성 유전이다. thalassemia major(Cooley's anemia)와 thalassemia minor의 두 형태로 나타난다.
- globin이 생성되지 않아 생긴 빈혈
19) hemophilia(혈우병) : 혈액 응고에 필요한 요인 중 하나가 결핍된 일련의 유전적 출혈장애. 항혈우병 제 8인자가 결핍된 A형 혈우병과, 혈장 트롬보플라스틴 요소가 결핍된 B형 혈우병이 가장 흔하다.
20) purpura(자반증) : 조직 내의 출혈이 특징적인 여러 개의 출혈성 장애. 특히 피부나 점막 밑에 생겨 반상출혈이나 점상출혈을 유발한다.
- 출혈성 질환이 있는 사람.
- petechia(정상출혈) : 홍역성 기관지염일 때 눈자위에 핏방울이 맺힐 수 있다.(점형태)
* ITP(Idiopathic Thrombocytopenic Purpure, 특발성 혈소판감소성 자반증) : 피부와 다른 기관에 출혈을 초래하는 혈소판 부족. 급성 혈소판감소성자반증은 바이러스 감염 이후에 나타나 몇 주 또는 몇 달 지속될 수 있으며, 보통 후유증은 없는 아동의 질병이다. 만성 혈소판감소성 자반증은 청소년기와 성인에게 잘 생기고, 좀더 잠행적이며 오래 지속된다. 혈소판에 대한 항체가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자반증 환자에게서 발견된다. 만약 산모가 이 질병을 가지고 있다면 태아에게 전달될 수 있다.
21) leukemia(백혈병) : 조혈기의 진행성 악성 질환으로 혈액․골수에 백혈구 및 그 아구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는 것이 특징이다. 수가 비정상적이거나 미성숙한 형태의 백혈구가 순환하며, 림프절, 비장, 간에 침윤한다. 원인은 명확하지는 않으나 유전적 소인과 함께 방사선, 벤젠 또는 골수에 치명적인 화학 물질에 노출되는 것이 원인이 될 수 있다.
- Myelocytic L. (골수구성 백혈병) : 조절되지 않고, 과잉 생성된 백혈구가 특징인 질환.
- Lymphocytic L. (림프구성 백혈병) :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의 경우 골수, 순환 혈류, 림프선, 비장, 간장 및 기타 기관의 림프아구와 닮은 많은 미성숙 세포가 특징인 진행성 악성 질병으로 정상 혈액세포 수가 감소한다.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은 혈액 생성조직의 신생물, 골수 속의 작고 수명이 긴 림프구(주로 B세포), 혈액․간․림프기관의 증식이 특징이다. 잠행성이고 권태감, 피로함, 식욕부진, 체중감소, 림프선증, 간․비장 비대로 진행한다.
22) multiple myeloma(대발성 골수종) : 골수의 악성 종양, 형질세포로 이루어진 종양은 정상의 골수 기능을 붕괴시키고 특히 편평골의 골성 조직을 파괴한다. 통증, 골절, 고칼슘혈증, 골격의 변형을 일으킨다. 잠복기가 길어 질환이 상당히 진행하기 전까지 많은 사람이 증상을 느끼지 못한다.
23) septicemia(패혈증) : 신체의 어느 부분에서 감염되어 퍼져 나온 병원균이 순환하며 혈류 속에 존재하는 전신성 감염. 발열, 오한, 쇠약, 통증, 두통, 메스꺼움, 또는 설사를 일으킨다.
-cf) sepsis(패혈증) : 감염, 오염. (seps- : 부패를 뜻하는 접두사)
24) epistaxis(비출혈) : 점막의 국소적 자극이나 강한 재채기, 약한 점막이나 동맥벽, 만성 감염, 외상, 고혈압, 백혈병, 비타민 K 결핍, 또는 코를 찔렸을 때 발생하는 코의 출혈(nose-bleed).
25) hemarthrosis(출혈성 관절증, 혈관절증) : 관절 내로 혈액이 유출되는 상태.(hemarthrosis)
26) hematemesis(토혈) : 급성 상부 위장관 출혈로 인한 선홍색 혈액의 구토. 일반적으로 식도 정맥류나 소화성 궤양과 관련된다.
27) hematoma(혈종) : 외상 또는 수술 후 불완전한 지혈로 인해 피부조직이나 기관으로 혈액이 유출되어 고인 것. 처음에는 공간 내로 출혈이 있게 되나, 공간이 제한되면 압력이 혈류를 느리게 하다가 정지시킨다. 혈액이 응고되고 혈청이 모이며 혈병은 경화되어 덩어리가 촉진되고 환자는 가끔 통증을 느낀다. 다량의 혈액이 손실될 수도 있으며, 감염이 심각한 합병증이다(blood blister, haematoma)
< Lymphatic System 림프계 >
[ Anatomical Terms 해부학적 용어 ]
1) lymph(림프, 림프액)
2) lymphatic vessel(림프관) : 간질세포 내
3) right lymphatic duct(우측 림프관)
4) thoracic duct(흉관) :
- 최종관. 정맥(심장근처)내로 들어감.
5) lymph node(림프절)
- 목(mandible 밑), 목 뒤, 겨드랑이, 서혜부
6) reticuloendothelial system(세망내피계, RES)
7) thymus(흉선)
- 흉골 밑 사춘기이후로 작아짐. 돗단배모양.
- T-cell이 thymus에서 성숙.
8) spleen(비장)
9) lymph node metastasis : 림프절 전이
- Virchow's node(피르호결절) : 단단한 상부쇄골림프절, 특히 왼쪽 부분으로 상당히 확대되어 있어 촉진할 수 있다.(sentinel node, signal node) 혈액을 따라 암 말기 때 촉지가 가능하다.
- Krukenberg's tumor(크루켄버그종양) : 소화기암 난소에 전이되어 생긴 신생물. 세포학적 검사 결과 점액성 퇴행, 도장 반지(signet ring)모양의 거대세포가 관찰된다.(carcinoma mucocellulare)
[ Pathological Conditions 병리적 용어 ]
1. Inflamation and Infections(염증과 감염)
1) lymphadenitis(림프절염) : 림프절의 염증성 상태로 대개 전신성 신생물 질환, 세균감염 또는 다른 염증성 상태에서 일어난다. 결절은 크고 단단해지며, 부드럽거나 불규칙적일 수 있고, 붉고 뜨겁게 느껴질 수 있다. - 목 아래 임파선을 만지면 부어있다.
2) lymphangitis(림프관염) :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림프관 염증. 대개 사지 중 하나의 급성 연쇄상구균 감염에서 비롯된다. 감염된 부위에서 겨드랑이나 사타구니까지 확대되는 작은 적색 선조와 발열, 오한, 두통, 근육통이 특징이다. 혈액을 통해 감염이 퍼질 수 있다. - 염증이 잘 만들어지는 세균에 의해
3) bubo(림프절 종창, 부보, 가랫톳) : 염증을 일으켜 종창이 된 림프절을 뜻한다. 서혜부에 주로 나타나고 연성 하감, 성병성 림프육아종, 매독 같은 질병과 관계 있다.
4) lymphadenopathy(림프절병증, 림프절종대) : 림프절이나 림프관의 국소적 또는 전신적인 증대가 특징인 장애
2. Neoplastic Disorders(신생물성 장애)
A. malignant lymphoma(악성 림프종)
1) Hodgkin's disease(하지킨 병) : 처음에는 경부 림프선에서 시작하여 림프선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무통성 악성 질환. 비장종대, Sternberg-Reed 세포 출현, 무정형이며 핵이 많은 대형 대식세포의 출현이 있게 된다. 증상으로는 체중 감소, 전신 소양감, 미열, 야간 발열, 빈혈, 백혈구증다증이 있다.
- 임파암. 동시다발적으로 생긴다.(일반적 : 목→다른부위)
2) Non - Hodgkin's lymphoma(비하지킨 림프종, NHL) : 림프조직을 포함하여 악성 종양의 이종군의 일부. 비호지킨 림프종은 조직학적․면역학적․임상적 특성이 다르며 이에 따라 예후가 다르다. 숙련된 병리학자가 정확한 진단을 내리기 위해서는 적어도 하나의 침범된 림프결절을 절제하여 생검 평가를 한다.
- 약물․방사선 치료에 잘 듣는 편. 아주 초기를 제외하고 거의 수술을 하지 않음.
B. lymphagioma(림프관종) : 피부에 생기는 양성의 황갈색 종양으로 확장된 림프관의 종괴로 이루어진다. 종양은 미용상의 이유로 절개되거나 전기응고법을 사용하여 제거된다.
3. Symptomatic Terms(증상용어)
*filariasis(사상충) : 신체조직 내에 필라리아사상충이나 사상충 유충이 존재하여 야기되는 질환. 모기나 다른 고눙에게 물린 상처를 통하여 신체 내로 들어온 후 림프선 및 림프관으로 몰려든다. 전염의 특징은 림프관의 폐색이며, 봉쇄될 때까지 사지 말단의 팽창과 통증을 동반한다.
- lympatics에 들어가 죽음(물이 많은 곳. 피부를 뚫고 들어옴)
1) lymphedema(림프부종) : 연조직에 림프가 축적되고 림프관의 염증, 폐색 또는 손실에 의해 일어나는 부종이 특징인 원발성 또는 2차성 상태. 하지의 림프부종은 발에 가벼운 부종이 나타나면서 시작되며, 서서히 다리 전체로 확산되어 오랫동안 서 있거나 임신, 비만, 더운 날씨, 월경 주기일 때 악화됨.
2) lymphangiectasis(림프관 확장증) : 작은 림프관들의 확장. 골반결핵, 장간막 결절전이와 원충류 질환에서처럼 대개 큰 관들이 폐쇄되기 때문에 발생한다.
3) lymphocytosis(림프구 증가증) : 특정 만성 질환이나 급성 감염으로부터 회복될 때 나타나는 림프구의 증식
4) lymphocytopenia(림프구 감소증) : 원발성 혈액장애나 영양결핍, 악성 종양, 전염성 단핵구증과 관련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말초순환에서 림프구의 수가 감소하는 것.
5) Pel-Ebstein fever(반복적인 열) : 며칠 또는 몇 주에 걸쳐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발열 현상을 뜻하며 악성 림프종 또는 육아종이 특징이다.(Murchison fever)
6) splenomagaly(비장비대증) : 비장의 비정상적인 증대로 문맥성 고혈압, 용혈성 빈혈
[ Operative Terms 수술적 용어 ]
1) lymphadenectomy(림프절 절제술)
- An mass lymphdenectomy
2) lymph node biopsy(림프절 생검)
3) splenectomy(비장절제술) : 외과적으로 비장을 제거하는 것으로 제거 후 면역계 내에서의 주요한 비장 기능 소실로 감염이 올 수 있으므로, 비장절제술 환자는 박테리아 감염에 취약하게 된다.
4) splenorrhaphy(비장 봉합술)
[ Laboratory Tests and Clinical Procedures 병리검사와 임상처치 ]
1) hematocrit(Hct)(적혈구용적) : 적혈구 용적을 측정하는 것으로 전체 혈액량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낸다. 정상수치는 남자에서 43~49%, 여자에서 37~43%이다.(haematocrit)
2) hemoglobin count(혈색소 측정)
3) white blood cell count(백혈구수 측정)
4) red blood cell count(적혈구수 측정)
5) platelet count(혈소판수 측정)
6) bone marrow biopsy(골수생검)
7) bone marrow tansplant(골수이식술) : 혈구 생성을 자극하기 위해 건강한 골수 제공자에게서 뽑은 골수를 이식하는 것. 재생불량성 빈혈, 백혈병, 면역결핍증후군 같은 조혈성 질환이나 림프세망내피성 질환의 치료에 사용한다. - 백혈병 환자에게 최후 방법으로 시행(혈액형)
8) lymphangiography(림프관 조영술) : 조영제를 주입한 후 림프선과 림프관을 X선으로 검진하는 것(lymphography)
[ Abbreviation 약어 ]
1) Ag(항원), Ab(항체)
2) ABO : 3 major blood types
3) AIDS - 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후천성 면역 결핍 증후군)
4) CBC - Complete Blood Cell Count
5) ESR -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적혈구 침강율)
- 정상이 아닌 사람이 빨리 떨어짐(예 : 결핵)
6) Hb - hemoglobin
7) Hct - hematocrit(적혈구용적)
Ⅶ Integmentary system [ 외피계 ]
[ Anatomical Terms 해부학적 용어 ]
1. Structure of the Skin(피부의 구조)
1) epidermis(표피) : ① Stratum corneum(각질층) ② St. lucidum(투명층) ③ St. granulosum(과립층)
④ St. germinativum(종자층, 재생층)
2) corium, dermis(진피) : 표피 바로 아래의 피부층. 유두층 및 망상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혈관, 림프관, 신경 및 신경말단, 분비선 및 모낭을 포함한다.
3) subcutaneous tissue(피하조직) : fat
4) sebaceous glands(피지선) : 진피에 있는 많은 작은 소낭 기관 중의 하나. 선에 의해 만들어지는 피지는 털과 주위의 피부 표면을 매끄럽게 하고 땀의 증발을 막아 주며, 체온 유지를 도와준다.
- sebum(지방, 피지) : 피지선의 기름기 있는 분비물로 케라틴, 지방, 세포의 부스러기로 구성된다. 땀과 혼합된 피지 분비물을 약한 항생균성, 항진균성으로 피부가 건조해지는 것을 예방하는 습기 있는 지방성 산성 필름을 형성한다.
5) macule(오점, 반점) : ① 피부 표면에 주근깨나 발진처럼 작고 편평한 점이나 탈색이 된 것.
② 확대되지 않고도 보이는 각막의 회색 상흔.
-cf) tatoo : 문신
6) papule(구진) : 편평태선, 비농포성 여드름과 같이 1㎝ 미만의 단단하고 융기된 피부 결절
-pl) papula : 피부의 작은 표재성 융기. 피부가 도드라짐(홍역 : 붉은 반점)
7) nodule(소결절) : 작은 결절(과 같은 구조물) - 피하조직이 만져짐(예 : 림프절)
8) wheal(팽진) : 소양증이 있는 사람의 병소 - 두드러기. 투베르쿨린 반응
9) vesicle, bleb(소포, 수포) : 피부 밑에 축적된 수분
10) pustule(농포) : 화농성 액체를 함유한 작고 원형의 융기된 피부 상태
11) cyst(낭)
12) scale(인설) : 비늘. 각질화된 상피세포의 작고 얇은 조각.
13) ulcer(궤양) : 염증, 감염, 악성 종양 진행 과정의 결과로 괴사가 되어 생기는 피부나 점막의 둥근 분화구 비슷한 손상 부위.
14) scar(상흔, 흉터) : 발적과 연화가 특징인 피부 치유기의 초기 후에 비혈관성이고 창백한, 수축된, 굳은 반흔 조직이 있는 형태.
15) crust(가피) : 신체의 삼출물이 건조되면서 딱딱하게 경화된 표피층. 습진, 농가진, 지루, 황선과 같은 피부질환에서 흔하며, 화상과 병변의 치유 과정에서 생기는 가피를 일컫는다.
- pseudomembrane(가피, 딱지)
16) excoriation(박피, 박탈) : 긁히거나 박리, 화학적 또는 고열에 의한 화상 같은 외상에 의해 신체 표면이 손상되는 것.
17) lichenification(태선화) : 소양 부위를 반복적으로 긁어서 나타나는 자극으로 피부가 경결되거나 두꺼워지는 것.
2. Symptomatic and Pathological(증상과 병리적 용어)
1) alopecia(탈모) :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모발이 부족한 것. 정상적인 노화, 내분비질환, 약물 부작용, 항암제, 피부질환으로 인해 나타난다.
2) urticaria(담마진, 두드러기) : 창백한 중앙부와 홍반성 경계를 가지며 다양한 모양과 크기로 나타나는 가려움을 동반한 피부 반응. (hives)
3) prutitus(소양증, 가려움증) : 가려움과 불편감 때문에 몹시 긁고 싶어하는 증상. 긁으면 2차 감염이 초래된다. 원인으로는 알레르기, 감염, 황달, 만성 신질환, 림프종, 피부자극 등이 있다.
4) petechia(점상 출혈(반점)) : 피내 또는 점막하의 출혈로 인해 생기는 약간 돋아 오른 원형의 자적색 점상 출혈.
5) ecchymosis(반상출혈(반점)) : 하부 혈관에 대한 손상이나 혈관벽의 약화로 인해 피하조직에 혈액이 스며 나와 생기는 피부나 점막의 푸르스름한 변색(bruise : 멍, 좌상, 타박상)
6) purpura(자반증) : 조직 내의 출혈이 특징적인 여러 개의 출혈성 장애. 특히 피부나 점막 밑에 생겨 반상출혈이나 점상출혈을 유발한다.
7) eruption(맹출, 출현, 발진) : 피부 병변에 빠르게 형성되는 바이러스성 발진. 약물 작용에 의한 발진시 특징적으로 나타남.
- exanthem(전신적 발진, 피진) : 감염성 질환의 특정 진단 소견을 가지는 피부 자극이나 발진. 수두, 홍역, 소아장미진, 풍진은 특정한 발진을 나타낸다(exanthema)
8) polyp(용종) : 점막 표면에서 돌출해 작은 종양 같이 성장한 것.
9) acne vulgaris(심상성 좌창, 일반 여드름) : 염증성 질환으로 피지선이 많은 곳(얼굴, 등 윗부분, 가슴)에 흔하다.
10) burn(화상) : 열, 전기, 화학 물질, 방사선, 가스 등에 의해 발생한 신체 조직의 상해. 심한 화상은 쇼크를 유발할 수 있으며, 상처 부위보다 쇼크를 먼저 처치해야 한다.
11) rule of nine : 화상을 입은 체표면적을 평가하는 방식.
*두부(9%), 양팔에 각각(9%), 양쪽다리에 각각(18%), 체간 전면과 후면에(18%), 회음부(1%)
12) decubitus ulcer(욕창, 압박성 궤양) : 뼈 돌출 부위의 피부 염증 및 궤양. 자시간의 순환장애로 조직은 압박 괴사에 빠지고 궤양을 형성한다.(pressure ulcer)
13) eczema(습진) : 원인 불명의 표재성 피부염으로 초기에는 가렵고 발적이 있으며 농포성, 부종성, 그리고 진물이 흐를 수 있다. 후기에는 가피, 인설, 비후와 태선화가 된다. 악화 요인은 갑작스런 온도 변화, 습도, 심리적 스트레스, 섬유, 세척제, 향수 등이 있다.
14) tinea pedis(무좀, 족부백선) : 발, 특히 발가락과 발바닥 사이의 피부에 발생하는 만성 표재성 진균 감염이다.(athlete's foot)
15) scabies(옴, 개선) : 옴벌레에 의해 발생하는 전염병. 피부의 강렬한 가려움과, 긁은 곳의 피부가 벗겨지는 특성이 있다.
- pediculosis(이기생증, 슬증) : 흡혈 이의(체내)감염. 두슬증과 구슬증이 있다.
16) contact dermatitis(접촉성 피부염) : 노출로부터 자극 또는 민감한 항원에 의해 생겨나는 피부발진. 비알레르기성은 알칼리성이나 산성 세정제가 원인으로 열성 화상 병변과 비슷한 병변이고, 알레르기성은 민감한 항원이 특정한 림프구의 면역을 변화시키는 것이 원인이다.
- allergic dermatitis(알레르기성 피부염) : 알레르기원과 접촉한, 과민한 사람의 신체 부위에 발생하는 피부의 급성 세포 매개성 염증 반응.
17) Hansen's disease(나병, leprosy) : 나균에 의해 발병하는 만성 전염성 질환으로 숙주의 면역성 정도에 따라 두 가지 유형이 있다. tuberculoid leprosy(결핵양라)는 나병 감염에 대한 세포성 면역에 의한 저항이 강하기 때문에 탈신경과 지각해리, 배 모양의 피부병변이 나타난다. Lepromatous leprosy(나종성라)는 저항성이 약한 사람에게 나타나므로 여러 신체 장기까지 침범하고, 피부에 많은 반(plaque)과 결절을 형성하며, 홍채염․각막염․비연골과 뼈의 파괴, 음경위축, 말초부종, 그리고 내피세망계까지 침범하고 실명할 수도 있다.
18) gangrene(괴저, 탈저) : 주로 혈액 공급의 부족, 박테리아의 침범으로 나타나는 조직의 괴사로 조직의부패가 따른다. 대부분 사지에 영향을 주지만, 장과 담낭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dry gangrene(건성 괴저) : 세동맥경화증으로 나타나는 당뇨병의 합병증
*moist gangrene(습성 괴저) : 세균 작용으로 단백질의 융해를 수반하는 조직의 괴사로 색전증, 토니켓의 조이는 붕대 압박으로 인한 혈류 차단으로 나타난다.
-cf) necrosis(괴사) : 질병이나 상해에 대한 반응으로 세포 내에서 일어나는 국소적인 조직의 죽음. 응고 괴사에서는 혈전이 혈류의 흐름을 막아 조직 허혈을 초래하고 괴저성 괴사에서는 허혈과 박테리아 작용이 결합하여 부패시킨다.
19) herpes simplex(단순포진) : 단순포진바이러스(HSV)에 의한 감염. 피부와 신경계에 친화력을 갖고, 보통 피부와 점막에 일시적인 자극을 일으키고, 때때로 고통스러운 액체로 꽉 찬 작은 수포가 생긴다. - 입술 주위에 트는 것(물집)
20) herpes zoster(대상 포진) : 주로 성인에게 잠복한 varicellar zoster virus(수두-대상포진성 바이러스, VZV)의 재활성화로 인한 급성 감염. 바이러스에 의해 염증이 있는 뇌와 척수 신경의 경로에 통증이 있는 소포성 피부발진이 일어난다.(shingles)
- 쇠로 이루어짐(늑간 신경을 따라서 : 등→배) - 후유증이 오래간다.
21) celluritis(봉와직염, 세포염, 봉소염) : 피부나 피하조직의 광범위한 급성 염증. 주 증상으로 국소적 열감, 발적, 통증, 부종 등이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간혹 열, 권태감, 오한, 두통을 호소한다. 일반적으로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농양과 피부 파괴가 나타난다. 감염은 피부손상, 순환장애, 당뇨병이 있는 상태에서 더 잘 진행된다.
22) furuncle, boil(절, 부스럼, 종기) : 모낭이나 선에서 일어나는 국소화된 화농성 포도상구균의 피부 감염으로 인한 동통, 발진, 부종을 말한다. 감염된 부위의 중심 깊은 곳은 괴사되어 저절로 분출하고, 결국은 흡수되거나 외과적으로 제거되는 죽은 조직의 농심을 형성한다.
-cf) follicle(소난포) : 갑상선과 같은 일부 분비선에서의 체액 또는 교질로 가득 찬 세포구.
23) carbuncle(큰 종기, 옹) : 심부에서 상호 연결되는 피하 포켓에 화농성 물질을 함유하는 넓은 포도상구균 감염 부위. 고름은 개구부를 통해 피부 표면으로 배출된다. 호발 부위는 목뒤와 둔부이다.
24) sebaceous cyst(피지낭종) : 유표피낭포(epidermoid cyst) 또는 모낭포(pilar cyst)의 잘못된 표기.
- 남성 : 귀주변
25) keloid(켈로이드) : 피부 상처 부위에 흉터 조직이 과성장하는 것. 새로 생긴 조직은 융기되어 있고 둥글며 단단하다.
26) basal cell carcinoma(기저세포상피암종) : 악성의 상피종양으로, 구진으로 시작하여 출혈, 부스럼, 미란 등이 있는 중심 원형 함몰부가 생기면서 말초로 확대된다. 전이는 드물지만 국소적인 침습으로 하부와 인근 조직을 파괴한다.
27) squamous cell carcinoma(편평세포암) : 폐나 피부에서 잘 발견되는 편평상피세포의 악성 종양으로, 성장이 느린 것이 특징이다.
-cf)squamous : 세포가 편평한
28) malignant melanoma(악성 흑색종) : 멜라닌 생성세포로 구성된 피부 악성 신생물. 멜라닌 생성세포의 모반은 후천적 또는 선천적이다. 흑색종은 전이되고 모든 피부암 중 가장 악성이다.
[ Therapy and Operative Terms 치료 및 수술 용어 ]
1) dermabrasion(피부찰상법, 박피술) : 순환식 철 브러시 또는 사포를 사용하여 피부의 심한 여드름 자국을 줄이고, 반흔, 자청, 색소성 모반, 잔주름 또는 상흔을 제거하기 위한 치료 방법.
- physical, chemical, laser
2) debridement(변연절제술) : 화상 부위로부터 감염 예방과 치료 촉진을 위해 이물, 괴사조직․세포조직파편을 제거하거나 또는 소각하는 것.
3) cauterization(소작술) : 소작에 의해 신체의 일부를 태우는 과정.
- 소작하다(cauterize) : 보통 손상되거나 병든 조직을 파괴하려는 목적으로 증기, 뜨거운 금속, 태양 방사열을 포함한 뜨거운 열, 전기, 또는 드라이 아이스 같은 물질로 조직을 태운다.
4) cryosurgery(냉동외과, 냉동술) : 조직을 파괴하기 위해 빙점하의 온도를 이용하는 방법.
5) laser surgery(레이저 수술)
[ Clinical Procedures 임상 처치 ]
1) skin test(피부검사) :
- intradermal injuction(피내주사) : 혈청이나 백신 등을 주입할 목적으로 피내 주사한다.
2) Patch test(첩포검사) : 알레르기원을 확인하기 위한 피부 반응 검사로 특히 첩촉성 피부염에 사용한다. 의심되는 물질(음식물, 꽃가루, 동물의 털)을 반창고에 붙여 환자의 피부 위에 놓고, 한 곳에는 반창고만 붙여두는 대조군을 둔다. 대개 24~28시간 지난 후 반창고를 제거한다.
3) scratching biopsy(난절생검) : 알레르기원을 알아내기 위한 피부 반응 검사. 추정되는 알레르기원을 함유하고 있는 용액을 피부를 살짝 긁은 후에 소량 떨어뜨린다.
[ Abbreviations 약어 ]
1) Bx - biopsy(생검)
2) Dx - diagnosis(진단)
3) Tx - treatment(치료)
4) Derm. - dermatology(피부과학)
5) ung. - ointment(연고)
Ⅷ Digestive System [ 소화기계 ]
< Oral cavity >
[ Anatomical and symptomatic Terms 해부학적 및 증상 용어 ]
1) lingual frenulum(설소대, frenulum of tongue) : 구강의 천장 부분과 혀 아래의 중앙선까지 연결하고 있는 점막층의 종단 주름.
2) hard palate(경구개)
- palate : 입천장, 구개
3) soft palate(연구개)
4) uvula(목젖) : 연구개의 뒤쪽 경계부 중앙에 있는 동전 모양의 작은 조직.
5) superior labial frenulum(상구순대)
6) gingiva(잇몸)
7) xerostomia(구내건조증) : 정상적인 타액분비 중지에 의한 구강의 건조증. 당뇨병, 급성 감염, 히스테리와 Sjögren증후군 같은 다양한 질병의 증상으로 나타나며, 안면신경마비에 의해 일어날 수도 있다. 또한 약물의 일반적인 부작용이기도 하다.
8) leukoplakia(백반증, 백판증) : 약간 도드라지고 경계가 뚜렷하며, 두껍고 하얀 반점을 가진 점막에 천천히 변화가 진행되는 전암 상태. 입과 볼 점막에 나타나는 것은 파이프 흡연과 관계가 있으며, 음경과 음부에 발생하기도 한다.
9) aphthous stomatitis(아프타성 구내염) : 아픈 궤양의 발진이 구강점막에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상태. 원인 불명이나 면역 반응이라는 것을 시사하는 증거가 있다. 유전, 음식, 과도한 칫솔질, 정서적인 긴장 등이 원인이다.
10) thrush(아구창, 백반창) : 구강 점막의 칸디다증. 감염된 구강 점막이나 혀에서 크림 같은 하얀색의 반점을 특징으로 한다. 성인의 경우 HIV감염의 증상일 수 있다.
- moniliasis, candiasis(칸디다증) : Candida종에 의한 감염. 이 병은 흰색 삼출물, 소양증, 낙설, 출혈이 쉽게 일어난다. 기저귀발진, 간찰진, 질염, 아구창은 칸디다증의 흔한 국소적 증상이다. 심내막염, 신장, 비장, 간장, 폐 등의 염증이 쇠약한 환자에게 나타날 수 있다.
11) ankyloglossia(설구착증, 설소대단축증) : 혀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말하는데 결함을 나타내는 비정상적으로 짧은 혀의 소대가 특징인 구강 결함.
12) cleft lip, harelip(구순열, 토순) : 하나 이상의 열이 윗입술에 있는 선천적인 기형.(cleft palate)
13) dental caries(치아우식증) : 음식, 특히 전분 및 당분과 치아 플라크를 형성하는 세균과의 복잡한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
14) parotid gland(이하선) : 얼굴 아래턱과 외이 앞에 있는 가장 큰 1쌍의 침샘 중 하나.
- Stensen's duct(스텐슨관, parotid duct-이하선관) : 약 7㎝정도 길이의 관으로 이하선의 앞쪽에서 입 쪽으로 뻗은 관.
15) parotitis(이하선염, epidemic parotitis-유행성 이하선염, mumps-볼거리) : 급성 바이러스성 질환으로 이하선의 종창이 특징이며 파라믹소바이러스가 원인이다. 주로 5~15세의 어린이에서 일어난다. 늦겨울에서 초봄 사이에 발생 빈도가 높다.
16) sialadenitis(타액선염) : sialodenitis
17) tonsil(편도) : 조직, 특히 림프양조직의 작고 둥근 덩어리. 주로 palatine(구개편도)를 가리킨다.
18) pharynx(인두)
[ Tx. and Operative Terms 치료와 수술 용어 ]
1) cheiloplasty(구순성형술) : 입술 기형을 수술로 고치는 방법.
2) palatoplasty(구개성형술)
3) frenotomy(설소대절단술, 설소대확장술) : 설구착증을 교정하기 위해 설소대를 늘리거나 절단하는 것과 같이 결함 있는 소대를 치료하기 위한 외과적 과정.
4) glossectomy, paritial and complete(설절제술, 일부 및 완전) : 혀의 전부나 부분적 외과적 절개.
5) sialadenectomy(타액선절제술)
6) parotidectomy(이하선절제술)
7) pharyngitis(인두염) : 인후통을 동반하는 인두의 감염이나 염증. 원인은 디프테리아, 단순포진바이러스, 전염성 단핵구증, 연쇄상구균 감염이다.
8) tonsillitis(편도염) : 편도의 감염. 급성 편도염은 주로 연쇄상구균에 의한 감염이며 증상은 심한 인후통, 열, 두통, 근육통, 연하곤란, 이통, 그리고 목 부위의 림프절종대 등이다. 급성 편도염은 성홍열과 동반된다.
<Esophagus and Stomach(식도와 위)>
[ Anatomical and Symptomatic Terms 해부학적 및 증상 용어 ]
1) cardia(분문) : 위의 분문부와 식도 사이의 개구부. 식도와 위의 연결 부위 주위의 위부분으로 위산 분비 세포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2) fundus of stomach(위저) : 식도와 위가 결합하는 분문구 위쪽에 위치한 위의 맹낭.
3) antrum(전정) : 동, 강, 실. 뼈로 둘러싸인 속이 빈 신체 부위. 분문동(식도에서 위로 통하는 좁아진 부위로, 분문괄약근 입구 안에 있다.)은 식도의 확장이다. (pl. antra)
4) pylorus(유문) : 위의 좁은 관 모양의 부분으로 위체의 오른쪽에서 십이지장을 향해 각을 형성한다.
5) pyloric sphincter(유문괄약근) : 십이지장과 유문을 분리하는 둥근 원 모양의 두꺼운 위근육 조직.
6) esophageal regurgitation(식도 역류증)
- Esophagitis(식도염) : 감염이나 비위관으로 인한 자극이나 위산의 역류로 인해 식도 점막을 따라 생기는 염증(oesophagitis)
7) nauea and vomiting(오심, 구토) : 메스꺼움, 구토
8) anorexia(식욕부진)
9) dyspepsia(소화불량)
10) hematemesis(토혈)
- stomach or duodenal ulcer(위 또는 십이지장 궤양)
- varix rupture(정맥류 파열)
11) achlorhydria(무위산증, 위산 결핍증) : 위액에 염산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 특징인 비정상적인 상태. 위점막층의 위축, 위암, 내외부 인자의 대사와 흡수에 관련된 악성 빈혈에서 흔히 생겨난다. 이로인해 단백질 소화는 크게 감소하지만, 췌장과 소장에서 트립신과 다른 소화 효소는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소화기관에서의 전반적인 소화는 비교적 정상이다.
- hypochlorhydria(저염산증) : 위액 중의 염산의 결핍.
12) dumping syndrome(덤핑 증후군, 급속이동증후군) : 부분위절제술을 받은 환자가 경험하는 발한, 메스꺼움, 현기증과 허약감을 통틀어 일컫는 말. 이러한 증상들은 식사 직후 위의 내용물이 너무 빨리 십이지장으로 넘어가기 때문에 생긴다.
- 식은땀, Blood pressure 하강, 복통(위 수술 후)
13) esophageal varices(varix)(식도정맥류) : 문맥성 고혈압에 의해 식도 하부의 정맥이 꼬여 부어 있고 좁아진 것. 이러한 혈관들은 출혈에 취약하며 문맥성 고혈압은 간경변증이나 만성 간염에 의해 발생한다.
- portal system(75%) : 위․소장․대장의 일부 혈액들은 전부 간으로 감.
- hepatic artery(25%) : B형 간염(hepatomegaly → 검붉게 딱딱하고 작아짐)
- collateral circuration
14) gastritis(위염)
15) gastric ulcer(위궤양)
- duodenal ulcer(십이지장 궤양)
16) peptic ulcer(소화성 궤양) : 위․십이지장 및 위장관계의 다른 부분이 산과 펩신을 포함한 위액에 노출함으로써 점막에 날카로운 경계가 있는 손상이 발생하는 것(gastric ulcer)
- 암에 의한 궤양과는 다르다.
17) Zollinger-Ellison syndrome(Z-E증후군) : 심한 소화성 궤양, 대량의 위액 분비, 혈청 가스트린의 상승, 췌장이나 십이지장의 종양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전체 위절제술이 필요할 수 있고, 많은 양의 시메티딘 투여가 과다 위산 분비를 조절하고 궤양의 치유를 도울 수 있다.
18) gastroenteritis(위소장염) : 위장장애를 동반하는 위와 장의 염증. 증상은 식욕부진, 메스꺼움, 구토, 열, 복부불편감과 설사이다. 박테리아 장독소, 바이러스나 박테리아 침범, 화학적 독소로 인해 발생한다.
19) pyloric stenosis(유문 협착증) : 소장으로의 음식물 흐름을 방해하는 폐색에 의해 유문괄약근이 좁아진다. 궤양에 의해 재발되기도 한다.
20) alimentary canal(소화관, digestive track) : 구강에서 항문까지를 구성하는 9mwjd도의 긴 근막성 관. (gastrointestinal track)
[ Therapy and Operative Terms 치료 및 수술 용어 ]
1) anastomosis(문합술) : 두 혈관 사이를 연결하는 시술. 두 관 또는 혈관, 장분절의 외과적 연결로 이곳에서 저곳으로의 혈류를 허용하는 것.
2) subtotal gastrectomy(위아전절제술)
3) total gastrectomy(위전절제술)
4) pylorotomy(유문근층절개술) : 유문의 근육을 세로로 원 모양으로 절개하는 것으로 점막은 보호하되 근섬유만 분리하는 것. 비후성 유문협착증의 치료로 시행된다.(Fredet-Ramstedt operation)
5) vagotomy(미주신경절단술) : 소화기계 수술 시 미주신경의 특정 가지를 절단하여 위산 분비 감소를 통해 위궤양의 재발기회를 감소시키는 것. 연동 운동이 감소하게 되므로 유문 성형술이나 위․공장 문합술을 시행하여 위가 비워지는 것을 적절히 조절한다.
-cf)미주신경 : 식도를 따라 위로 간다(제 10뇌신경)
6) gastric lavage(위배액, 위세척) : 식염수와 증류수로 위를 세척하는 것. 이 과정은 내시경이나 위경검사 전 독소 물질을 제거할 때나 수술 전후에 시행된다.
< Small Intestine, Colon and Peritoneum 소장, 대장 및 복막 >
[ Anatomical and Symptomatic Terms 해부학적 및 증상 용어 ]
1) duodenum : 십이지장
2) jejunum : 공장
3) ileum : 회장
4) cecum : 맹장
5) vermiform appendix(-dices) : 충수
6) rectum : 직장
7) anus : 항문
8) peritoneum : 복막
9) mesentry(장간막) : 장으로 들어가는 혈관․림프관․신경의 길
10) greater omentum(대망) : 복부에 펼쳐 있는 얇고 투명한 막으로 대장과 소장을 덮고 있으며 큰 망을 이루어 위와 십이지장을 싸고 있다. 손상 부위로 쉽게 움직일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탈장을 막고 복막염을 일으킬 수 있는 감염으로부터 방어한다.
11) flatus(방귀) : 장내 가스 축적
12) constipation : 변비
13) diarrhea : 설사
14) fecalith(분석) : 대장 안에 딱딱하게 축적된 대변 덩어리. 배설시키기 위해 정체관장을 주로 이용하지만, 효과가 없다면 손가락으로 제거하는 방법을 써야 한다. 충수염 발생의 가장 큰 원인이다.
15) steatorrgea(지방변, 지방설사) : 대변에 지방이 정상보다 더 많은 복강 내 질환, 흡수장애 질환으로 소장의 지방 흡수가 부족한 상태와 같이 대변에 거품이 있고 악취가 난다.
16) incontinence of feces(변실금, incontinence bowel) : 불수의적 대변의 배출이 특징인 정상적인 장 운동의 변화를 경험하는 사람의 상태로 정의된다. 위장관 장애, 신경근육 장애, 결장루, 항문괄약근 조절 상실, 인지력 상실 등이 관련요인이다.
- urinary incontinence(요실금) : 방광과 요도괄약근의 의식적 통제가 불가능하여 불수의적으로 소변이 나오는 것. 여러 원인 중 신경인성 방광기능저하는 뇌와 척수의 병변, 방광 신생물이나 결석, 다발성 경화증, 하부 요관의 폐색, 노화, 다산 등의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17) ascites(복수) : 복강 내에 비정상적으로 고인 액체로 다량의 단백질과 전해질을 함유한다. 간 경화, 울혈성 심부전, 실증, 악성 종양, 복막염이나 그 밖에 진균 또는 기생충 질환의 합병증으로 생길 수 있다. 복수천자를 하면 고인 액체의 압력이 줄어 통증이 경감되고 호흡과 장 기능이 회복된다. 복강정맥루 수술을 하면 복강에서 상대정맥으로 복수가 빠지게 된다.
18) tenesmus(이급후중증) : 이급후중장과 방광을 비우려고 할 때 수반되는 장과 방광의 지속적이고 비효과적인 경련. 소장의 이급후중은 염증성 장질환과 신경성 장증후군에서 일반적인 증상이다.
19) melena(흑변, 혈변) : 독특한 냄새와 소화된 혈액을 포함한 비정상적인 점조변. 대개 상부위장관의 출혈로 인해 발생하며, 간혹 소화성 궤양이나 소장 질환의 증상 중 하나로 나타난다.
20) ascending colon(상행결장) : 우하복부 맹장에서 오른쪽 간굴곡부의 횡행결장에 이르는 대장 부위.
21) peritonitis(복막염) : 위장관이나 생식 기관에 있는 장기의 깊은 상처나 천공에 의해 복강에 들어간 박테리나아 자극성 물질에 의해 발생한다. 대부분 충수의 파열로 나타날 수 있으며, 장게실천공, 소화성 궤양, 괴저성 담낭, 소장의 괴저성 폐색, 감돈된 탈장, 비장, 간, 난소 낭종과 특히 자궁외 임신으로 난관이 파열되어 나타난다.
- local peritonitis(국소 복막염)
- panperitonitis(범복막염)
22) hemoperitoneum(혈복강) : 외과적 시술이나 괴사성 종양, 누, 복강경 시술 등에 의해 일어나는 복강 내 혈액 유출
- spleen, liver, mesentry, kidney 순
23) acute appendicitis(급성 충수염) : 즉시 진단하여 수술하지 않으면 천공되어 복막염을 일으킨다. 흔한 증상은 오른쪽 하복부에 있는 맥버니점의 지속적인 통증이며, 단단한 대변, 이물질, 장벽의 유착, 섬유성 질환이나 기생충이 충수돌기의 내부를 막음으로써 발생한다.
24) ulcerative colitis(궤양성 대장염) : 대장과 직장의 만성적이고, 발작적인 염증성 질환. 다양한 양의 혈액, 점액, 농 등이 함유된 많은 양의 묽은 설사가 특징이다. 전신적 합병증을 가지는데, 말초관절염, 강직성 척수염, 신장과 간 질환, 눈가와 입 등의 염증 등이 포함된다. 심한 경우에는 유독성 거대결장증이 일어나서 장천공, 패혈증 그리고 사망에 이르는 위험한 합병증이 생기기도 한다. inflammatory bowel disease(IBD)라고도 한다.
25) regional enteritis(Crohn's disease, 국한성 회장염) : 원인 불명의 만성 염증성 장염. 대개 회장, 대장, 또는 위장관계의 다른 부분에 발생한다. 이환된 부위는 정상 부위와 구별되며 사진상으로 보면 툭툭 끊어져 보이는 특징이 있다.
26) diverticulosis(대장의 다발성 게실증) : 결장의 근육층을 통해 주머니 같은 것이 돌출되는데, 특히 S자상 결장에 주로 발생한다. 직장으로의 간헐적 출혈 외에 특이 증상은 없다.
27) diverticulitis(게실염) : 얇아진 게실 벽을 통해 분변성 물질이 침투되어 결장 주변의 조직에 염증과 농양이 형성된 것. 결장염이 반복되면 결장 구경이 좁아지며 폐색된다. 염증이 있는 동안 S자상 결장 전체에 경련성 통증과 함께 백혈구가 증가하고 고열이 나타난다.
- diverticular bleeding : 게실 출혈
28) enterocolitis(소장결장염) : 소장과 대장을 침범하는 염증(coloenteritis)
29) Hirschsprung's disease(congenital megacolon, 선천성 거대결장증) : 장벽의 평괄근에 선천적으로 자율신경절이 없기 때문에 장내 연동운동이 적거나 없으며, 이로 인해 대변 정체나 거대결장이 생기는 것. 증상은 간헐적 구토, 설사, 변비 등이다. 복부는 정상에 비해 몇 배 팽창된다.
30) Meckel's diverticulum(메켈 게실) : 회맹판으로부터 30~90㎝ 사이의 회장벽에서 돌출된 비정상적인 낭. 선천적으로 난황경의 불완전 폐쇄로 인해 일어나고 인구의 1~2%에서 발생된다. 아동기에 갑작스런 무통성 출혈이 나타나거나 장폐색 증상에 의해 충수염의 징후로 상태가 확인된다.
31) volvulus(장염전) : 장폐색을 야기하는 장 자체의 꼬임. 이런 상황은 흔히 탈출장간막의 결과로 나타나며, 회장․맹장․S결장 부위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한다. 교정하지 않으면 폐색된 장은 괴사하고, 복막염과 장파열, 심한 경우 사망할 수도 있다. 쥐어뜯는 듯한 심한 통증, 메스꺼움, 구토, 장음의 부재, 긴장성 복부팽만이 나타난다.
32) intussuception(장중첩증, 장중적증) : 장내의 한 부분이 다른 부분의 구경으로 탈출된 것으로, 이런 종류의 장폐쇄는 소장, 결장, 회장 말단 부위나 맹장에 나타난다. 장중적은 대부분 유아나 아동에게 발생하며 주요 증상은 복부 통증, 구토, 혈액 섞인 점액 대변 등이다.
33) intestinal osstruction(장폐쇄증, ileus) : 장 내용물이 장관강을 통과하지 못한 폐색. 유착, 매복 분변, 장 내종양, 헤르니아, 장중적증, 장꼬임, 염증성 장 질환으로 인한 협착 등 기계적인 막힘이 가장 흔한 원인이다.
34) anal fissure(항문열구) : 항문 가장자리 피부의 통증이 심한 선상의 궤양 또는 열상.
35) anal fistula(치루) : 항문 옆 피부 표면의 비정상적인 개구. 국소적인 음와농양이나 Crohn's disease에서 흔하다. 회음부 누공은 직장과 통해 있거나 통해 있지 않을 수 있다.
36) hemorrhoid(치핵) : 치질성 정맥총 내의 울혈로 인한 하부 직장이나 항문에서의 정맥류
37) rectocele(직장탈, 직장 헤르니아) : 질 내의 후벽과 직장의 돌출. 질과 골반강의 근육이 분만, 고령 또는 수술, 선천적인 약화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심하면 장의 배변이 어렵고 성교 동통의 결과가 나타날 수있다.(proctocele)
-cf) cystocele(방광류) : 방광이 질벽을 통하여 돌출하거나 탈장되는 것.
38) inguinal hernia(서혜부 탈장) : 장관의 고리가 서혜구로 들어온 탈장. 남자의 경우 때때로 음낭으로 채운다. 탈장된 부분이 감돈하고, 괴저 또는 폐색으로 장관을 통한 배출물의 통로가 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보통 외과적으로 복구한다.
39) femoral hernia(대퇴 탈장) : 장이 대퇴관을 통해 서혜부로 내려간 탈장.
40) adenomatous polyp(선종성 용종) : 선조직에서 생장하는 종양.
[ Therapy and Operative Terms 치료와 수술 용어 ]
1) appendectomy : 충수절제술
2) colectomy : 결장절제술
3) hemorrhoidectomy : 치핵절제술
4) exploratory laparotomy(explo. lapa.) : 시험적 개복술
5) colostomy : 결장조루술, 인공 항문 형성술
6) ileostomy : 회장류 조성술
7) hernioplasty : 탈장성형술, 탈장봉합술
8) Miles' operation(abdomino-perineal resection, 마일즈 수술) : 복회음부 절제술
- 항문& 직장 제거 수술
9) reduction of intussuception : 장중첩증 정복
10) enterolysis : 장유착박리술(adhesiolysis)
11) Wedge Resection and Anastomosis : 쐐기 절제술과 접합
< Liver, Billiary Sstem and Pancreas (간, 담도 및 췌장) >
[ Anatomical and Symptomatic Terms 해부학적 및 증상 용어 ]
1) gallbladder(GB, 담낭) : 간의 좌엽 내장 표면의 구멍에 박혀 있는 서양배 모양의 분비 주머니. 이곳은 담도를 통해 간으로부터 수송된 담즙을 저장하고 모은다. 담낭은 기저부와 몸체, 목 부분으로 구분되고 복막으로 덮여 있다. 담석으로 담즙계가 폐색되면 황달이 일어나고 통증을 느낀다.
2) pancreas : 췌장
3) pancreatic duct(췌장관) : 췌장의 초기 분비선(duct of Wirsung)
4) sphincter of Oddi(오디 괄약근) : 총담관과 췌관의 하부 끝에 있는 원형의 근섬유로 된 괄약근.
5) hepatitis(간염) : 황달, 간비대, 식욕부진, 복부와 위의 불편감, 비정상적인 간 기능, 점토색의 변, 녹차 색깔의 요를 나타내는 간의 염증. 세균이나 바이러스성 감염, 기생충 감염, 알코올, 약물, 독소 또는 부적합한 혈액의 수혈로 발생할 수 있다. 심한 간염은 간경화와 만성 간기능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6) liver cirrhosis : 간경화증
7) fatty liver(지방간) : 간 내에 트라이글리세라이드가 침착된 상태. 원인은 비만, 당뇨, 과도한 알코올 섭취, 테트라사이클린과 부신피질 약물의 혈관 내 투여, 사염화탄소와 황인 같은 독성 물질에의 노출이다. 증상으로 식욕감퇴, 간비대, 복부 불편감이 나타나며 간의 생체검사에서 지방세포가 발견된다.
8) hepatic coma(간성 혼수) : 급․만성 간질환의 광범위한 간 손상으로 인한 신경정신 의학적인 증상. 뇌의 내원성이나 외원성의 노폐물이 혈액의 말초 순환으로 되돌아가기 전에 간에서 중화가 되지 않거나, 뇌 기능에 필요한 물질이 간에서 합성되지 않는다. 기면, 혼미, 혼수를 포함한 다양한 의식 상태, 손의 떨림, 인격 변화, 기억 상실, 반사항진, 과호흡이 나타난다.
- 암모니아가 뇌로 올라간 경우
9) hepatoma(간암) : 간의 원발성 악성 종양. 문맥고혈압, 혈장황달, 간비대, 통증, 저혈당증, 체중 감소, 식욕부진, 복수와 같은 증상을 보인다. 간염이나 간경화와 동반되거나 진균 독소 아플라톡신이 발견되는 지역에서 흔하게 일어난다.
- hepatocellylar carcinoma
10) hepatomegaly(간종대) : 주로 질병의 징후인 간의 비정상적인 비대. 간이 쉽게 늑골 아래서 만져질 수 있고 만질 때 통증이 있을 수 있다. 알로올리즘이나 담도 폐쇄, 악성 종양에서처럼 간염이나 그 밖의 감염, 지방성 침윤이 원인일 수 있다.
11) jaundice(황달) : 혈액 내의 빌리루빈 수치가 정상보다 높음으로써 점막, 눈의 공막, 피부가 노랗게 변색되는 현상. 황달이 있는 사람은 메스꺼움, 구토, 복통이 있을 수 있고, 검은색의 소변과 진흑색 대변을 보는 경우도 있다. 황달은 여러 종류 질병의 증세로 간질환, 담도폐색, 용혈성 빈혈 등이 포함됨.
- obstructive jaundice(폐쇄성 황달, cholestasis - 담즙울체), hepatic jaundice(간질환성 황달), hemolytic jaundice(용혈성 황달)
- bilirubin(빌리루빈) : 수명을 다한 적혈구의 헤모글로빈이 파괴되면서 생성되는 주황색을 띠는 담즙 색소.
12) cholecystitis(담낭염) : 담낭의 급성․만성 염증. 급성은 흔히 담석이 담관을 통과하지 못해 일어난다. 우상 복부 통증이 있으며 메스꺼움, 구토, 트림, 고창이 동반된다. 양성 머피 징후가 나타날 수 있다. 만성은 더 흔하며 발생은 잠행적이다. 흔히 밤에 통증을 느끼며 기름진 음식을 섭취할 때 통증이 증가한다. 합병증은 담석췌장염, 담낭의 악성 종양 등이다.
13) cholangitis(담관염) : 세균 침입 또는 결석이나 종양에 의한 관의 폐쇄가 원인인 담관의 염증. 심한 우상복부 통증, 황달(폐쇄가 있을 경우), 간헐적인 열 등의 증상을 보인다.
14) cholelithiasis(담석증) : 담낭에 담석이 있는 상태. 여성과 간경변 환자에게 많이 발생하며 많은 환자들에게 국소화되지 않은 복부 불편감, 트림, 특정 음식에 대한 불내성 등의 증상이 보이나 증상이 없는 경우도 있다. 담도의 심한 통증은 담석증과 관련되며, 담낭염, 담관염, 췌장염과 같은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담낭절제술을 추천한다.
15) cholangioma : 담도종양, 단도암
16) biliary atresia(담도 폐공증, 담낭폐쇄) : 하나 이상의 담낭 구조의 미성숙 및 선천적 결핍. 황달이나 초기 간 손상의 원인이 된다. - Gasai's Op.
17) acute pancreatitis(급성 췌장염) : 자가소화가 원인으로 췌장조직으로의 소화 효소 누출과 함께 복부에 생기는, 뚜렷한 증상을 가진 급작스런 췌장의 염증. 담질환이나 알코올중독과 연관된다.
18) carcinoma of pancreas(pancreas cancer, 췌장암) : 췌장의 악성 신생물 질환으로 주 증상에는 식욕 부진, 고창, 쇠약감, 극심한 체중 감소, 상복부나 등의 동통, 황달, 소양증, 복부의 촉진성 덩어리, 급작스런 당뇨 발벼, 췌장과 담관을 폐쇄하는 경우 점토색의 대변 등이 있다. 대부분의 종양이 진단과 동시에 절제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췌장의 국소적 종양은 총담관, 십이지장, 위의 원위부의 절제와 함게 부분적 췌장 절제술로 치료한다.
19) diabetes mellitus(당뇨병) : 췌장의 β세포의 1차적인 인슐린 분비의 결핍, 완전부족, 인슐린 수용체의 결손으로 일어나는 탄수화물, 지방 및 단백질 대사의 복합적인 장애. 유전적이다. 2차성 당뇨병은 췌장질환, 호르몬 변화, 약물의 부작용, 유전적 이상과 관련된다. 당뇨병 발생에 기여하는 요인은 유전, 비만, 좌식 생활, 고지방저섬유식이, 고혈압 및 노화 등이다.
20) hyperglycemia(고혈당증) : 혈중 포도당이 정상보다 높다. 대부분 당뇨와 연관되어 있고 신생아에서도 일어날 수 있다.
21) common bile duct(총담관) : 담낭과 간담관의 연결에 의해 형성된 관.
22) portal system(문맥계, 간문맥계) : 산소화 및 재분배를 위하여 혈액이 심장과 폐로 귀환하기 전에, 한 조직을 떠나는 혈액이 다음 조직으로 바로 운반되는 혈관의 배열.
- portal hypertension(문맥 고혈압) : 문맥이나 간의 혈관계에 압박이나 폐쇄에 의해 문맥순환에서의 정맥압이 상승하는 것. 비장비대, 측부정맥의 확장, 복수, 전신성 고혈압 및 식도 정맥류를 가져온다.
- collateral circulation(측부순환) : 주요 혈관의 폐쇄 후 2차적 혈관의 증대를 통해 과다한 혈액 통로의 발달
23) amylase(아밀라아제) : 전분을 작은 탄수화물 분자로 가수분해하는데 촉매하는 효소.
- lipase(리파제) : 지방분해효소. 트리글리세라이드와 인지질 내에서 지방산과 글리세롤 간의 결합 가수분해를 통해 지방분해의 촉매 역할을 하는 소화기관에 의해 산출되는 일종의 몇몇 효소들.
24) pancreatic fistula : 췌장루
- pancreatic ascites : 췌장성 복수
25) pancreatic pseudocyst : 췌장성 가낭포
26) acute hemorrhagic pancreatitis(급성 출혈성 췌장염) : 출혈과 조직 괴사, 소화관 마비가 특징인 치명적일 수 있는 췌장염.
[ Diagnostic and Operative Terms 진단과 수술 용어 ]
1) liver biopsy : 간 생검
2) hepatic lobectomy : 간엽절제술
- hepatic lobes(간엽) : 간의 큰 단위로 미상엽, 방형엽, 좌엽, 우엽이 있다.
3) cholecystectomy : 담낭절제술
4) laparoscopic (laser) cholecystectomy(복강경(레이저)담낭절제술) : 복벽을 절개해 담낭을 외과적으로 절개하는 것으로 레이저로 방향을 감지하고 내시경에 조명이 달려있다.
5) choledochostomy : 담도절개술
- T-tube insertion
6) cholecystoduodenostomy : 담낭십이지장문합술
7) sphincteroplasty(Dddi) : 오디 괄약근성형술
- 담이 없을 때 오디괄약근이 그 역할을 할 수 있다.
8) Whipple's operation(휘플수술)
- Whipple's disease(휘플병) : 심한 장의 흡수 불량, 지방변증, 빈혈, 체중 감소, 관절염, 관절통이 특징인 드문 소장질환.
- 혈관 분포 때문에 십이지장 & 췌장을 함께 떼어내야 함.
9) near total panceatectomy(거의 전 췌장절제술)
[ Clinical Procedures and Laboratory Test 처치와 검사 ]
1) gastroscopy : 위내시경
2) upper GI series(상부위장 촬영술) : 식도에서 십이지장까지 이르는 상부 소화기관을 말하는 것.
3) barium study(대장조영술)
- barium enema(바리움 관장촬영) : 방사선 비투과성 조영제인 황산바륨을 직장에 주입하는 것으로 하부 소화관의 폐쇄, 종양 또는 궤양성 대장염과 같이 비정상적인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방사선 검사.
4) cholecystography : 담낭조영술
- 담낭 안에 혹인지 돌인지 알아보기 위해(담즙액이 농축되어 있는 상태일 때 - 전날 약을 먹고 금식한 상태)
5) liver function test(간기능검사) : 간의 다양한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하는 여러 검사중 하나.
- SGOT - serum glutamic oxaloactic transaminase(혈청글루타민산 옥살로초산 트란스아미네이스) : 신체의 여러 부위, 특히 심장, 간, 근육 조직에서 발견되는 촉매 효소. 혈청 속 효소량의 증가는 심근경색증, 급성 간질환, 특정한 약물의 작용, 그리고 세포가 심하게 손상되는 질병 또는 상태의 결과로서 나타난다.)
- SGPT - serum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혈청글루타민산 파이루빈산 트란스아미네이스) : 간에서 고농도로 발견되는 촉매성 효소. 혈청 속의 정상치 이상의 증가는 간의 손상을 나타낸다.
- ALP - alkalin phosphatase : 간기능검사 종류의 하나
- GOT -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글루타민산 옥살로초산 트란스아미네이스) :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라고도 하며 혈청, 심장, 간 같은 신체 일부 조직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효소로 조직의 상해로 인해 혈청으로 방출되며, 심근경색증과 간 손상의 결과로 증가될 수 있다.
- GPT -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글루타민산 파이루빈산 트란스아미네이스) : ALT(alanine aminotransferase, 알라닌 아미노 전이효소)라고도 하며 정상적으로 신체의 조직이나 혈청, 특히 간 조직에 존재한다. 조직 손상의 결과로 혈청에서 방출되고, 급성 간 손상이 있는 사람에게서 증가한다.
6) nasogastric tube(Levin tube) insertion(비위관 삽입) : 비위관 튜브를 코를 통해 위에 넣는 것으로 가스, 위액, 음식물 제거로 위의 팽만을 완화하거나 약물․음식․수액을 공급하거나 임상 검사 분석을 위해 검체물을 얻는 것이 목적이다. 수술 후나 소화는 가능해도 먹을 수 없는 환자의 경우에 쓰며 튜브는 정상적으로 먹을 수 있는 능력이 돌아오면 뺀다.
[ Abbreciations 약어 ]
1) ALP - alkaline phosphate
2) AST(SGOT)
3) ALT(SGPT)
4) CT scan - computerized tomography : 컴퓨터 단층 촬영
5) NG tube - nasogastric tube : 비위관
6) UGI - upper gastrointestinal : 상부위장관
7) Ba E - barium enema(바륨관장)
Ⅸ Nervous System [ 신경계 ]
[ Anatomical and Symptomatic Terms 해부학적 및 증상 용어 ]
1) central nervous system(CNS, 중추신경계)
2) peripheral nervous system(PNS, 말초신경계)
① cranial N.(뇌신경)
② spinal N.(척수신경)
③ autonomic N.(자율신경)
- afferent(sensory) nerve(neuron) : 구심성(감각) 신경
- efferent(motor) nerve(neuron) : 원심성(운동) 신경
3) ganglion(신경절) : 주로 중추신경계 바깥의 그룹에 모여 있는 신경세포체의 하나. 영양 기관들과 연관되어 많이 존재하는 아주 소규모의 그룹들. (pl-ganglia)
- knot :
- ganglioneuroma(신경절종) : 신경절과 신경섬유의 고형 물질로 형성된 종양. 보통 복부조직에서 발견되며 대개 어린아이에게서 많이 나타난다.
4) plexus(신경총) : 신경, 혈관 및 림프관 등을 교차하는 망.
5) cranial N.(뇌신경) : 두 개의 여러 곳에서 시작하여 두 개강으로부터 나오는 12쌍의 신경.
① olfactory N.(후각신경) : 감각 - 후각
② optic N.(시신경) : 감각 - 시각
③ oculomotor N.(동안신경) : 운동 - 상안검거근, 상사근과 외측직근을 제외한 외안근의 지배
④ trochlear N.(활차신경) : 운동 - 눈의 상사근
⑤ trigeminal N.(삼차신경)
- 안신경부 : 감각 - 각막, 코의 피부, 이마, 두피
- 상악신경부 : 감각 - 비강, 구개, 윗니, 볼의 피부
- 하악신경부 : 감각 - 혀, 아랫니, 턱의 피부, 하악, 측두부
운동 - 저작근
⑥ abducent N.(외전신경) : 운동 - 외측직근
⑦ facial N.(안면신경) : 운동 - 안면표정근 / 감각 - 혀의 앞 2/3의 미각
⑧ vestibulocochlear N.(전정와우신경)
- 전정신경부 : 감각 - 평형각
- 와우신경부 : 감각 - 청각
⑨ glossopharygeal N.(설인신경) : 운동 - 경돌인두근, 제 Ⅹ, Ⅺ뇌신경을 경유하는 인두근들
감각 - 혀의 뒤 1/3의 미각, 인두, 중이강, 경동맥 등의 일반감각
⑩ vagus N.(미주신경) : 운동 - 인두와 후두의 근
감각 - 외이의 피부, 혀 뒤의 미각, 흉강과 복강 기관에서 오는 내장감각
⑪ accessory N.(부신경) : 운동 - 승모근과 흉쇄유돌근
감각(고유수용성) - 승모근과 흉쇄유돌근에서 오는 고유감각
⑫ hypoglossal N.(설하신경) : 운동 - 혀의 외래근과 고유근
감각(고유수용성) : 혀의 외래근과 고유근에서 오는 고유감각
6) neuron(신경원) : 세포체 내 핵과 하나나 그 이상의 길게 연장된 돌기를 포함하는 신경계의 기본적 신경세포. 신경흥분파의 생산과 운반체로서 양이온인 Na+와 K+이온을 포함하는 전기 화학적 과정과 세포 내 및 외액의 변화하는 전압에 따라서 기능을 하고 있다.
- axon(축삭), synapse(접합부, 연접부)
7) neuroglia(신경교) : 중추신경계의지지 또는 연결 조직 세포로서 신경망의 덜 특정한 기능을 수행함
8) cerebrum(대뇌) : 뇌 영역에서 가장 크고, 가장 위쪽에 있다. 대뇌종열이라는 깊은 골에 의해 좌우 대뇌반구로 나누어진다. 표면은 회와엽으로 둘러싸여 있다. 감각 기능과 운동 기능을 수행하고 다양한 정신 기능과 함께 쉽게 정의하기 어려운 통합 기능을 수행한다.
- 영장류에 존재(신뇌)
- gyrus(convolution, 대뇌이랑) : 뇌 표면의 꾸불꾸불한 회선으로, 구로 나뉘어 있으며 대뇌피질의 주름 때문에 생긴다.
- sulcus(sulci) : central sulcus, lateral sulcus
- frontal lobe, parietal lobe, temporal lobe, occipital lobe
9) cerebellum(소뇌) : 연수 뒤의 두 개와 후면에 놓인 뇌의 일부로 2개의 소뇌반구, 엽, 층부라고 하는 중엽으로 이루어져 있다. 3쌍의 뇌각이 연수와 함께 있고, 수의적 근육 운동의 조절과 관련 있다.
10) brainstem(뇌간) : 연수, 뇌교, 중뇌를 포함하는 뇌의 영역. 운동, 감각, 반사 기능을 수행하고 피질척수로와 망상 척수로를 포함한다. 12쌍의 뇌신경이 대부분 뇌간으로부터 시작된다.
11) medulla oblongata(연수) : 수평구에 의해 뇌교로부터 분리되고 대공 바로 위 척수의 볼록한 연장 부위. 뇌간의 세 부분 중 하나이고 회백질이 다소 혼합되어 있으며, 대부분이 백질로 되어 있다. 연수는 뇌의 심장, 혈관운동, 호흡중추를 포함하고 있으며, 연수 손상이나 질환은 치명적이다.
12) thalamus(시상) : 간뇌의 중앙 대부분과 제3뇌실 외측벽 일부를 형성하여 시상 상부와 시상하부의 중간에 위치한다. 대뇌피질 쪽으로 후각 감각을 보내고, 감각 정보에 의존한다. 주로 회백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통증이나 온도 감각, 촉각의 수용기로부터 자극을 변환시킨다. 또한 기쁘거나 슬픈 감정, 신체의 각성 기전, 복잡한 이동 반응에 관여한다.
13) hypothalamus(시상하부) : 간뇌의 일부로, 제3뇌실의 바닥과 측벽의 일부를 형성한다. 말초자율신경계, 내분비과정 및 체온, 수면, 식욕과 같은 많은 신체적 기능들을 항진시키고 조절하며 통합한다.
14) ventricles(뇌실) : 심장의 좌우 심실이나 뇌척수액으로 가득찬 강과 같은 작은 강(腔)
- 4대의 뇌실로 형성(Rt., Lt., 3rd, 4th)
15) cerebrospinal fluid(뇌척수액) : 뇌의 제4뇌실, 지주막하강, 척수관을 통과하고 보호하는 유체. 뇌척수액의 이산화탄소는 연수의 호흡중추에 영향을 미쳐 호흡 조절을 돕는다.
16) spinal cord(척수) : 척추관 내에 위치한 중추신경계의 부분으로 뇌의 연수가 확장되어 제1, 제2 요추까지 뻗어있다. 척수는 감각 및 운동 흥분파를 뇌로부터, 그리고 뇌쪽으로 하행성 및 상행성으로 전도하고, 많은 반사를 조절한다. 신경세포가 많은 내부의 회백질과 유수신경섬유가 많은 외부의 백질로 이루어지며 경막, 지주막, 연막의 세 보호막으로 둘러싸여 있다.
17) meninges(수막, 뇌척수막) : dura matter(경막), arachnoid membrane(지주막), pia matter(연막)으로 구성된 뇌와 척수를 둘러싼 3개의 막. 연막과 지주막은 박테리아성 수막염에 침범하여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킨다.
[ Symptomatic and Pathological Terms 증상 및 병리 용어 ]
1) aphasia : 실어증
- motor aphasia(운동성 실어) : 알아듣기는 하지만 말을 할 수 없는 상태.
- sensory aphasia(감각성 실어) : 알아듣지 못하기 때문에 말도 할 수 없는 상태.
2) dysphasia(부전실어증) : 실어증만큼 심하지는 않지만 말하는 능력에 지장이 있는 것으로, 대개 대뇌피질의 언어 영역에 손상을 입을 때 발생한다. 뇌졸중이나 뇌종양 후에 올 수 있으며 실서증 같은 다른 언어장애를 동반할 수도 있다.
3) ataxia(운동실조증) : 운동 협조 능력의 손상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상적인 상태. 비틀거리는 걸음걸이와 자세의 불균형은 출생시 외상, 선천적 질환, 감염, 퇴행성 질환, 신생물, 독성물질, 뇌 손상이 있는 척수나 소뇌병변으로 인한 것이다.
- 운동 후 걷고 말하는 것 등의 조화가 깨짐. 운동 근육의 조화가 없는 상태
4) convulsion(경련) : 근육 수축이 갑작스럽고 격렬하게 불수의적으로 발생함으로써 뇌에 있는 신경세포가 과도하게 흥분하는 것. 발작장애에서처럼 우연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뇌진탕 후처럼 일시적이고 급성으로 일어날 수도 있다.
-cf) seizure(발작) : 특히 간질에 의한 발작을 일컫을 때 쓰인다.
5) hemiparesis(편측부전마비) : 신체 반의 근허약
6) hemiplegia(편측마비) : 신체 한쪽의 마비
- diplegia(양측마비) : 인체 어느 부분의 양쪽 또는 인체의 반대편 양쪽에 나타나는 양측 마비
- palsy(마비) : 마비 특성이 나타나는 비정상적 상태
7) paraplegia(양측마비, 대마비) : 하지와 몸통의 운동이나 감각을 소실한 상태. 이런 사고의 대부분은 자동차 사고, 오토바이 사고, 스포츠 사고, 낙상, 권총사고로 일어난다. 대부분 척추측만증, 이분척추, 신생물과 같은 비손상 병변에서는 생기지 않는다. 손상의 수준과 척수의 완전 또는 불완전 소상 정도에 따라 환자들은 배뇨․배변 장애와 성기능 불능이 나타날 수 있다. 불완전한 척수 손상은 항문 주위 감각, 수의적 발가락 굴곡, 괄약근 조절 등의 장애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8) tremor(진전, 떨림) : 골격의 수축과 이완이 교대로, 불수의적으로 일어나 주기적 또는 목적 없이 떠는 움직임으로 나이든 사람들이나 신경계 장애가 있는 환자와 그 가족에게서 나타남. 가족력의 유전으로 올 수 있고, 다발성 경화증에서 일어나는 진전 역시 수의적으로 움직이는 동안 떨림이 증가되고, 불안이나 흥분, 자아 의식에 의해 한층 더 심해짐. 중독으로 인한 진전은 가끔 입술에 영향을 미친다.
9) dyskinesia(운동이상증) : 의식적으로 운동하는 능력의 장애. 지발성 운동부전은 뇌손상이 있는 노인환자에게 페노티아진 계통의 약물을 오랫동안 사용할 경우 부작용으로 나타날 수 있다.
- 기능성 운동 이상증 (ex-cholecystosphinter D. : 심장의 수축․이완 시)
10) apraxia(실행증, 무동작증) : 근력이 손상되거나 협동이 되지 않아 목적 있는 동작을 수행하거나 물건을 조작하는 것이 불가능한 상태.
- indetional apraxia(상상실행증) : 물건의 사용에 대한 인지 능력의 결손으로 인해 장애가 생긴 것
- motor apraxia(운동실행증) : 인지는 하지만 수행이 되지 않는 상태
- amnestic apraxia(기억상실성 실행증) : 수행하라는 명령을 기억하지 못하여 수행할 수 없는 상태
- apraxia of speech(언어실행증) : 뇌손상으로 인한 구음장애이다. 뇌손상을 입으면 말을 하는 데 필요한 언어 근육들을 제대로 위치시키지 못하게 된다.
- 뇌의 손상으로 인해 행동을 순서대로 하지 못하는 경우(연속성이 있는 생활이나 일)
11) encephalitis(뇌염) : 원인은 보통 감염된 모기에 물려 전파된 아보바이러스의 감염이지만 납이나 다른 중독증 및 출혈로도 온다. 증상은 e통, 경부통증, 발열, 메스꺼움, 구토이다. 경련, 인성 변화, 안절부절못함, 기면, 마비, 쇠약 및 혼수 등과 같은 신경학적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신경세포 파괴를 동반하는 심한 염증은 경련성 장애, 특수 감각 소실 또는 기타 영구적인 신경학적 문제 또는 죽음을 초래하기도 한다. 보통 염증은 척수와 뇌를 침범한다. 그러므로 뇌척수염(encephalomyelitis)이 더 정확한 용어이다.
- Japanese encephalitis(일본뇌염) : 동아시아, 남태평양,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에서 볼 수 있는 뇌조직의 심한 감염성 유행병. 심한 오한, 마비, 체중 감소가 특징적으로 나타나며, 모기에 의해 전파되는 B 아르보바이러스로 인해 발생한다. 치사율이 33%로 높고, 여러 가지의 신경학적, 정신과적인 후유증이 생기는 경우가 많다.(Japanese B encephalitis)
- encephalo(brain)~ : 대뇌의
- cephalo(head)~ : 두부의
12) meningitis(수막염, 뇌막염) : 뇌와 척수를 덮는 막의 감염이나 염증. 대개 화농성이고, 지주막하강의 액을 포함한다.
- bacterial meningitis : 성인에서 가장 흔한 원인은 폐렴연쇄상구균, 수막염균, 헤모필루스인플루엔자 등의 박테리아 감염이다.
- viral meningitis : 무균성 수막염은 화학적 자극원, 신생물, 바이러스 같은 비 박테리아성 제재에 의해 생긴다. 아르보바이러스, 헤르페스 바이러스, 폴리오(회백수염)바이러스를 포함한 다른 질병은 더욱 심각하다.
13) poliomyelitis(회백수염, 소아마비, 폴리오) : 3개의 폴리오바이러스 중 하나가 일으키는 감염성 질환. 무증상, 경증, 마비 형태로 일어난다. 바이러스 및 질병 과정의 민감성에 여러 요인이 영향을 끼친다. 무증상적 감염은 임상 증세는 없으나, 면역성이 생긴다.
14) anencephaly(무뇌, 무두개) : 선천적으로 뇌의 중요 부분이 없고 뇌간이 기형인 상태. 두개골이 닫혀있지 않고 척추관에 흠이 남겨져 있다. 유전적 무뇌증은 생명을 유지할 수 없다.
15) hydrocephalus(뇌수종, 수두증) : 보통 두 개내압이 증가한 경우에 뇌실이 확장되고 비정상적인 뇌척수액의 분비증가와 뇌실계의 폐쇄 또는 대뇌의 지주막하강에서 불완전한 흡수 때문에 정상적인 뇌척수액의 흐름이 방해를 받는다. 발달 이상, 감염, 외상, 또는 뇌종양에 의해 일어난다.
16) spina bifida(척추 이분증) : 후방 척추궁의 골폐쇄부전을 특징으로 하는 발육 기형으로, 중정선과의 사이에 의해 추궁판이 작아지는 것과, 광범위한 영역에 걸쳐 추궁판이 완전히 소실된 경우가 있다. 직접적인 증상이나 징후는 뚜렷하지 않으며, 다른 원인 질환으로 인한 방사선 검사 시 우연히 발견할 수 있다.
17) meningocele(수막류) : 두개골이나 척추의 선천적 결함으로 뇌나 척수의 뇌척수막 중 하나에 주머니같은 돌출. 헤르니아성 낭종 형성은 뇌척수액으로 채워져 있지만 신경조직을 포함하지는 않는다.
18) meningomyelocele(수막척수류, myelominingocele) : 중추신경계 발달상의 결함으로 척수 일부와 뇌척수막과 뇌척수액을 포함한 헤르니아성 주머니가 척주관의 선천성 분열을 통하여 튀어 나왔다. 이 상태는 우선 태아 초기 발달 시기에 신경관의 닫힘이 잘못됨으로써 나타난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는 뇌척수압의 비정상적 증가에 따른 신경관의 재개에 기인한다.
19) cerebrovascular accident(CVA, 뇌졸중) : 색전(embolism)․혈전(thrombosis) 또는 뇌혈관 출혈(hemorrhage)에 의한 폐쇄로 손상 받은 혈관에 의하여 정상적으로 관류되던 뇌조직의 허혈을 특징으로 하는 뇌의 비정상적인 상태. 후유증은 허혈의 정도와 위치에 따라 다르다. 증상으로는 마비, 허약, 감각 변화, 언어장애, 실어증이 있으며 사망할 수도 있다.
20) cerebral concussion : 뇌진탕
21) cerebral contusion : 뇌좌상
22) subdural hematoma(경막하 혈종) : 주로 손상에 의해서 경막하강에 혈액이 파 있는 상태
- 동맥이 터질 경우 출혈로 뇌가 한쪽으로 몰려 압력이 증가.
23) Parkinson's disease(파킨스씨병) : 휴식시의 진전, 환약 제조형 손떨림, 무표정한 얼굴, 질질 끄는 보행, 앞으로 구부러진 체위, 위치 반사 저하, 근육 경직과 약화 등이 특징인 퇴행성 신경 질환으로 느리고 점진적으로 진행한다. 주로 60세 이상의 노인에게 특발성 질환으로 나타나는데 젊은 사람에게 나타나는 경우는 급성 뇌염, 일산화탄소나 중금속 중독 등으로 나타날 수 있다. 전형적인 병리적 변화는 기저 신경절의 파괴, 흑색질에 침착 세포 감소, 정상적인 경우 신경 전달 물질 도파민이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어 있는 미상핵, 피각 및 외투 구조물의 도파민이 고갈된다. (paralysis agitans)
24) epilepsy(간질) : 경련성 발작, 감각장애, 비정상적 행위, 의식소실 또는 이 모든 것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신경학적 장애. 간질의 모든 종류에 공통되는 것은 대뇌피질의 신경세포에서 통제되지 않는 전기의 방출이다.
- grand mal seizure(대발작)
- petit mal seizure(소발작) : 순간 정신을 잃는 상태
- aura(전조) : 편두통 또는 간질 발작에 선행하는 빛의 감각이나 온감.
25) Alzheimer's disease(dementia, 치매) : 혼란, 기억상실, 지남력 상실, 불안, 인지불능증, 언어장애, 목적 있는 움직임 불가능, 환각증을 특징으로 하는 점진적인 정신적 퇴행. 전형적인 병리학적 특성은 피질의 속립성 반점과 추체의 신경절세포층에서의 원섬유성 변성이다.
- 우리나라의 경우 반복한 cerebral infaction 이 원인이 경우가 많다.
26) glioma(신경교종) : 악성 신경교세포로 구성된 뇌의 1차성 종양 중의 하나.
27) meningioma(수막종, meningiomata) : 뇌와 척수를 덮는 막의 간엽 섬유아세포의 종양. 수막증은 느리게 성장하고 대개 혈관성이며, 뇌의 경막 상부종주동과 해면동 가까이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난다. 종양은 소결정이고 판처럼 생겼으며, 두개골을 침습하는 범발성 병소로 골의 미란과 뇌조직의 압박을 일으킨다.
28) neuroblastoma(신경아세포종) : 배아기에 신경판에서 파생된 원시 외배엽세포로 이루어진 악성 종양으로 교감신경계의 어느 부분에서나 유래할 수 있으나 특히 부신수질이 가장 보편적이다. 빠르고 넓게 림프절, 간, 폐, 뼈로 전이하며 증상은 복부 덩어리, 호흡 부전, 빈혈 등이다.
29) Bell's palsy(벨 마비, 안면신경마비) : 신경의 외상, 알려지지 않은 감염, 종양에 의한 신경 압박의 결과로 나타난다. 신경의 하나 또는 모든 가지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마비된 쪽의 눈을 감지 못하거나 타액 분비 조절이 불가능할 수 있다.
30) neuralgia(신경통) : 신경계에 영향을 주는 여러 질환으로 인해 찌르는 듯한 통증이 나타나는 비정상적인 상태
- trigeminal neuralgia(삼차신경통) : 턱의 신경 가지를 따라 나타나는 갑작스런 발작성의 찌르는 듯한 동통을 보이는 삼차 안면신경 동통.
31) sciatica(좌골신경통) : 대퇴와 다리를 지나는 신경로를 따라서 나타나는 동통과 압통이 특징인 좌골신경의 염증. 하지근육의 쇠약을 초래한다.
32) trephination(두개골 천공) : 원통형의 톱으로 두개골을 환상(circular piece)으로 잘라내는 외과적 절제.
33) craniectomy(두개골 절제술) : 두 개의 일부분을 외과적으로 제거하는 것
34) ganglionectomy : 신경절절제술
35) symphatectomy : 교감신경절제술
36) neurolysis : 신경박리술
37) neuroanatomy : 신경해부학
[ Clinical Procedures and Laboratory Tests 처치 및 병리검사 ]
1) lumbar puncture(요추 천자) : CSF 검사 및 체취에 사용
2) pneumoencephalography(기뇌조영술) : 뇌의 반구를 차지하는 뇌실, 뇌저, 지주막하 등의 공간을 보기 위한 방사선 촬영술. 요추천자로 뇌척수액을 간헐적으로 뽑은 후, 공기․산소․헬륨 등을 간헐적으로 주입하여 뇌구조를 X선 촬영으로 볼 수 있게 하는 방법.
3) ventriculography(뇌실조영술) : 대뇌실에서 뇌척수액을 제거한 뒤에 공기나 조영 물질을 주입하고 찍는 머리의 X선 촬영검사
4) cerebral angiography(뇌혈관조영술) : 방사선 비투과성의 조영제를 투여한 후에 뇌혈관계를 들여다보기 위한 방사선 촬영술
5) electroencephalography(뇌파기록법, EEG) : 뇌파 활동을 기록하는 과정. 환자 두피의 여러 부분에 콜로디온으로 전극을 부착시킨다. 신경외과 수술 동안에 전극은 뇌 표면에 직접 부착될 수도 있으며 병소나 종양을 탐지하기 위해 뇌조직 내에 두기도 한다.
[ Abbreviations 약어 ]
1) CNS - central nervous system(중추신경계)
2) CSF - cerebrospinal fluid(뇌척수액)
3) CT - computerized tomography(컴퓨터 단층촬영)
CAT - computerized axial tomography(전산화단층촬영술)
4) MRI - magnetic resonance imaging(자기공명장치)
5) PET - positron emission tomography(양전자방출단층촬영술)
6) PEG - pneumoencephalography(공기뇌조영술)
7) TIA - transient ischemic attack(일과성허혈발작)
- syncope(실신) : CVA 전 증상
Ⅹ Psychiatric Disoredrs [ 정신장애 ]
[ Psychiatric Symptomatic Terms 정신 증상 용어 ]
1) mental retardation(정신발달지체) : 학습 또는 사회적으로 적응하는 능력이 부족하거나 손상된 일반 지적 기능이 평균이하인 장애.
2) dementia(치매) : 혼란, 기억상실, 지남력 상실, 불안, 인지불능증, 언어장애, 목적 있는 움직임 불가능, 환각증을 특징으로 하는 점진적인 정신적 퇴행. 전형적인 병리학적 특성은 피질의 속립성 반점과 추체의 신경절세포층에서의 원섬유성 변성이다.
-원인 : ① multiple cerebral infarcts(우리나라 多) ② Alzheimer's disease ③ Co poisoning
④ Down's syndrome
3) hallucination(환각) : 대체로 또는 전적으로 의식이 환각으로 이루어진 병리적인 정신 상태.
- visul H. : 시각의 환각
- auditory H. : 청각의 환각
- olfactory H. : 후각의 환각
-cf) illusion(착각) : 사막의 신기루나 바람이 불 때의 소리같이 일반적으로 시각과 청각고ㅘ 같은 외부 감각 자극에 대한 잘못된 해석.
4) obsession(강박관념, 편집관념) : 계속 자제할 수 없이 마음을 빼앗는 사고나 생각으로 논리나 이성에 의해 지워 버릴 수 없는 것.
-cf)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s(강박성 질환) : 반복적․지속적인 생각과 불편감을 유발하며 상당한 시간을 소비하고 직업, 사회활동, 대인 관계 등에 심각한 지장을 초래할 만큼 매우 심한 강박적 느낌이 특징인 불안 소인 → neurosis(psychosis는 아님)
5) compulsion(강박행위) : 보통의 판단이나 표준에 상반되는 행동을 수행하고, 더욱이 그 수행이 완전하지 않을 경우 명백한 불안을 초래하는 반복되고 불합리한 충동.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한 행동이며, 충동은 보통 강박 관념의 결과로 나타난다.
6) phobia(공포증) : 동물이나 진흙․쓰레기 등 특정한 것에 대해 이유 없이 강한 공포를 가지는 것으로 낯선 사람을 만나거나 집과 같은 친숙한 장소를 떠나는 것의 활동, 높이 또는 폐쇄 공간 같은 물리적 상황에 대해서도 느낄 수 있다. 특징적인 증상으로는 기절, 피로, 심계항진, 발한, 메스꺼움, 진전, 공황 등이 있다.
- acrophobia(고소공포증), stage phobia(무대공포증), zoophobia(동물원공포증)
7) delusion(망상) : 명백한 증거에 의해서도 바로잡을 수 없는 지속적이고 잘못된 신념 또는 인식
8) amnesia(기억 상실, 망각증(건망)) : 뇌손상 또는 심한 정서적 상해에 의한 기억의 상실
- retrograde amnesia(역행성 기억상실증) : 질병, 뇌 손상 또는 부상이나 강한 심인 등을 계기로 그때보다 이전의 건강했던 시기로 거슬러 올라가 일정기간의 기억력 결손을 남기는 상태.
9) disorientation(지남력상실) : 장소, 시간 또는 정체에 대한 인식이 부적절하거나 정확하지 못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적 혼동 상태. 지남력장애는 흔히 구조적 정신장애, 약물과 알코올중독, 드물게는 심한 스트레스 등을 통해 나타난다.
10) anxiety(불안) : 주관적인 특성은 긴장, 걱정, 지속적 고립감, 불확실성, 공포, 과흥분, 근심, 우울감이며 객관적인 특성은 심박수 항진, 산동, 초조, 안면 긴장, 떨리는 목소리, 자기 집중적 등이다.
-cf) conflict(갈등) : 본능, 자아, 초자아의 요구 사이나 자아의 요구와 사회의 제한 사이에서 오는 불수의적인 정서적 갈등
11) ambivalence(양가성) : 동일 대상에 대해 상반된 감정, 태도, 충동, 욕구, 감정이 동시에 존재하는 상태. 상반되는 사이에서의 선택 불능으로 발생하는 불확실성과 동요
12) autism(자폐증) : 극단적인 도피와 비정상적인 환상 세계에 몰입하는 것이 특징인 정신이상. 혼돈, 환각, 구두로 하는 대화나 사람들과의 관계 형성의 불가능을 동반한다.
13) conversion(전환) : 보통 근심을 억누르고, 조직적인 변화가 없는 육체적 증상들을 말한다. 전환하는 감정적 충돌들에 의한 불수의적인 방어 장치이며 지각력 상실, 마비, 고통 그리고 나머지 신경계의 작동부전들은 전환의 가장 대표적인 신체적 증상들이다.
- 무의식적 자기 방어 기전이 현실에 나타남
14) mania(조증) : 과대적 정동상태. 의기양양, 자극성 항진, 다변, 의상분일, 정신 운동 증가, 간혹 격렬하고 파괴적이며 자기파괴 행위를 나타내는 특성을 지닌 기분.
- 우울증의 한 표현
15) confabulation(작화증) : 종종 기억의 틈을 감추고 채우기 위하여 경험이나 상황을 위조하여 그럴듯하고 구체적으로 자세히 이야기하는 증상. 이런 현상은 방어 시스템으로 일어나고 대부분 공통적으로 알코올 중독, 특히 코르사코프증후군과 뇌 손상, 건망증장애, 치매나 납중독이 있는 사람에게서 나타난다.
- 상상적 경험을 암송(neurosis가 있는 사람이 많다)
16) dissociation(감정적 해리) : 사고, 정서, 정신 과정이 의식 세계로부터 분리되는 불수의적 방어 기전으로 정서적인 의미가 상실되어 있다.
- 무의식적 불안을 감추려는 기억 상실(dissociation amnesia)
17) paranoid(피해망상적) : 편집증적인 또는 그와 비슷한 증상이 있다. 지나치게 의심이 많거나 피해 망상적 성향이나 태도의 또는 그러한 성향이나 태도가 있는 사람.
- 분노를 잘하는 성격
18) multiple personality(다중 인격증) : 인격 구성이 와해하는 비정상적 상태다. 둘 이상의 전혀 다른 subpersonalities가 존재하는 것이 특징이다.
- 각각의 인격은 communication이 없다.
[ Terms of Psychiatric Disorders 정신 장애 용어 ]
1. Affective Disorders(정동장애)
1) manic-depressive illness(insanity)(조울증)
2) involuntional melancholia(갱년기성 우울증) : 퇴행기에 일어나는 우울한 상태의 이전 용어로 지금은 일상 생활에서의 관심이나 즐거움 없이 우울 증세가 나타나는 형태로 다루고 있다.
-cf) 우울증은 최근 neurosis계 질환이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음.(∵신경 물질의 부족)
3) major depression(주요 우울증) : 지속적인 불쾌감, 불안, 안절부절, 공포, 식욕과 수면 장애, 체중 감소, 정신운동성 주저함과 지체, 에너지 감소, 무가치함과 죄책감, 집중력 저하, 망상, 환각, 죽음이나 자살에 대한 생각을 특징으로 하는 정서 장애.
2. Anxiety Disorders(불안 장애)
1) agoraphobia(social phobia, 광장공포증, 시장공포증) : 개방되어 있고 붐비는 공공장소에 있는 것을 두려워하는 불안장애.
2) acrophobia : 고소공포증
3) claustrophobia(협수공포증, 밀폐공포증) : 밀폐된 공간이나 좁은 공간에서 갇히게 될까 느끼는 공포
3. Somatoform Disorders(신체형 장애)
1) conversion disorders(전환장애) : 억눌린 감정에 의해 조직적인 병변 없이 감각 운동, 내장 기관에 이상 증상이 생기는 것. 실명, 마취상태, 신경과민, 감각 이상, 불수의적인 근육의 움직임, 마비, 실성증, 환각, 강직증, 호흡 곤란 등으로 변환하는 비정상적 상태. 원인으로는 의식적 또는 불수의적으로 별로 좋지 않은 상황, 책임, 고통 등이며, 이러한 요인으로부터 도망가려고 하거나 숨으려고 한다.
2) hypochondriasis(건강염려증, 침울증, 심기증) : 신체의 건강에 대해 만성적이며 비정상적인 걱정. 과도한 불안, 우울, 사실에 대한 비현실적인 해석, 또는 질병이 없다는 타당한 의학적 증거가 있는데도 불구하고 심각한 질환이나 질병의 표시가 되는 신체적 증상을 상상하는 것이 특징이다. 심각한 경우에는 신체상에 대한 왜곡이 너무 강해 실제로 증상이나 질병이 발생한다.
3) anorexia nervosa(신경성 식욕부진증) : 오랜 기간 먹는 것을 거절하는 것이 특징인 질환으로 시약, 무월경, 신체와 관련된 정서적 불안, 비만에 대한 공포로 이어진다. 특히 여자에게 현저하고 불안, 자극, 분노, 공포 같은 정서적 스트레스나 갈등과 관련되며, 생활의 주요 변화를 동반할 수 있다.
4) bulimai(binge eating, 병적 대식증) : 음식 탐욕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 지속적으로 먹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며 변통, 우울, 자아상실로 이어진다. 의식이 있는 한 토해도 계속 먹는다.
4. Psychosexual Disoders(정신성적 장애)
1) sexual masochism(성적 피학성 애정) : 신체적․정신적․정서적 학대를 받음으로써 얻는 만족 또는 쾌감. 타인이나 자기 자신이 학대를 가한다. 성적으로 자극 받기 위해 환상이나 현실에서 신체적․정서적 고통을 경험하고자 하는 욕구를 포함한다.
2) sexual sadism(성적 가학증) : 정신 성욕장애로 성적인 흥분과 만족을 얻기 위해 상대방의 동의가 있거나 동의가 없는 상태에서 상대에게 신체적․정신적 고통을 가하고 굴욕감을 주는 것. 이 병은 만성적이며, 주로 남자에게서 많이 나타나는 수의적․불수의적 동기나 욕구의 결과이다.
5. Personality Disorders(인격 장애)
1) paranoid P. D. (편집성(망상적) 인격 장애) : 다른 사람에 대해 극도의 의심과 불신감을 느끼는 정신과적 장애. 다른 사람의 실수나 실패에 대해 비난하거나 선입견, 자세 또는 편견을 인정하는 데에 비정상적으로 장기간을 소요할 정도이다.
2) schizoid P. D. (정신분성 인격 장애) : DSM-IV의 인격장애로 정서적 냉담함과 무관심, 위축되고 은둔적인 행동, 칭찬, 비난, 타인의 감정에 대한 무관심을 나타내기 때문에 대인관계 형성 능력이 결여된 특징이 있다. 어떤 사람은 적개심과 보통의 공격적인 감정을 표현할 수 없고, 불안한 경험에 대해서는 뚜렷한 초연함으로 반응한다.
- schizoid : 다른 사람과 커뮤니케이션이 없어 우울한 상태
3) histerionic P. D. : 히스테리성 인격 장애
4) antisocial P. D. (반사회적 인격 장애) : 통상의 윤리적․도덕적인 기준에 반하는 행위를 되풀이함으로써 사회와 끊임없이 마찰하는 상태. 증상으로는 공격성, 완고함, 충동성, 무책임성, 적개심, 낮은 좌절감, 정서적 미숙함, 판단장애 등이 있다.
5) borderline P. D. (경계적 인격 장애) : 자아상, 대인관계, 기분의 불안정성이 침습적 양상으로 나타나는 인격. 특징은 방어 기제가 분열되어 사람이나 상황을 모두 좋은 것으로 보거나 모두 나쁜 것으로 보고 그에 따라 행동하는 것이다.
6. 기타용어
1) schizophrenia(정신분열증) : DSM-IV의 정신병적 장애로 현실의 총체적 왜곡, 언어 및 의사 소통 장애, 사회적 관계로부터의 후퇴, 사고, 지각, 정서적 반응의 해체와 분열이 특징적이다. 이 용어는 환자의 기초적인 성격 중의 하나가 정신의 일부에서 분열된 것을 의미한다. 분열된 그 일부는 환자의 고유 성격에 반대가 되는 행동으로 표현된다 할지라도 환자의 정신 생활을 지배한다. 무감동과 혼동, 망상과 환각, 애매함, 지리멸렬, 반향 언어와 같은 산만하거나 틀에 박힌 언어 패턴, 그리고 철회되고 후퇴된 이상 야릇한 행동과 정서 불안정이 종종 나타난다.
- delusion, hallucination, disorganized thinking, flat affect(단조로운 정감), impaired relation
- catatonic type(한 자세를 그대로 유지), paranoid type(delusion이 강조되어 나타난 상태)
2) delirium tremens(진전섬망) : 장기간 알코올의 과도한 섭취가 단절되면서 발생하는, 급성이면서 때때로 치명적인 정신 반작용. 초기증상은 식욕부진, 불면증, 흥분, 격앙, 지남력장애, 정신 혼돈에 따른 전반적인 불안정, 생생하고 자주 놀라는 환각증, 불안, 환상, 망각, 손․발․다리․혀의 거친 진전, 발열, 심장박동 증가, 극심한 발한과 위장장애와 흉부동통이 나타난다. 우울과 자책시에 자살을 시도할 수도 있다.
[ Therapeutic Terminology 치료적 용어 ]
1) electric shock therapy(EST, ECT) (기충격(경련) 요법) : 특히 향정신성 약물에 저항하는 정서장애 치료를 위해 뇌에 전류를 통과시킴으로써 간단한 경련을 유발하는 것. 1차적으로 극도로 자살할 가능성이 높은 사람을 위해, 다른 치료의 위험이 ECT의 위험보다 클 때처럼 내과적․정신과적 이유 중 하나로 빠르고 뚜렷한 반응이 요구될 때 사용한다. 2차적으로는 다른 치료 선택에 실패했을 때 사용한다.(electroconvulsive therapy)
- 전신이 shock에 빠진 상태
2) psychoanalysis : 정신분석학
3) group psychotherapy : 집단 정신요법
- family therapy
4) hypnotherapy(최면요법) : 정신요법에서 다른 여러 가지 치료법의 보조적인 것으로 최면을 사용하는 것.
5) behavioral(behavior) therapy(행동요법) : 주어진 자극에 대해 새로운 또는 일련의 반응으로 대치함으로써 행동 부적응 상태의 수정을 시도하는 심리 치료법. (behavior modification)
- 최근 비만 환자들의 식습관을 기록하여 개선시키는데 사용됨.
[ Abbreviations 약어 ]
1) DT - delirium tremens(진전섬망)
2) EST - electric shock therapy(전기충격요법)
3) MMPI - Minnesota Muli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다면적 인성 검사) : 550항목의 질문에 대답하여 타당성 척도와 임상 척도로 평가하는 심리 검사로 흔히 쓴다. 임상적으로 인성을 평가하고, 여러 가지 정신 질환을 발견하는 데 쓰인다.
4) OBS - organic brain syndrome(기질뇌증후군) : DSM-IV 분류에 의한 정신과 질환의 하나로 정신 기능의 점진적 황폐화가 특징이며, 원인은 영구적 뇌손상이나 일시적 뇌 기능 장애이다.(organic mental disorders(OMD), 기질성 정신장애)
Ⅺ Respiratory System [ 호흡기계 ]
[ Terms of Anatomy and Physiology ]
1) nasal cavity(비강) : 배 모양의 전방 비공을 통해 얼굴 쪽으로 열린 1쌍의 강으로, 후방 쪽으로는 인두와 교통함. 각각의 비강은 아래쪽이 위쪽보다 넓다.
2) paranasal sinus(부비동) : 코 주위에 있는 여러 개의 뼈 내부에 있는 공기강.
① maxillary S.(상악동) ② eethmoid S.(사골동) ③ frontal S.(전두동) ④ sphenoidal S.(접형골동)
3) pharynx(인두) : 두개골 기저에서 식도까지 뻗은 길이 13㎝의 목에 있는 관 구조로 경추 앞부분까지 닿아 있다. 호흡관이나 소화관의 통로이며 다양한 장음 형성을 위해 모양이 변한다. 근육으로 되어 있고 점막으로 싸여 있으며 비인두와 구강인두, 후두인두로 나뉜다.(throat)
-pl) pharynges
- pharyngitis(인두염) : 인후통을 동반하는 인두의 감염이나 염증. 원인은 디프테리아, 단순포진바이러스, 전염성 단핵구증, 연쇄상구균 감염이다.
4) nasopharynx(비인두강) : 목의 세 영역 중 가장 윗부분으로 비강 뒤에 놓여 있고, 후비공에서 연구개 수준으로 뻗어있는 기관이다. 비인두 후벽은 후비공 반대쪽이며 인두 편도이다. 부어 있거나 커진 인두 편도는 후비공 뒤 공간을 가득 채우고 코에서 목으로의 공기 통로를 막는다.
- nasopharyngeal space
5) pharyngeal tonsil(인두 편도) : 후비공 뒤의 비인두 후벽에 있는 림프 조직의 2개의 덩어리. 유아기에 자주 부어 비강에서 인두까지의 공기 통로를 막을 수 있다.
6) larynx(후두) : 인두를 기관에 연결시키는 공기 통로의 한 부분으로 성대 기관임. 후두에는 Adam's apple이라고 하는 큰 융기가 목에 있는데, 사춘기까지는 남녀 모두 그 크기가 같다가 성인이 되면 남자가 여자보다 커진다.
- laryngitis(후두염) : 후두를 둘러싼 점막에 염증이 생겨 성대가 붓고, 목이 쉬고, 목소리가 나오지 않을 수도 있다. 감기, 연기에 의한 자극, 갑작스러운 온도 변화 등에 의해 급성 장애가 일어나고, 목소리를 너무 많이 사용했거나 과도한 흡연, 자극적인 연기에 노출되었을 때는 만성 장애가 일어난다.
- laryngeal cancer(후두암) : 후두의 내피세망 구조에서 발생하는 악성 신생물 질환. 후두종양은 50~70대에 빈도가 가장 높다. 지속적으로 쉰 목소리가 나면 이것이 첫 번째 신호이다. 암이 중증이 되면 인후통, 호흡곤란, 연하장애 그리고 경부선병이 유발된다.
- vocal cord(성대) : 성대주름이라 불리는 막에 의해 둘러싸인 후두에 있는 황색의 1쌍의 강한 띠. 복측으로는 갑상연골각에 부착되고 배측으로는 피열연골의 성대돌기에 부착된다.
7) esophagus(식도) : 인두에서 위까지 이어지는 길이 24㎝의 근육관. 섬유성, 근육성, 점막하 피막으로 구성되며 점막이 있다.(oesophagus)
8) epiglottis(후두개) : 뚜껑처럼 후두를 덮어 음식을 삼킬 동안 후두와 기관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예방하는 연골성 구조물.
- glottis(성문) : 후두의 발성기관으로 진성대로 구성되어 있다.
9) trachea(기관) : 목에 위치한 원통형에 가까운 관으로 연골과 점막으로 이루어져 있다. 폐로 공기를 운반한다.
10) mediastinum(종격동) : 2개의 폐를 싸고 있는 흉막낭 사이 휵곽 중앙에 위치한 흉강의 한 부분. 이것은 흉골에서 척추에 이르며, 폐를 제외한 모든 흉강 내 장기를 포함한다. 두껍고 신장성의 흉곽의 장막하근막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위쪽과 아래쪽으로 나뉜다.
11) bronchus(bronchi, 기관지) : 흡입 공기와 배출 공기가 통과하는 폐에 있는 몇 개의 큰 공기 통로 중 하나. 각 기관지는 3개의 층으로 구성된 벽으로 이루어진다.
- bronchitis(기관지염) : 기관지 점막의 급성 또는 만성 염증.
ⅰ) acute bronchitis(급성 기관지염) : 가래, 기침, 열, 점액 분비 구조물의 비대, 요통을 특징으로 한다. 홍역, 백일해, 디프테리아, 장티푸스 등의 유아 감염 또는 상기도 바이러스 감염이 기관지로 전파된 것이 원인인 경우가 흔하다.
ⅱ) chronic bronchitis(만성 기관지염) : 최근 2년 안에 최소 3개월 이상 지속되는 가래기침을 동반함 과도한 기관지 점액 분비물을 특징으로 한다. 부가적 증상에는 빈번한 흉부 감염, 청색증, 저산소혈증, 탄산과잉증 및 폐성심과 호흡부전으로 진행되는 경향 등이 있다.
- bronchial spasm(기관지 연축) : 기관지와 세기관지벽의 평활근 섬유의 과도하고 지속적인 수축은 국소적으로 또는 광범위하게 나타날 수 있다. 호흡기 점막 자극이나 상해, 감염, 알레르기 등이 원인이 된다.(bronchiospasm, bronchospasm)
12) lung(폐) : 흉곽에 있는 가볍고 스펀지와 같은 1쌍의 기관. 매우 탄력적인 2개의 폐는 동맥계에 필요한 산소를 추출하기 위해 공기를 흡입하고, 정맥에서 분산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기 위한 신체의 주요기관.
- pulmonary function(폐기능)
13) bronchiole(세기관지) : 기관지에서 폐엽으로 이어지는 호흡기계의 작은 기도. 종말 세기관지와 호흡 세관지로 나뉜다.
14) alveolus(alveoli, 폐포) : 작은 낭상의 확장부로, 폐포벽을 통해 폐포와 폐 모세혈관의 혈액 사이에서 가스 교환이 일어난다.(acinus)
15) capillary(모세혈관) : 동맥과 정맥을 연결하는 미세한 혈관. 1개의 내층으로 구성된 혈관으로 혈관벽은 편평상피세포(내피세포)로 되어 있다. 모세혈관벽을 통해 여러 가지 물질이 교환된다.
16) pleura(흉막, 늑막) : 폐를 덮은 매우 섬세한 장막으로 결체조직의 섬세한 막 위에 놓여 있는 평평한 중피세포의 단막으로 되어 있다. 호흡하는 동안 폐가 팽창하고 수축할 때, 윤활제 역할을 하는 소량의 액체에 의하여 벽측늑막과 장측늑막으로 나뉜다.
- pleural cavity(흉막강, 흉강, 늑막강) : 폐가 들어 있는 흉부 내 공간. 늑골과 폐 사이에는 장측늑막(visceral pleura)과 벽측늑막(parietal pleura)이 있다.
17) diaphragm(횡격막) : 흉강과 복강을 분리시키는 반구형의 근섬유성 벽. 대동맥, 식도와 대정맥이 통과하는 구멍에 의해 관통되며, 위아래로 움직이면서 호흡을 도와주고 있다. 흡식 동안에 횡격막은 아래로 이동하며 흉강의 용적을 증가시키고, 호식 동안에는 위로 이동하며 흉강의 용적을 감소시킨다.
18) ciliated bronchial cells(섬모기관지 세포)
[ General and Symptomatic Terms 일반 및 증상용어 ]
1) auscultation(청진) : 심장, 혈관, 폐, 흉막, 장 또는 그 밖의 장기의 상태에 대한 평가와 태아 심음 감시를 위해 신체 내의 음을 듣는 것.
2) percussion(타진) : 손 끝이나 주먹으로 신체를 두드림으로써 몇몇의 내부 장기의 크기, 경계, 밀도와 신체강에 있는 총 체액을 평가하는 신체검사기술.
3) rale(수포음, 나음) : 흡식 때 흉부 청진 시 들을 수 있는 흔한 비정상적인 호흡 음으로, 단속적인 거품 소리가 특징이다.(crackle)
4) spectrum(객담) : 기침 등을 통해 폐, 기관지, 기관에서 입을 통해 배출된 것. 점액, 세포탈락물, 미생물, 혈액이나 농이 포함될 수 있으며 객담의 양, 색깔, 구성물질이 결핵․폐렴․폐암․진폐증 등을 진단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5) stridor(코골이, 협착음) : 기관 또는 후두의 방해물로 인한 비정상적인 높은 음의 소리. 보통 흡기 때 들리며, 협착음은 성문의 부종, 천식, 디프테리아, 후두경련과 유두종을 포함하여 몇몇 종양 또는 염증성 상태를 알린다.
6) wheeze(wheezing, 천명) : 고음이나 저음이 특징인 건성 수포음의 형태. 좁은 기도를 공기가 고속으로 지날 때 유발되며 흡식기와 호식기에 모두 들을 수 있다. 이것은 기관지 경련, 염증, 이물질이나 종양에 의한 기도폐쇄로 나타날 수 있다. 천명음은 천식, 만성 기관지염과 관련이 있다.
- 기관지가 좁아져 공기가 지나갈 때 ‘삐-삐-’ 소리가 남.
7) aphonia(무성, 실성) : 성대의 남용, 기질적 질병, 불안 같은 심리적 원인으로 저상적인 발성 능력이 손실된 상태.
8) aphasia(연구불능증, 실어구증) : 한 단어를 말하거나 알아들을 수는 있으나 뜻이 있는 구절이나 문장으로는 대화가 불가능한 실어증의 한 형태
9) dysphagia(연화곤란) : 음식물을 잘 삼키지 못하는 증상으로 대개 식도의 폐쇄나 운동장애와 관련이 있다.
- aphagia(연하불능증) : 기질적․심리적 원인으로 연하 능력이 손상된 상태.
10) hoarseness(쉰 목소리) : 거칠고 빠른 쉰 소리가 나는 상태. 목이나 후두의 감염으로 발생.
11) dyspnea(호흡곤란) : 심장의 이상, 심한 운동 또는 불안으로 호흡에서 느끼는 곤란감(dyspnoea)
12) orthopnea(기좌호흡) : 숨을 깊게 또는 편하게 쉬기 위해서는 앉거나 서있어야만 하는 비정상적 상태. 천식․폐부종․폐기종․폐렴․협심증 같은 심장과 호흡기계의 많은 질환에서 발생.
13) Cheyne-Stokes respiration(CSR, 교대성 무호흡) : 비정상적인 호흡 양상으로 무호흡과 깊고 빠른 호흡이 교대로 반복되는 것이 특징이다. 호흡 주기는 느리고, 얕은 호흡으로 시작해 점차적으로 비정상적인 깊이와 속도로 증가한다. 직접적인 원인은 간뇌이상 또는 양측성 대뇌반구 병변에 의해 발생하는 뇌의 호흡중추 기능의 복합적인 변화이다.
14) paroxysmal nocturnal dyspnea(PND, 발작성 야간호흡곤란) : 주로 기댄 자세에서 오랫동안 잠잔 후 잠을 깨울 정도의 갑작스런 호흡부전과 같은 전형적 증상이 나타난다. 원인은 주로 울혈성 심부전에 의한 폐부종이며, 발작은 기침을 동반하고 질식감을 느끼며, 발한, gallop rhythm을 동반한 빈맥이 나타난다.
15) asphyxia(질식) : 저산소혈증, 고탄산혈증, 의식상실을 가져오는 심한 저산소증. 치료하지 않으면 사망한다. 가장 흔한 원인은 익사, 전기쇼크, 토물 흡인, 호흡기계의 이물질 축적, 독성 가스나 연기 흡입, 중독 등이다. 뇌 손상을 막기 위해 기계적 환기와 산소요법을 적용하고 관련 요인들을 치료.
16) hypoxia(저산소혈증) : 세포에서의 산소가 부적절한 상태로 빈맥, 고혈압, 말초혈관 수축, 현기증, 정신착란이 특징이다. 저산소증에 가장 민감한 조직은 뇌, 심장, 폐혈관, 간이다.
17) hypercarbia(hypercapnia, 고탄산혈증) : 혈중 이산화탄소 함량이 정상보다 높은 것.
18) hyperventilation(과환기, 과도호흡) : 정상적인 폐의 가스 교환이 대사적으로 필요한 것보다 과도한 폐의 환기율. 빈호흡, 증가된 1회 호흡량 또는 이 두 가지의 복합으로 나타나고, 과도한 산소의 흡입과 이산화탄소의 배출을 유발한다. 이는 이산화탄소 감소증과 호흡성 알칼리증을 초래하여 현기증, 실신, 발가락과 손가락의 무감각, 정신운동장애가 있을 수 있다.
19) hemoptysis(각혈, 객혈) : 호흡기도로부터 혈액이 나오는 것. 종종 혈액이 섞인 가래가 양한 상기도 감염이나 기관지염에서 나타난다.
[ Terms of Pathological Conditions 병리상태의 용어 ]
1) rhinitis(비염) : 비점막의 염증으로 대개 점액과 비강 분비물로 인한 종창과 함께 나타난다. 부비동염으로 악화될 수도 있다. 비염은 급성(acute)․알레르기성(allergic)․아토피성(atrophic)․혈관운동성 (vasomotor)비염의 형태로 나타난다.(coryza)
2) nasopharyngitis : 비인두염
3) nasal polpys(비용종) : 비강 내에 생기는 우무 모양의 연한 비점막의 일종인 염증성 산물. 아직 작을 때에는 자각증상도 없으나 서서히 커짐에 따라 비색이나 묽은 비즙이 나오고 더욱 진행되면 후각이 둔해지며 콧소리를 내고 두통을 호소한다. 중비도에 많이 발생하며, 하나 또는 여러 개가 생긴다. 살짝 건드리기만 해도 쉽게 출혈하는 것도 있다. 수술로 적출하지만 재발하는 수가 많다.
4) deviated nasal septum(비중격만곡증) : 치우친 비강의 중앙 부분. 정상 성장 동안에는 왼쪽으로 치우치지만, 이 편향은 코에 충격을 가하거나 다른 외상에 의해서 가중된다.
5) sinusitis(부비동염) : 하나 이상의 부비동에 생김 염증. 상기도 감염, 치과적 감염의 합병증, 비행이나 수영 등 대기압의 변화, 코의 구조적 결함 등이 원인이 된다. 비강 점막의 부종으로 동에서 비강에 이르는 개구부가 폐색되어 동 분비물이 축적되어 압력 증가, 통증, 두통, 발열, 국소적 압통을 호소하며 합병증으로는 해면상 동성 혈전증, 뼈․뇌․수막으로의 감염 확산이 있다.
6) pharyngitis(인두염)
7) laryngitis(후두염)
8) tonsillitis(편도염)
9) diphtheria(디프테리아) : 디프테리아균의 감염에 의하여 일어나는 급성전염병으로 인후두 점막에 위막이 형성되고, 전신적 독소 생성이 특징이다. 특히 독소는 심장과 중추신경계의 조직을 손상시키며, 인후두의 밀도가 높은 단단한 위막은 음식 섭취와 호흡을 방해한다.
- 시크(Schick)반응 : 디프테리아에 대한 면역의 정도와 감수성의 유무를 조사하는 반응으로, 일정한 양의 디프테리아 독소를 전완 안쪽의 피부에 주사하여 지름 10mm 이상의 발적이 나타나면 양성이다.
10) pertussis(whooping cough, 백일해) : 발작성 기침과 흡식의 끝부분에 시끄러운 소리를 내는 경련성 호흡이 특징인 급성의 고도 전염성 호흡기 질환. 특히 면역이 되지 않은 영아나 4세 이하의 어린이에서 많이 발생한다.
11) croup(크루웁, 가막성 후두염) : 후두점막에 괴사를 수반하지 않는 섬유소성의 가막이 생겨 목소리가 쉬고 호흡곤란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후두디프테리아 때문에 일어나는 경우를 진성 크루프라고 하고, 인두염이나 후두염 등에서 볼 수 있는 것은 가성 크루프라고 하여 구별한다. 가성 크루프는 후두점막이 부어서 기도를 좁히기 때문에 일어나는 것으로 가막은 생기지 않는다. 또 삼출액에 섬유소가 많은 섬유소성 폐렴을 크루프성 폐렴이라고 부른 적도 있으나 현재는 대엽성 폐렴이라 하고 있다.
12) bronchitis(기관지염)
13) bronchiolitis(세기관지염) : 허파꽈리에 염증이 생겨서 호흡곤란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기관지초염이라고도 한다. 세기관지 내벽에 염증이 생겨서 내벽 세포가 뭉치거나 부어서 내강이 좁아지고 그에 따라 호흡곤란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전염성이며 종종 유행하기도 한다. 원인은 바이러스나 세균에 감염되거나 동시에 둘 다에 감염된 경우를 들 수 있다. 증세는 보통의 감기와 같이 콧물과 기침으로 시작하다가 호흡이 빨라지고 천명이 일어나며 호흡곤란 증세가 나타나고 감기보다 오래간다. 특징적으로 발열과 천식음이 들리고 1분에 60~80회 정도로 호흡이 빠르고 얕아지며, 가슴과 배가 위축된다. 심한 경우에는 피부와 손톱 색깔이 어두운 푸른색으로 변하고, 때로는 증세가 심한 천식이나 폐렴과 구별하기 어려운 상태가 되기도 한다. 합병증으로 영구적인 폐질환으로 만성 기관지염, 폐의 부분적 붕괴, 기관지 확장증, 폐렴 재발 등이 일어날 수 있고 드물게는 만성 폐색성 폐질환을 일으키기도 한다.
14) bronchiectasis(기관지확장증) : 기관지가 변형하여 일부 또는 전체가 일시적 또는 항구적으로 확장한 상태로 기관지염이 만성화한 경우 등 기관지벽이 탄성(彈性)을 잃어 확장증이 되기도 하고, 어렸을 때의 폐렴이나 젊었을 때의 결핵이 기관지를 옥죄어 일으키는 수도 있다. 증세로는 기침․가래․발열 따위가 있고, 때로는 객혈하여 결핵으로 오인될 때도 있다.
15) asthma(천식) : 기관지 수축, 기침, 점액성 기관지 분비물로 인한 재발성 발작적 호흡곤란과 호흡시 천식 양상이 특징인 호흡기 장애. 알레르기원이나 오염 물질 흡입, 감염, 찬 공기, 격렬한 운동, 정서적 스트레스가 발작을 일으킨다.
16) bronchogenic carcinoma(기관지원성 암종, 폐암) : 기관지에서 발생하는 악성 폐종양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암종. 병소는 보통 흡연으로 발생하며 기침, 천명, 피로, 흉부 긴장감, 관절통 등을 일으킨다. 말기에는 혈성 객담, 곤봉지, 체중 감소, 흉막삼출 등이 발생할 수 있다.
17) atelectasis(무기폐) : 이산화탄소와 산소의 호흡 교환을 방해하는 폐포허탈이 특징인 비정상적인 상태. 호흡음 감소, 허탈된 쪽으로의 종격동 변위, 발열과 호흡곤란의 증세를 보인다. 병리 상태는 늑막강 내의 액체나 공기로부터 폐의 압박, 폐 외부 종양으로부터의 압박에 의한 주된 기도와 세기관지 폐쇄로 인한다.
18) (pulmonary) emphysema(폐기종) :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하나. 폐포의 과도한 팽창과 지지 조직의 파괴가 특징이다.
19) pneumonia(폐렴) : 폐의 급성 염증으로 폐포와 세기관지가 섬유성 삼출물로 인하여 막힌다. 폐렴은 바이러스, 리케차, 곰팡이뿐 아니라 기타 박테리아에 의해서도 발생한다.
- bronchopneumonia(기관지폐렴), lobar pneumonia(대엽성폐렴, 크루프(croupous)성 폐렴) 등
20) pulmonary tuverculosis(폐결핵) : 항산성 세균인 결핵균이 일으키는 만성 육아종성 감염으로, 감염된 작은 비말을 흡입하거나 섭취함으로써 전파되고, 비말감염은 여러 기관에서 일어나지만 폐에 주로 영향을 미친다. HIV에 감염된 사람은 폐외결핵이 될 수도 있다. 이는 간, 폐, 비장, 골수, 림프절 같은 기관에 퍼지는 것을 의미한다. 나른함, 애매한 흉토, 늑막염, 식욕감퇴, 열, 체중감소 등이 폐결핵의 초기 증상이다. 이 질환이 진행하면서 밤에 땀을 흘리고, 폐 출혈, 농이 섞인 가래 배출,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21) pneumoconiosis(진폐증) : 미립자, 즉 작업장이나 환경에서 발생하는 무기질 먼지를 흡입함으로써 일어나는 폐질환.
- silicosis(규폐증) : 유리규산의 미립자(微粒子)가 섞여 있는 공기를 장기간 마심으로써 증세가 발생하는 만성질환.
- anthracosis(탄분증) : 폐에 석탄 먼지가 침전되고 세기관지에 검은색 결절이 형성되고 국소적인 폐기종을 일으키는 만성 질환.
- asbestosis(석면증) : 석면 섬유가 폐에 축적되어 나타나는 폐선유증(肺線維症).
22) pulmonary abscess(폐농양) : 폐농양은 폐조직의 염증과 괴사로 생긴 공동(직경이 2㎝ 이상인 공동이 1개 또는 그 이상 형성됨)속에 고름이 고여 있는 상태이다. 농양이 가장 잘 형성되는 부위는 우측 하엽의 상분절이나 우측 상엽의 후분절이다. 우측 폐가 좌측 폐 보다 더 잘 발생한다. 폐농양 환자의 3/4이 혐기성 세균으로 인해 발생되며 감염성 폐농양은 구강 내 혐기성 세균, 장내 호기성 그람 음성균, 결핵균, S.pneumoniae 등이 원인이고 비감염성 폐농양은 종양, 폐동맥 경색, 폐낭종 등으로 발생된다. 처음에는 폐렴처럼 발한, 오한, 전신 쇠약, 식욕 부진, 고열(39.5℃), 기침, 호흡 곤란이 나타나며 흉막강이 침범됐을 때는 흉통이 있다. 청진시 습성 나음이 들리기도 하며 병이 진행되면 간혹 객혈하기도 한다. 객담은 화농성이고 악취가 나며 검은 갈색이나 녹색, 회색 등의 색을 보인다. 만성 대상자는 빈혈, 체중감소, 고상지두가 나타난다. 혐기성 세균이 폐에 침윤되어 염증을 일으키면 화농성 기관기관지 분비물이 과다하게 생성되고 발열, 백혈구 증가증을 보이고, 분비물을 인한 기도 폐색, 폐확장 감소로 인해 가스교환이 저하되어 호흡곤란이 나타난다.
23) pulmonary edema(폐부종) : 폐포와 조직 사이에 혈관 유출액이 축적된 상태로서 울혈성 심부전이 원인이다. 장액이 폐 모세혈관을 통해서 폐로로 들어가고 세기관지와 기관지로 유입된다. 아편중독, 광범위한 감염, 출혈성 췌장염, 신부전, 뇌졸중 후, 두개골 골절, 자극성 가스의 흡입 및 전혈이나 혈장, 알부민의 빠른 주입 등으로 발생한다.
24) pulmonary embolism(PE, 폐동맥색전증) : 폐동맥이 이물질에 의해서 폐쇄되는 것. 색전에는 지방, 공기, 종양 조직, 말초정맥에서 비롯되는 혈전 등이 있다. 응고성의 증가를 수반한 혈액 서분의 변화, 혈관벽 손상, 정체, 부동, 울혈성 심부전, 진성 다혈구증, 수술 등이 유발 요인로 작용한다. 심근 경색 및 쳬렴과의 감별이 어려운데 호흡곤란, 갑작스런 흉통, 청색증 등이 특징이다. 흉막 삼출, 객혈, 백혈구 증다증, 발열, 빈맥, 심방 부정맥, 경정맥의 현저한 확장을 동반하기도 한다. 대량의 폐색전을 가진 환자의 약 2/3가 2시간 이내에 사망한다.
25) pulmonary infarction(폐경색증) : 하지나 골반정맥에서 만들어진 혈전이 폐동맥 분지를 막고 있는 상태. 혈전이 정맥순환계에 유입된 후에는 혈류를 따라 한쪽 폐에 도달하여 폐순환계에 의해 여과됨.
26) pleurisy(늑막염, 흉막염) : 폐의 벽측늑막의 염증. 이는 호흡곤란, 찌르는 듯한 통증이 특징이며 침범된 가슴의 경련으로 인하여 정상적인 호흡이 힘들다. 주요 원인은 기관지 악성 종양, 폐암, 흉벽농양, 폐렴, 폐경색, 결핵 등이다. 이로 인하여 늑막과 인접막이 영구적으로 유착하기도 한다.
27) pleural effusion(늑막삼출, 흉막유출) : 폐의 늑막강 내 비정상적으로 액체가 고이는 것. 열, 흉통, 호흡 곤란, 기침 등이 나타난다. 이 액체는 감염된 늑막의 면에서 삼출 또는 여출한 것이다. 삼출액은 폐경색, 손상, 종양 및 결핵 같은 감염으로 유발된다.
28) empyema of pleura(농흉) : 결핵이나 늑막염과 같은 박테리아성 감염으로 인한 체강 내 특히 늑막강 내 농의 축적.
29) hemothorax(혈흉) : 벽측과 장측 흉막 사이의 흉막강에 혈액과 액체가 축적되는 것은 보통 외상으로 인한다. 혈액은 폐혈관의 침식이나 수포의 파열, 또는 육아종의 결과로 흉강에 고일 수 있다. 혈흉증은 폐렴이나 결핵, 종양에 의한 염증으로 인한 작은 혈관의 파열로 발생할 수 있다. 응급 간호가 이루어지지 않을 때 출혈, 통증, 호흡부전으로 인한 쇼크가 발생한다.
- 늑골이 부러질 경우 폐속의 혈관을 찢으며 출혈이 일어나 고인다.
30) pneumothorax(기흉) : 흉막강 내에 공기나 기체가 축적되는 것을 말하며 이로 인하여 폐는 허탈 상태가 된다. 공기가 들어올 수 있는 가슴의 개방창상이나, 폐의 표면에 폐포성 기종의 파열 및 심한 기침으로 인하여 발생하며 자연적으로도 발생할 수 있다. 갑작스럽고 날카로운 흉통, 빠른 호흡, 침범 부위의 정상 흉곽 운동의 중단, 빈맥, 약한 맥박, 고혈압, 발한, 체온 상승, 창백, 현기증 및 불안을 동반한다.
31) rhinoplasty(비성형수술) : 코의 구조가 변하는 성형수술의 방법. 뼈와 연골이 제고될 수도 있고, 조직이 신체의 다른 부분에서 이식된다. 이 수술은 미용의 이유로 가장 많이 시행된다.
32) turbinectomy : 비갑개절제술
33) Caldwell-Luc operation : operation for maxillary sinusitis
34) laryngectomy(후두절제술) : 후두암 치료를 위해서 후두를 외과적으로 절제하는 것.
35) tonsillectomy(편도절제술, 편도적출술) :재발성 편도염을 예방하기 위하여 구개편도를 제거하는 수술. 수술 전 출혈시간, 응고시간, 전혈검사, 소변검사 등을 시행한다.
36) tracheostomy(기관절개술) : 경부에서 기관을 외과적으로 개구하는 것으로 유치관을 삽입하기도 한다. 기관절개 뒤에 폐울혈을 암시하는 호흡음이 있는지 환자의 흉부를 청진하고, 청색증이 있는지 정맥이나 손가락 끝을 관찰한다. 합병증은 기흉, 부적절한 호흡, 기관절개관의 폐색와 이탈, 폐감염, 무기폐, 기관식도루, 출혈, 종격기종이다.
37) pneumonectomy(폐절제술) : 폐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거하는 수술.
- lobectomy(폐엽절제술) : 폐엽의 외과적 절제술. 폐엽절제술은 악성 종양을 제거하고 조절되지 않는 기관지확장증, 출혈을 동반한 외상 또는 난치성 폐결핵에 실시한다.
38) thoracostomy(흉곽절개술, 흉강삽관술) : 배액을 목적으로 가슴벽에 외과적 방법으로 개구부를 만드는 것.
[ Terms of Clinical Procedures 임상 처치 용어 ]
1) pulmonary function test(PFT, 폐기능검사) : 폐의 가스 교환 능력을 측정하는 검사법.
2) thoracentesis(흉곽천자) : 진단이나 치료 목적, 즉 주사바늘을 이용하여 흉막액을 배액하거나, 생검 목적으로 조직을 떼어내기 위하여 흉벽이나 흉막강을 외과적으로 천공하는 것.
3) laryngoscopy(후두경검사) : 후두를 보기 위해 후두경을 사용하는 것.
4) bronchscopy : 기관지경검사
5) endotracheal intubation(기관재삽관술) : 코나 구강을 통해 기관으로 키도 카테터를 삽입하는 환자 관리. 환자의 기도를 유지하고 무의식환자나 마비환자의 소화관에서 물질의 흡인을 예방하고 기관지의 분비물을 흡인할 수 있게 하거나 마스크로는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없는 양압 환기를 투여하기 위해 기관내관을 사용하기도 한다.
6) postural drainage(체위배액법) : 객담이 많은 질환인 경우 기관지와 폐에서 배액을 촉진하기 위한 자세. 기침할 때 기관지에 있는 객담을 배출하기 위해 사용한다. 환자가 호흡 곤란, 객혈, 뇌출혈, 뇌내압 상승이나 폐농양 등의 증상을 보일 경우 특별한 처방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머리를 낮추지 않는다. 기관에서 객담을 배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인공 흡인을 실시한다.
[ Abbreviation 약어 ]
1) ABG - arterial blood gas analysis(동맥혈가스분석)
2) AFB - acid-fast bacillus(결핵균)
3) COPD -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만성폐쇄폐질환)
4) ENT - ear, nose and throat
5) PaCO2 - arterial pressure of carbon dioxide
6) PaO2 - arterial pressure of oxygen
7) URI - upper respiratory infection(상기도감염)
Ⅻ Sense Organs : The Eye and The Ear [ 감각기관 : 눈과 귀 ]
< The Eye >
[ Anatomy and Physiology 해부와 생리 ]
1) pupil(동공) : 눈의 홍채에 있는 원형의 개구부로 홍채의 중앙에서 비측으로 약간 치우쳐 있다. 눈의 창이며, 동공을 통해 빛이 수정체와 망막으로 전달된다.
2) conjuctiva(결막) : 안검의 안쪽과 안구의 노출된 외면을 덮는 얇은 막
3) cornea(각막) : 안구의 여섯 번째 바깥쪽 판을 포함하는 가장 바깥 벽. 각막은 빛이 렌즈까지 통과시키고 5계층의 섬유조직으로 구성되었다. 각막의 굴절 정도는 개개인마다 다르고 같은 사람이라도 나이에 따라 다르다. 굴절은 나이가 많을 때보다 젊은 때 더 많이 생긴다.
4) sclera(공막) : 눈의 흰자위로 강막이라고도 한다. 안구의 뒤쪽 약 5/6를 싸고 있는 강하고 질긴 섬유막으로, 안구를 보호하고 안구의 형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백색이고 불투명하며, 어릴 때는 청백색을 띠고 늙어서 지방침착이 많아지면 황색을 띤다.
- 흰자위. 두꺼움. 빛이 들어갈 수 없음.
5) iris(홍채) : 동공(눈동자)의 주위에 있는 고리 모양의 막으로 검은 눈동자의 본체는 각막을 통해 흑색으로 보이는 홍채이다. 중앙에 원형의 동공이 있고, 이 곳을 통하여 전안방과 후안방이 이어진다. 홍채가 이완하거나 수축함에 따라 동공의 크기가 변하고, 따라서 망막에 달하는 광선의 양이 조절된다.
6) ciliary body(모양체) : 맥락막 앞부분과 홍채를 연결하는 눈의 혈관막의 비후된 부분.
7) retina(망막) : 뇌의 시신경을 통해서 시각 자극을 전달하고, 외부 물체의 이미지를 받는 시신경으로 연속적인 눈의 정밀한 10층으로 된 신경조직막으로 로돕신을 함유하며, 부드럽고 반투명체이다. 망막의 외부 표면은 유리체의 내부 표면 맥락막에 접촉한다. 망막은 앞쪽의 얇은 막이 모양체에 가까이 퍼져 있고 뒤쪽은 두껍다. 상이 가장 잘 맺히는 곳은 뒷면 중앙의 정확히 얇은 점을 제외한 곳이다.
8) optic N.(시신경) : 시각 자극을 전달하는 1쌍의 뇌신경. 주로 망막의 신경절에서 시작해 시상을 거쳐 시피질로 연결되는 수질을 포함하는 섬유로 이루어져 있다. 시신경 교차에서 망막의 안쪽 또는 비부쪽 반구에서 시작하는 신경들이 반대편 시각로로 이어진다. 시피질은 빛․명암․물체를 인식하는 기능을 한다.
9) macula lutea((망막)황반) : 시신경으로부터 2㎜떨어진 망막 중앙의 황반. 혈관이 없으며 중심부가 함몰된다.
10) fovea centralis(중심와) : 원추세포들이 모인 간상세포 없는 망막의 중심 부위.
11) orbit(안와) : 두 개내부에 있는 1쌍의 골성, 원뿔형 공동의 하나. 안근․혈관․신경 등의 주변 조직과 안구를 보유하고 있다.
12) eyelid(안검) : 안구의 전면을 덮고 있는 아래위 2장의 피부성 주름으로 안검이라고도 한다. 외면은 피부로 되어 있고, 내면은 결막으로 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는 눈꺼풀을 움직이게 하는 근육과, 분비선인 마이봄선을 품고 있는 검판조직이 있어서 눈꺼풀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눈꺼풀은 안구를 보호함과 동시에, 눈을 깜박임으로서 눈물로 안구를 청정하게 하거나 각막을 윤기 있고 투명하게 하는 일을 한다. 또, 눈으로 들어오는 빛을 막는 일도 한다.
13) cilia, eyelash(손눈썹) : 아래위의 눈꺼풀 가장자리에 나 있는 길이 10mm 정도의 경모로 지각이 매우 예민하여 먼지 등의 이물에 접하면 곧 아래위의 눈꺼풀을 닫아서 안구를 보호한다.
14) tarsal plate(tarsus, 점판) : 안검을 이루는 약 2.5cm의 연골판. 하나의 검판연골이 각각의 안검을 형성한다.
15) lacrima gland(누선) : 전두골의 안구 바깥 쪽에 있는 1쌍의 선. 아몬드 크기의 타원형 구조물로 누선의 수용성 분비물은 약알칼리성이고 식염수인 눈물로 이루어지며 결막을 촉촉하게 해준다.
16) lacrimal duct(누관) : 눈물샘에서 누낭으로 가기 위해 눈물이 거치는 안쪽에 있는 1쌍의 관.
- lacrimal sac(누낭) : 2개의 비루관의 확장된 끝부분. 각낭은 누골과 상악골의 전면 돌기로 구성된 골 안에 있다. 누선에서 분비된 눈물로 채워졌으며 누관을 통해 연결된다.
[ Symptomatic Terms 증상 용어 ]
1) myopia(근시) : 안구의 신장 또는 굴절 이상으로 수정체가 가장 얇은 무조절 상태일 때 외계로부터 들어오는 평행광선이 망막 앞쪽에서 결상되는 눈을 말한다.
2) hyperopia(원시) : 안구의 굴절력에 비하여 안축(안구의 전후의 길이)이 짧은 눈이다. 안축이 짧기 때문에 일어나는 축성원시와 각막 또는 수정체의 빛을 굴절하는 힘이 약하거나 백내장 수술 후의 무수정체안에서 볼 수 있는 굴절성원시의 두 종류로 대별한다. 원시안은 피곤해지기 쉽고, 조절성의 안정피로를 일으키기 쉽다.
3) astigmatism(난시) : 각막이나 수정체 등 안광학계의 굴절이상으로 눈 안에 입사하는 평행광선이 초점을 만들지 못하는 상태로 먼 곳과 가까운 곳 양쪽에 대하여 모두 시력장애가 있고, 눈이 피로하기 쉬우며, 물건이 이중으로 보이기도 하고 두통이 생기기도 한다.
4) presbyopia(노안, 노시) : 연령이 증가되든가 노령이 됨에 따라 일어나는 원시와 시각의 감소로서 근거리(약 25-30cm)에 있는 물체가 잘 보이지 않는 상태로 나이를 먹으면 모든 세포의 기능이 떨어지게 되고, 우리 눈 속의 수정체도 탄력성이 떨어져서 조절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생김.
5) diplopia(복시) : 1개의 물체가 2개로 보이거나 그림자가 생겨 이중으로 보이는 것으로 외안근의 기능 장애 또는 근육을 지배하는 신경의 장애로 나타난다.(ambiopia)
6) nyctalopia(야맹증) : 밤이나 희미한 빛에서 잘 보지 못하는 상태. 로돕신 합성의 감소나 비타민 A 결핍, 망막 퇴행이나 선천성 결함으로 인해 유발된다.
7) nystagmus(안구진탕증, 안진) : 눈의 불수의적인 리듬 있는 운동으로 무의식으로 일어나는 안구의 주기적 운동을 말한다. 안구진동은 수평적․수직적 또는 회전 운동이거나 복합적일 수 있다.
8) exophthalmus(exophthalmia, exophthalmos, 안구돌출증) : 안구가 돌출된 비정상적인 상태로 종양이나 두 개내 안와 내의 부종과 안와 내의 출혈, 외안근의 손상이나 마비, 해면동 혈전증 등으로 인해 눈의 내용물 용적이 증가해 일어난다. 또한 갑상선기능항진증이나 Grave's 병과 같은 내분비 장애, 안와의 정맥류, 안골 손상 등이 원인이 될 수도 있다. 시력이 손상되며 각막염, 궤양, 염증, 시력소실이 발생할 수 있다.(protrusio bulbi)
9) photophobia(광선공포증) : 이유 없이 밝은 장소를 피하려는 빛에 대한 공포. 남자보다 여자에게 많고 대개 억압된 정신과적 갈등이 빛과 관련된 상징적인 것으로 표현된다.
- 각막 자체가 유난히 얇아져 있는 것.
10) papilledema(유두부증) : 안저부의 검안경 검사로 볼 수 있는 시신경 원판의 울혈로 두 개내압의 상승이 원인이다. 시신경 원판에서 유래한 시신경을 둘러싼 뇌척수막초가 뇌척수막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두 개내압의 증가는 뇌에서 시신경까지 전달해 울혈을 일으킨다.
11) scotoma(암점) : 단안 또는 양안의 한정된 부위의 시력 결손. 보통 나타나는 전조 증상은 시야에 섬처럼 나타나는 흔들리는 상이다.
- 눈에서 어느 부위가 안 보이는 것.
12) mydriasis(동공산대) : 홍채의 확장근 수축으로 인한 동공 확대. 확장근의 수축으로 인해 크게 커진 동공이 특징인 비정상 상태.
13) arcus senilis(노인환) : 각막의 가장자리에 나타나는 회색이나 흰색의 불투명한 띠. 각막에 지방 과립이 침착되었을 때, 또는 초자변성에 의해 생기며 노인에게 주로 발생한다.(gerontoxon)
[ Terms of Pathological Conditions 병리적 상태의 용어 ]
1) sympathetic ophthalmitis(교감성 안염) : 한쪽 눈의 포도막삭에 손상을 입은 후 양쪽 눈 포도막삭에 나타나는 육아종증의 감염.
- 정상적인 반대쪽까지 실명 위험
2) retinitis(망막염) : 망막의 감염증
3) retinitis pigmentosa(색소성 망막염) : 집단 질병, 종종 망막의 좌우 양측 제1기의 퇴화에 의해 나타난다. 어린 시절에서 시작되고, 중년이 되면서 시력이 악화된다. 임상적 증상은 시력의 상실을 예측할 수 있고 황반퇴화, 망막의 색소 형성, 감소된 시야, 야맹증을 포함한다.
4) conjuctivitis(결막염) : 결막에 나타나는 염증으로 박테리아, 바이러스성 감염, 알레르기, 환경적 요소에 의하여 발생된다. 붉은 눈, 진한 분비물, 아침에 눈뜨기가 어렵고, 통증이 없는 염증이 박테리아에 의한 흔한 증상이다.(pink eye)
5) glaucoma(녹내장) : 방수의 흐름 차단으로 인해 안구압이 비정상적으로 높은 상태. 급성 녹내장은 홍채와 각막 사이의 협각을 가진 눈에서 동공이 심하게 산대될 경우, 주름진 홍채가 안방수의 배출을 파단함으로써 발생된다. 만성 녹내장은 훨씬 흔하고 양측성이 많다. 서서히 발생되고 유전적으로 결정된다. 폐쇄 장소는 슐렘관 내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안압의 상승으로 실명
6) cataract(백내장) : 수정체의 투명도가 점차 상실되는 것이 특징인 눈의 비정상 상태. 동공 뒤 수정체 안의 회백색 혼탁이 관찰된다. 대부분의 백내장은 퇴화로 일어나며 50세 이후에 나타난다. 유전되며, 천자상처 같은 외상으로 백내장이 형성되기도 한다.
7) detachment of retina(retinal detachment, 망막박리증) : 눈의 뒤에 위치한 맥락막에서 이루어지는 망막의 분리. 이것은 망막과 맥락막 사이의 초자체 액의 결핍에 의해 망막에 구멍이 생긴 결과이다. 자상이나 타박상 같은 눈의 심한 외상이 주원인이다.
8) diabetic retinopathy(당뇨성 망막증) : 망막혈관의 장애. 모세미세동맥류, 출혈, 삼출물, 신생혈관, 결합조직의 형성 등을 특징으로 한다. 장기간 조절되지 않은 당뇨병 환자에게 대부분 일어난다.
9) strabismus, squit(사시) : 시각축이 같은 점을 향하지 않는 비정상적인 상태. 사시는 두 가지가 있는데, 마비성과 비마비성이다. 마비성 사시는 신경적 결함이나 근육의 기능장애 때문에 눈을 움직이는 근육이 움직이지 않는 결과이다. 사시는 뇌나 눈의 종양, 감염, 상처에 의해서도 올 수 있다.
10) hordeolum(맥립종, 다래끼) : 속눈썹의 피지선에서 시작해 눈꺼풀의 가장자리에 있는 종기.
- 눈썹이 나는 곳에 염증이 생김. 모낭염
11) chalazion, Meibomian cyst(산립종) : 마이봄선의 폐색과 이로 인한 분비물의 축적에 의해 발생하는 작고 국소화된 눈썹의 부종. 비악성 상태이며 교정을 위해 수술해야 한다.
12) entropion(안검내번증, 안검내반) : 안쪽으로 들어간 또는 안쪽을 향해 돌아간 것으로 대개 눈 안쪽으로 안검이 들어간 상태를 말한다. 안검 염증은 내반된 눈썹의 자극 또는 감염성 질환의 결과일 수도 있다. (앞으로 말림)
13) trichiasis(첩모난 생증) : 안구에 자극을 주는 속눈썹이 비정상적으로 내번된 것으로 흔히 감염이나 염증이 동반된다.(눈썹 방향이 일정하지 않음_
[ Therapy and Operative Terms 치료 및 수술 용어 ]
1) cataract operation : 백내장 수술
2) corneal transplantation(corneal grafting, 각막이식술) : 한 사람의 각막조직을 다른 사람에게 이식하여 각막의 반흔이나 잘못된 것을 바로 하거나, 천공 궤양을 제거하여 시력을 향상시킨다. 수술 전 축동제로 동공을 수축시키고, 수술 후 눈은 방어할 수 있는 금속 덮개로 보호된다. 환자는 기침, 재채기, 구토, 갑작스런 움직임, 들어올림 등을 조심해야 한다.
3) glaucoma operation : 녹내장 수술
- cyclodialysis(모양체해리술) : 녹내장 환자에게 시행하는 외과적인 수술 절차. 안압을 감소시키고 과도한 안방수의 배액을 위하여 전안방과 상맥락강 사이에 교통로를 형성하는 수술.
4) blepharoplasty(안검성형술) : 안검과 눈썹을 복원하건 회복시키는 성형술(brow lift)
5) canthoplasty(안각성형술) : 외안각을 통해 안검열을 길게 하거나 결손된 안각을 복원하는 성형술.
[ Terms of Clinical Procedures 임상 처치 용어 ]
1) visual acuity(시력검사) : 눈의 해상력의 정도, 특히 주어진 거리에서 글자와 숫자를 구별하는 능력
2) visual field test(시야검사) : 부유물과는 달리 눈의 운동과 관련된 시야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점 또는 결손 등의 검사.
3) funduscopy(ophthalmoscopy, 안검검사) : 눈을 검사하는 데 검안경을 쓰는 기술.
- ophthalmoscope(검안경) : 눈의 안쪽을 검사하는 기구로 검진자가 눈으로 보는 구경에 전구․거울과 강도가 다른 몇 개의 렌즈가 있다. 렌즈 선택을 통해 어느 깊이에서든 눈의 구조를 명확히 볼 수 있다.
4) tonometry(안압측정) : 녹내장과 같은 안압이 상승하는 질환을 진단하기 위해 적절하나 힘으로 안구를 눌러 그 저항을 측정함으로써 안구내압을 측정하는 것.
< The Ear >
[ Terms of Anatomy and Physiology 해부와 생리 용어 ]
1) auricle(pinna, 이개) : 귓바퀴
2) external auditory meatus(외이도) : 귀의 입구에서 고막에 이르기까지의 터널 모양으로 된 부분으로 골과 연골로 이루어져 있다.
3) cerumen(귀지) : 외이도에서 퇴화한 아포크린샘에 의해 생성되는 노란색 또는 갈색의 분비물.
- 기름성분
4) tympanic membrane, ear drum(고막) : 이소골을 통해서 소리의 떨림을 내이로 전달하는, 중이에 있는 얇은 반투명 막. 형태는 거의 타원형이며 지름이 10mm정도 되고, 외이도 바닥과 고실을 분리함.
5) ossicles(이소골) : 중이에 있는 침골․등골 및 추골과 같은 작은 뼈
6) oval window(난원창) : 중이의 내벽에 있는 난원형의 개구부로 내이로 연결된다. 등골의 족판이 난원창을 진동시켜 음파를 와우각으로 전달한다.
7) eustachian tube(이관) : 비인두와 중이의 강을 연결하는 점막으로 된 관. 정상적으로는 닫혀 있으나 하품, 음식 씹기, 연하 동안 중이와 대기간의 공기압 평형을 위해 열린다.
80 external ear(외이), middle ear(중이), internal ear(내이)
9) cochlea(와우) : 전정와우신경의 와우 분지 통로인 수많은 개구부에 의해 뚫린 내이의 원추형 뼈 구조.
10) organ of equilibrium : 평형기관
- semicircular canal(반규관) : 내이의 골미로에 있는 3개의 고리로서 액체가 채워져 있고, 균형감각과 관계 있다.
[ Symptomatic and PAthological Terms 증상과 병리학 용어 ]
1) otitis externa(외이도염) : 외이도나 외이개의 감염이나 염증. 주요 원인은 알레르기, 세균, 곰팡이, 바이러스와 외상이다. 습진․건선과 지루성 피부염도 외이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외이의 찰과상이 감염될 수도 있고, 흔히 덥고 습한 기수에서 생기며, 외이도에 생기는 모낭염은 특히 통증이 심하다.
2) salpingitis(이관염) : 이관 또는 난관의 염증
3) otitis media(중이염) : 중이의 염증이나 감염으로 초기 소아기에 흔하며 급성 중이염은 호혈균성 인플루엔자 또는 폐렴연쇄상 구균에 의해 흔히 발생한다. 미생물이 이관을 거쳐 중이로 들어간다. 이관의 폐색과 삼출물의 축적은 중이 내 압력을 증가시켜 유양돌기의 감염을 촉진하거나 고막을 파열시키기도 한다.
4) labyrinthitis(미로염) : 현훈을 초래하는 내이미로 염증
5) otosclerosis(이경화증) : 원인 불명의 유전적 상태로 중이의 이소골, 특히 등골에 불규칙적인 골화가 일어나 청력 손실을 초래한다.
6) Meniere's disease(allerigic labyrinthitis) : 메니에르병. 현기증이 재발되는 에피소드가 특징인 내이의 만성 질환. 점진적 감각신경성 청력손실로 양측성이고 이명이 있을 수 있다.
- vertigo(어지럼, 현기), nausea(메스꺼움, 오심), vomiting, headache, tinnitus(이명, 귀울림)
7) OMPC - otitis media pulurent chronica
8) otalgia(이통) : 귀의 통증
9) tympanic membrane rupture : 고막파열
- ear drum rupture
10) intrusion of foreign body : 외체(벌레 등)의 침입
[ Clinical Procedures and Operative Terms 처치와 수술용어 ]
1) tympanotomy, myringotomy(고막절개술) : 고막의 외과적 절개로 압력을 경감하고 중이에서 농과 분비물을 배출하기 위해 수행한다. 외과 수술 전에 항생제를 투여하고 수술 후에도 계속 투여한다. 고막을 절개하고 배양균을 채취하며, 중이에서 분비물을 부드럽게 흡인한다.
2) myringoplasty(고막성형술) : 청력 상실을 교정하기 위해 수행하며 조직을 이식하는 것이 고막 천공의 외과적 치료술이다. 국소 또는 전신 마취하의 환자에게 고막을 확대시키고 이식 물질을 고막에 봉합한다.
3) mastoidectomy(유양돌기절제술) : 측두를 유양돌기 부분의 외과적 절제. 유양돌기염으로 만성 환오성 중이염이나 전신에 항생 물질이 비효과적일 때 치료하기 위해 수행된다.
4) feneatration(조창술, 개창술) : 기관이나 골 안에 강(공간)을 얻기 위해 구멍을 만드는 외과적 시술.
5) audiometry(청력측정) : 청각의 민감도 검사. 대개의 청력검사는 개인이 청각 자극을 지각할 수 있고 언어음을 구별할 수 있는 소리의 최소의 강도를 결정한다.
6) otoscopy(이경검사) : 고막과 외이의 다른 부분을 이경으로 관찰하는 것.
7) Romberg test(평형감각검사) : 이 징후는 체위 감각 소실의 현상이다. 감각을 소실한 환자는 똑바로 서서 다리를 붙이고, 눈을 감은 자세에서 균형을 잃는다.(Romberg sign)
8) tuning fork test(음차검사) : 하나의 대와 2개의 가지로 이루어진 작은 금속 기구로 어느 한 가지를 때리면 일정한 피치의 소리를 낸다. 의사가 소리의 공기 전달과 뼈 전달의 선별검사에 사용한다.
9) cochlear transplantation : 와우 이식
ⅩⅢ Urinary System [ 비뇨기계 ]
[ Anatomical and Symptomatic Terms 해부학적 및 증상 용어 ]
1) kidney(신장) : 복부의 척추 쪽 비뇨기관의 콩 모양을 한 1쌍 중 하나. 열 두번째 흉추와 세 번째 요추 사이에 각각 1개씩 있다. 오른쪽 신장은 왼쪽 것보다 약간 아래쪽에 있다. 신장은 복합 여과 조직과 재흡수 시스템을 갖춘 200만 개 이상의 네프론으로 이루어졌으며 노폐물과 혈액을 거른다. 네프론은 사구체와 세뇨관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고압에서 피를 거르고 요산, 염, 그리고 다른 수용성 노폐물을 혈장에서 걸러내 순수하게 거른 혈액을 돌려보낸다.
- ① cortex(피질) ② medulla(수질) ③ calyx(신배) ④ pelvis(신우) ⑤ hilum(신문)
2) ureter(요관) : 오줌을 신장에서 방광까지 운반하는 길이 30cm정도의 1쌍의 관. 섬유근성으로 되어 있으며 점막은 복부와 골반부를 구분한다. 요관은 방광 수축 시 소변의 역류를 막는 판의 기능을 하는 터널을 통해 방광으로 들어가며 신장과 연결되는 것은 요관이 확장되어 신우와 연결된다.
3) urinary bladder(방광 ) : 신장에서 보내는 요를 저장했다가 일정량이 되면 배출시키는 주머니 모양의 장기
4) urethra(요도) : 방광에서 소변을 배출하는 작은 관 조직. 여자의 경우 치골결합벽 뒤, 질의 전면에 3cm 길이로 되어 있고, 남자의 경우 전립선의 중앙을 지나 음경까지 약 20cm 길이로 되어있다. 남자의 경우 요도는 사정관과 결합되고 정액의 통로가 되기도 한다.
5) nephron(신원) : 신장의 구성 단위
- ① glomerulus(사구체) ② Bowman's capsule ③ tubule(신소관) ④ Collecting Duct(집합관)
6) urine : 소변
7) dysuria(배뇨곤란) : 일반적으로 세균감염이나 요도폐쇄로 발생하는 배뇨통증. 환자는 소변이 통과할 때의 작열감을 호소하며 소변검사 결과에서 혈액, 세균 또는 백혈구들을 발견할 수 있다. 배뇨곤란은 방광염, 요도염, 전립선염, 요도 종양, 부인과 질환과 마약 같은 특별한 약물 사용에 대한 증상으로 나타난다.
8) anuria(무뇨증) : 소변 생산의 중지, 또는 하루 100cc이하의 소변 생산. 신기능부전, 신장의 여과압 이하의 저혈압, 요도의 폐색 등으로 발생한다. 소변생산의 급격한 감소는 결국 무뇨증, 요독증을 일으키고 급성 신부전에 이르게 된다.
9) hematuria(혈뇨) : 요에 혈액이 비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상태. 많은 신장질환과 비뇨생식기계 장애의 증상이다. 대개 요의 현미경적 검사, 요배양과 감수성 검사, 신체검사가 시행된다.
10) glycosuria(당뇨) : 당뇨는 탄수화물의 과다한 섭취, 대사장애, 신장장애 등에서 나타난다.
11) polyuria(다뇨증) : 비정상적으로 소변량이 많은 것. 요붕증, 당뇨병, 이뇨제 복용, 수분 섭취 과다, 고칼슘 혈증 등의 원인이 있다.
12) oliguria(핍뇨, 소뇨증) : 24시간 동안 요배설량이 500mL 미만으로서 대사 과정의 노폐물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없다. 대개 체액 전해질 불균형, 신장병소, 요관폐색으로 인해 유발된다.
13) pyuria(농뇨) : 소변에서 백혈구가 나오는 것으로 대개 비뇨기계의 감염을 나타낸다. 대개 세균성 농뇨는 방광과 요도에 바이러스성 감염이 원인이다. 속립성 농뇨는 박테리아가 나오는 것 이외에도 혈구세포, 농세포, 상피세포가 나오는 것이 특징이다.
14) uremia(요독증) : 혈액 속에 과도한 양의 요소와 질소 분해산물이 존재하는 상태로 신부전시에 발생(azotemia)
- kidney에서 NH2, 유기물질이 잘 빠지지 못함.
15) azotemia(질소혈증) : 혈액 내 질소 화합물의 과도한 축적. 이러한 독성 상태는 혈액에서 요소를 제거하는 신장의 기능부전에 의해 일어나며, 요독증의 특성이다.
16) urinary retention(요폐, 요저류, 요정체) : 배뇨 후 방광이 완전히 비워지지 않는 상태. 방광팽만, 소량의 드문 배뇨 또는 소변 배출이 안 되는 것이 주요 특징이다. 방광이 꽉 찬 느낌, 소변이 방울방울 떨어지는 것, 잔뇨, 배뇨곤란, 유출성 실금도 나타난다.
17) urinary incontinence(요실금) : 방광과 요도괄약근의 의식적 통제가 불가능하여 불수의적으로 소변이 나오는 것. 여러 원인 중 신경인성 방광기능저하는 뇌와 척수의 병변, 방광 신생물이나 결석, 다발성 경화증, 하부 요관의 폐색, 노화, 다산 등의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 pelvis 아래 근육이 약화된 것
18) BPH - benign prostate hypertoply(양성 전립선 비대증) : 50세 이상의 남자에게 주로 발생하는 전립선 비대. 악성 종양이나 염증 소견은 없으나, 보통 점진적으로 진행되며 요도의 폐쇄를 일으켜 요의 흐름을 방해한다. 빈뇨, 아뇨, 동통과 비뇨기계 감염 등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19) urinary urgency(변절박(증)) : 30분도 채 안되어 소변이 급한 경우
[ Terms of Pathological Conditions 병리적 용어 ]
1) glomerulonephritis(사구체신염) : 단백뇨, 혈뇨, 요 배설 감소와 부종이 특징인 신장 세뇨관의 감염.
2) pyelonephritis(신우신염) : 신우와 신장실질의 광범위한 발열성 감염 급성 신우신염은 하부요관에서 신장으로의 상행성 감염 결과로 생긴다. 인체의 다른 부위 감염이 신장으로 옮겨져 생길 수도 있으며 발병 기간이 짧고 발열, 오한, 옆구리 동통, 메스꺼움, 빈뇨 등이 나타난다. 소변검사 결과 박테리아와 백혈구가 검출되며 10일~2주 정도 항미생물제제를 사용하지만, 재발이나 재감염되기 쉽다.
3) cystitis(방광염) : 혈뇨, 긴박뇨, 빈뇨, 동통 등이 특징으로 나타나는 방광과 요도의 감염 상태. 이는 박테리아 감염, 종양과 결석에 의해 발생된다.
4) urethritis(요도염) : 방광이나 신장의 염증 결과로 생기는 요도의 염증으로 배뇨불능을 동반한다. 소변 배양 검사 결과 원인균이 밝혀지면 항균제, 진통제 등이 처방된다.
5) nephrotic syndrome(신증후군) : 단백뇨, 저알부민 혈증, 부종이 특징인 신장의 비정상적 상태로서 사구체 질환과 신정맥의 혈전 시 발생하고 당뇨병, 아밀로이드증, 전신성 홍반성 낭창, 다발성 골수종 등 많은 전신 질환의 병발증으로도 발생한다. 증상으로는 식욕 부진, 허약감, 단백뇨, 저알부민혈증, 부종이 나타난다.
- proteinuria, systemic(알부민↓→osmetic pressure↓→edema), hypoalbuminemia, anemia
6) renal failure(신기능부전) : 신부전은 노폐물을 배출하며 소변을 농축시키고, 전해질을 보존하는 신장의 능력 상실을 말한다.
- acute renal failure : 핍뇨와 혈중 대사산물인 질소 산물의 빠른 축적이 특징이다. 출혈, 외상, 화상, 신장의 독성 손상이나 급성 신우염 또는 사구체 신염, 하부 요로계 폐쇄의 결과로 인해 일어난다.
- chronic renal failure : 많은 다른 질병의 결과로 인해 일어날 수 있다. 초기징후는 행동의 느림, 피로, 정신둔화를 포함한다. 후기에는 무뇨, 경련, 위장관 출혈, 영양불량 그리고 다양한 신경병변이 일어날 수 있다. 피부는 황갈색으로 변한다.
7) ureter stone : 요로결석 (ureterolithiasis)
8) kidney stone(nephrolithiasis, 신결석) : 신장에 결석이 생기는 비정상적 상태
9) hydronephrosis(수신증, 신수종) : 요로폐색으로 배뇨하지 못한 소변의 축적에 의해 신우, 신배의 팽만이 일어난 것. 요로폐색은 종양이나 요로결석, 전립선감염이나 부종 또는 요로감염 등으로 생길 수 있다. 옆구리 통증이나 혈뇨, 농뇨, 이상고열증 등을 경험할 수 있다. 신우조영촬영술, 방광경검사, 역행성 신우 촬영법을 진단에 이용한다. 장기적인 수신증은 신위축이나 신장기능 상실의 원인이 된다.
9) hypernephroma(신장암, 부신종) : 성인에게 생기는 신세포암종
10) Wilms' tumor(윌름종양) : 75%의 경우 5세 이전의 영아에서 발생하는 신장의 악성 종양. 대개 초기 증상은 고혈압, 종양 촉지, 동통과 혈뇨이다. 태생기의 선근육종인 종양은 초기에 피막이 잘 형성되어 있으나 림프절, 신정맥, 대정맥까지 파급되기도 하며 폐나 다른 곳으로 전이되기도 한다.
11) VD - venereal disease(성병) :
[ Therapy and Operative Terms 치료 및 수술 용어 ]
1) nephrectomy : 신장절제술
2) nephrotomy : 신장절개술(nephrostomy)
3) nephrolithotomy : 신장결석절제술
4) pyelolithotomy : 신우결석절제술
5) kidney transplantation : 신장이식술
6) dialysis(투석) : 반투막을 통하여 확산의 속도 차이에 의해 용액에서 교질과 결정질을 분리해 내는 과정.
- ① hemodialysis(혈액투석) : 불순물이나 노폐물을 혈액으로부터 제거하는 과정. 신부전과 여러 독성 상태를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환자의 혈액은 확산과 초여과에 의해 기계를 통과하고 다시 환자의 순환계로 돌아온다.
- ② peritoneal dialysis(복막투석) : 체액이나 혈중 전해질의 불균형을 수저하기 위해 또는 정상적으로는 신장에서 제거해야 하는 독소나 약물, 기타 노폐물을 제거하기 위해 수행하는 투석 과정이다. 복막이 확산 가능한 막으로 이용된다. 국소마취하에서 다안의 카테터를 복막 내 위치시켜 삽입하고 무균 드레싱을 적용한다.
7) TUR - transurethral resection(경요도절제술) : 요도를 경유한 전립선절제술과 같이 요도를 통한 외과적 수술.
8) prostate massage(전립선 마사지)
- prostate fluid analysis
9) cystoscopic(방광경) : 방광, 요관, 신장의 병소 치료와 검사를 위한 기구로 조명계를 싼 외장, 시각적 밀폐 기구, 카테터의 통로, 그리고 작동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 excision/removal (절제)
[ Clinical Procedures & Laboratory Tests 처치 및 병리검사 ]
1) KUB(신장, 요관, 방광의 단순촬영) : 신장, 요관, 방광의 위치, 크기, 모양, 기형 등을 관찰하기 위해 찍는 Xtjs 사진. 결석, 석회화가 발견될 수 있다.
2) IVP - intraveous pyelography(정맥 신우조영술) : 요로기 계통의 구조를 검사하고 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방사선 요법으로, 조영제를 정맥 내로 주입하여 조영제가 사구체를 통과할 때 방사선 촬영을 한다. 방사선 촬영 시 신배, 신우, 요도, 방광을 볼 수 있다. 검사 하루 전에는 일반적으로 하제를 사용하거나 관장을 시행해야 한다. 이는 신장이 뒤쪽에 있어 장내의 가스나 대변에 의해 시야를 방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3) RGP, RP - retrograde pyelography(역행성 신우조영술) : 신장의 집합관 구조 검사를 위한 방사선학 기술은 특히 비뇨기계 장애의 위치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다. 방사선불투과성의 대립 매개물은 신장의 수뇨관과 골반 안의 비뇨기 카테터를 통해 주입된다.
4) BUN - blood urea nitrogen(혈액뇨질소) : 혈액 속에 가장 많이 있는 비단백성 질소화합물. 요소는 간에서 단백질 대사의 최종 산물로 형성되어 혈액 속에서 순환되다가 신장을 통해 소변으로 배설된다.
5) creatinine clearance test(크레아티닌 청수검사) : 신장 기능을 위한 진단적 검사. 크레아티닌이 신장에 의해 혈액에서 제거되는 비율을 측정한다. 24시간 동안 배출된 소변 속의 크레아틴 mg/L의 양을 mL/min의 소변량의 주성분으로 계산한다. 결과는 mg/dL 혈청 크레아티닌의 양으로 나누어진다.
6) U/A - urinalysis(요검사) : 소변의 물리적․현미경적․화학적 검사로 주로 소변의 색, 혼탁도, 비중, pH를 검사하며 현미경적으로 혈구, 원주, 결정, 농, 박테리아 등을 검사한다. 화학적 분석으로는 케톤체, 당, 단백질, 혈액을 검사한다.
7) ESWL - extrocorporeal shock wave lithotripsy : 체외충격파 쇄석술
8) kidney biopsy : 신장 생검
ⅩⅣ Female Reproductive System [ 여성 생식기 ]
[ Anatomical Terms 해부학적 용어 ]
1) rterus : 자궁
2) cervix uteri(자궁경부) : 질강으로 돌출 되어 있는 자궁 부위. 경부는 상부질 부분과 질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경부내선 점막은 사경능선, 작은 낭종, 유두종, 깊은 선소포에 의해 잘려 있다.
3) uterine wall : 자궁벽
- ① endometrium(자궁내막) ② myometrium(자궁근층) ③ perimetrium(자궁외막)
4) ovary : 난소
- ① ovarian follicle(난포) ② corpus luteum(황체) ③ estrogen ④ progesterone
5) fimbria(난관채) : 술. 난소 위의 누두로부터 손가락 같은 돌출물을 펼치고 있음
6) Fallopian tube, obiducts, uterine tuve(난관) : 관의 한쪽 끝은 자궁으로 열리고 다른 한쪽 끝은 난소를 지나 복막강으로 열려 있는 1쌍의 관 중 하나. 관들은 난자가 자궁으로 이동하고 정자가 난소를 향해 움직일 수 있도록 통로 역할을 한다.
- ampulla(팽대부) : 누두에서 가까운 쪽이 팽대부로, 관에서 가장 넓은 부위이다. 협부에 의해 자궁저부와 연결된다.
7) mammary gland(유선) : 유방 내의 젖샘, 선조직은 포상선을 포함하는 엽의 반경을 형성한다. 각 엽은 포상선에서 유두까지 유즙 통과를 위한 관의 시스템으로 되어 있다. 유방의 중심 부분은 선조직으로 차 있다.
8) areola(유두윤) : 젖꽃판. 농포와 소포 주변부의 색조 변화처럼 중심을 둘러싼 다른 색조의 원형
9) nipple : 유두
10) menstruation : 월경
11) menarche : 초경
12) obulation : 배란
13) menopause : 폐경
14) fertilization : 수정
15) pregnancy : 임신
[ Symptomatic & Pathological Terms 증상과 병리학 용어 ]
1) amenorrhea(무월경) : 성적으로 성숙하기 전, 임신 중, 폐경 후, 매달의 호르몬 주기에 의한 월경사이의 기간 동안은 정상이다. 시상하부, 뇌하수체, 난소, 자궁의 기능부전이나 선천적 결여, 양쪽 난소나 자궁의 외과적 절제, 약물치료가 원인이 될 수 있다.
2) dysmenorrhea(월경곤란, 월경불순) : 월경할 때 동반되는 통증. 1차 월경곤란증은 자궁의 내적 요인과 월경 과정에서 비롯하는 월경통으로, 대부분의 여성들이 흔히 경험하는 매우 일반적인 상황이다. 2차 월경곤란증은 자궁내막증식증, 자궁근종, 만성 골반감염, 섬유종 같은 구체적인 골반이상에 부차적으로 발생하는 월경통이다.
3) menorrhagia(월경과다) : 비정상적으로 심각하거나 긴 월경 기간. 월경과다는 간혹 생식기 동안 발생하기도 한다. 상태가 만성적이면, 과도한 혈액으로 인한 빈혈이 생긴다. 상대적으로 양성 자궁성 섬유근종의 흔한 합병증이다.
4) infertility(불임증) : 자식을 낳을 수 없는 상태(여성)
5) sterility(불임, 생식불능증) : 남성의 경우
6) condyloma acuminatum(venereal(genital) wart(생식기 사마귀), 첨형콘딜롬) : 작고 부드러우며, 축축하고 분홍 또는 적색의 종창으로서 다리같이 될 수있다. 성장시 고립성이거나 꽃양배추양 집단이 음경포피나 외음의 동일 영역에 있을 수 있다. 인체유두종 바이러스에 의해 생기며 전염성이다. 자궁경부암과 관련이 있으므로 암종의 가능성이 있을 때에는 생검을 해야한다.
7) cervicitis(경관염, 난관염) : 자궁경부의 급성 또는 만성 염증. 급성은 발적, 부종, 접촉 부위 출혈을 주 증상으로 하는 경부염증이다. 증상은 항상 나타나지는 않으나 질에서의 악취, 골반 압력이나 통증, 성교시 소량의 출혈, 외생식기의 작열감 또는 소양감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만성은 여성들의 생식 기간 중에 흔히 일어나는 지속적인 경부의 염증이며 증상으로는 특징적 골반통을 일으키는 심한 악취가 나는 진하고 자극적인 분비물이 나타난다. 경부에는 울혈, 비대, 나보티안 낭종이 흔히 보이고, 경관 외번증과 분만으로 인한 오래된 열상 징후가 보인다.
8) carcinoma of cervix : Cx. Ca., 자궁경부암
9) prolapse of uterus(자궁탈) : 자궁 경부가 질 내 또는 질 외부로 내려앉는 것.
10) retroflexion of uterus(자궁후굴증) : 자궁 체부가 경부에 대하여 후방으로 굴곡하여 굽어 있는 상태.
11) myoma uteri(자궁근종) : 이 종양은 30대 후반의 여성 특히 임신 경험이 없는 흑인 여성에서 자주 발병한다. 월경통, 배통, 변비, 월겨불순, 성교불쾌증, 그리고 다른 증상이 종양의 크기․위치․성장률에 비례하여 나타난다.
12) endometrial carcinoma(자궁내막암) : 자궁내막의 선종. 가장 흔한 부인과의 악성 종양으로 원인이 분명하지는 않으나 위험 요인은 무배란, 늦은 폐경기, 에스트로겐 투여, 자궁 폴립, 당뇨, 고혈압, 비만 등이 합병된 경우들이다. 비정상적인 질출혈이 주요 증상이다. 하복부와 하부요통이 나타나며, 크고 습한 자궁은 질환이 진전된 상태를 나타낸다.
13) salpingitis(난관염) : 난관의 염증이나 감염.
14) pyosalpinx(농난관증) : 난관에 농이 고인 것.
15) PID - pelvic inflammatory disease(골반강염증 질환) : 특히 세균 감염이 하나의 원인이 되는 여성 골반기관의 염증 상태로 열과 악취가 나는 질 분비물, 하복부의 통증, 비정상적인 자궁 출혈, 성교시의 통증이 특징적이며, 양손 골반 검진 시 자궁, 손상된 난소, 난관에 압통이나 통증을 호소한다. 농양으로 이미 진전되었다면 묽은 액으로 채워진 덩어리가 촉진된다. 재발성 또는 중증의 골반염 질환은 종종 난관에 상흔과 난관폐색, 불임을 유발하기도 한다.
16) breast carcinoma(유방암) : 유방조직의 악성 신생 질병. 위험 요인으로는 확실한 유전학적인 기형, 유방암의 가족력, 미경산부, 이온 방사선에 노출되었을 때, 이른 초경, 늦은 폐경, 비만 당뇨, 고혈압, 유방의 만성 낭 질병, 폐경 후 에스트로겐 치료 등이 있다. 처음의 증상은 무통의 작은 덩어리, 두껍거나 움푹 들어간 피부, 유두가 퇴축되는 경우 등의 자가 검진에서 대부분 발견된다. 병변이 발달함에 따라 유두에서 분비물이 나오며, 아프고 궤양화되어 액와선으로 확대된다. 암종은 오른쪽보다 왼쪽유방에서 자주 발생한다. 공통적으로 액와림프결절과 뼈, 폐, 뇌, 간으로 림프계를 통해 전이된다.
[ Therapy and Operative Terms 치료와 수술 용어 ]
1) D & C - dilatation and curettage(자궁경관확장 및 소파술) : 자궁경관을 넓히고 자궁내막을 긁어 내는 것으로, 대개 자궁질환을 진단하고 질출혈을 교정하거나, 수정에 따른 자궁 내용물을 비우기 위해 시행한다. 그 외에도 자궁 내의 종양을 제거하거나 악성 자궁암을 진단해 내고, 분만이나 불완전 유산 후 자궁 내에 남아 있는 태반을 제거하고 불임의 원인을 밝히기 위한 목적으로도 시행된다.
2) hysterectomy(자궁절제술, 자궁적출술) : 자궁의 외과적 제거. 자궁의 섬유성 종양을 제거하거나 만성 골반내 염증 질병을 치료할 때, 또는 재발되는 심한 자궁내막증식증, 자궁출혈, 자궁의 암전구 사태 또는 암 상태일 때 수행된다.
3) oophorectomy(난소절제술) : 외과적으로 하나 또는 양쪽 난소와 난관을 제거하는 수술. 낭종․종양․농양의 제거나 자궁내막증 같은 상태를 치료하기 위하여 수행한다. 양쪽 모두를 절제할 경우 불임이 되며 폐경을 유발한다.
4) salpingectomy(난관절제술) : 난관의 한쪽 또는 양쪽을 외과적으로 제거하는 것. 낭종이나 종양을 제거하고 농양을 절제하기 위해 시행되며, 양쪽 난관의 제거는 불임수술 또는 난관임신일 때 시행된다. 수술은 종종 자궁절제술이나 난소적출술과 함께 시행된다.
5) tubal ligation(난관결찰) : 불임시술 중 하나로, 수정이 일어나는 것을 막기 위해 양쪽 나팔관을 차단하는 것. 복부를 약간 절개하고 나팔관의 두 군데를 봉합하여 결찰한다. 그리고 그 사이를 소작 또는 압착하거나 도려낸다. 이 시술은 질을 통해서는 잘 하지 않는다. 시술의 심각한 합병증으로, 드물지만 폐동맥색전증, 출혈, 감염, 난관임신 등이 있다.
- tube를 묶거나 떼어내어 불임이 되게 함.
6) tuboplasty, salpingoplasty(난관형성술) : 수정 능력을 복원하기 위해 나팔관의 절제된 또는 손상된 부분에 하는 수술.
7) mastectomy(유방절제술) : 악성 종양을 제거하기 위해 가장 흔히 시행되는 방법으로, 한쪽 또는 양쪽 유방의 외과적 절제술. 단순 절제 시는 단지 유방 조직만을 제거한다. 근치 유방절제 시에는 다소의 흉근이나 액와의 모든 림프절이 제거된다.
[ Clinical Procedures & Laboratory Test 처치와 병리검사 ]
1) Papanicolou's smear test(팹 도말 검사, 세포진검사법) : 염색한 박탈성 세포에 대한 간단한 도말검사법. 대부분 경부암을 발견하기 위해 이용하지만 다른 기관의 조직 검사를 위해서도 쓰인다.
2) conization(원추조직절제) : 원추 모양의 조직을 절제하는 것.
3) endometrial biopsy : 자궁내막 생검
< The Obstetrics and Fetus Gynecology >
[ Anatomical and Symptomatic Terms 해부학 및 증상 용어 ]
1) placenta : 태반
2) amniotic fluid : 양수
- amniotic membrane : 양막
- amniotic cavity : 양막공간
3) umbilical cord(Umbilicus, 제대) : 임신한 자궁에서 배꼽과 태반을 연결하는 유연한 구조물로 그 안으로 동맥과 정맥이 통과한다. 태아의 태내생활에 필요한 산소와 영양을 태아에게 공급하는 통로이며 신생아에서 약 2 피트 정도의 길이에 1/2인치 정도의 굵기이다. 임신 제 5주에 처음 발생하며, 난황낭과 부착경, body stalk, 둘러싸인 요막을 포함한다. 여기에는 혈액과 면역체계의 근간인 조혈모세포(Stem Cell)라는 소중한 자원이 들어있다. 또한, 연골, 뼈, 근육, 신경 등을 만드는 간엽줄기세포도 포함되어 있다. 조혈모세포는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으로 분화되어 인간의 혈액과 면역체계를 이루게 된다. 보통 골수나 아기의 태반과 탯줄에 존재하는 조혈모세포는 우리가 생명을 유지함에 있어서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이다. 흔히 골수이식이라고 알려져 있는데 제대로 얘기하자면 '골수 조혈모세포이식'이며, 아기탯줄혈액, 즉 제대혈의 조혈모세포 또한 똑같이 사용될 수 있다. 제대혈의 활용도가 급격히 높아지고 있는 것은 세계적인 추세라고 할 수 있다. 1992년 미국 뉴욕혈액센터에서 제대혈은행이 설립된 이래 미국, 유럽 등을 중심으로 제대혈은행이 잇따라 생겨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다. 미국은 신생아의 5% 정도가 제대혈을 보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고, 일본은 연간 500건 이상 제대혈 조혈모세포 수술이 행해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4) contraception(conception, 피임, 수태조절) : 약이나 장치 차단으로 임신을 예방하는 기술이나 과정
5) gestation, pregnancy : 임신
- implantation : 착상
6) primipara : 초산부
7) multipara : 경산부
8) labor : 분만, 출산(delivery, parturition)
9) fetus : 태아
10)Apgar score(아프가 채점법) : 영아의 신체적 상태를 평가하는 것으로 분만 후 1분과 5분에 평가하며, 자궁 외 상황에 적응할 수 있는 영아의 능력을 반영하는 5가지 요소를 측정한다. 영아의 심박수, 호흡, 근육의 긴장도, 색, 반사 능력 항목을 0~5로 점수를 매겨 합한다.
11) meconium(태변) : 태아의 장내에 모여 있던 신생아의 최초의 변을 형성하는 물질. 진하고 점착성이 있는 녹색을 띤 검은 변으로 점액, 솜털, 혈액, 상피세포, 지방산, 담즙색소 같은 자궁 내 조직파편과 약간의 양수, 장선의 분비물로 구성된다. 위장관계의 고유 기능과 조성유나 모유룰 섭취하면서 수유 후 3~4일경에 변의 색깔, 경도가 변화된다.
- 태어난 후 24시간 이내 검게 나온다.(건강함을 의미)
12) colostrum(초유) : 첫 젖. 임신한 동안 그리고 분만 후 첫째 날에 수유 시작 전 유방에서 분비되는 액체. 엷은 황색의 장액은 면역력이 강한 물질(모성항체)과 백혈구, 물, 단백질, 지방, 무기질, 비타민, 탄수화물로 구성되어 있다. 꼭 먹이는 것이 좋다.
13) neonate(신생아) : 태생~4주
-cf) infant(영아) : 4주~1년
14) umbilical blood : 제대혈. 50~60㎝, stem cell의 역할을 함.
15) occipital presentation(후두위) : 제일 먼저 나오는 것이 정상분만
- cf) breech presentation(골반위) : 돌리거나 제왕절개 수술을 함.
16) identical twin : 1란성
- fraternal twin: 2란성. 태반을 분리해서 쓰기도 한다. 면역적으로 아주 동일하진 않다.
17) ultrasonography for fetus : 초음파검사
- fetal surgery : 상처나 흉터가 남지 않는다.
18) amniocentesis(양수천자) : 임상 분석을 위해 소량의 양수를 빼내는 산과적 시술. 태아의 이상을 진단하기 위해 임신 16~20주에 시행한다. 염색체 이상, 신경계 결함과 의심될 때 태아의 성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하기도 한다. 다운 증후군 등의 검사가 가능하다.
19) chorionic villi(포상융모) : 융모막 표면에 있는 아주 작은 혈관성 근원섬유. 모체내막의 혈액동까지 침투하여 태반 형성을 돕는다. 혈액으로 둘러싸임. 어미의 핏속에 많이 들어가 영양을 받음.
- chorionic carcinoma(choriocarcinoma, 융모막암종) : 수정체의 융모막 부분에 발생하는 태반의 상피성 악성 종양. 흔히 원발성 종양은 자궁에 나타나며, 부드럽고 진한 붉은 색을 띤 부스러기는 덩어리로 자궁벽을 침범하여 파괴하고, 림프절 또는 혈관을 토해 전이되어 질벽, 음순, 림프절, 폐, 간, 뇌에 2차적인 출혈성 괴사성 종양을 형성한다.
20) fertilization : 수정
21) implantation : 착상
22) follicle : 난포
- luteal body : 황체
23) neonatal jaundice(hyperbilirubinemia of the newbone, 신생아의 과빌리루빈혈증) : 신생아의 혈중 빌리루빈 과다. 보통 생리적인 미성숙에서 초래되는 효소의 부족 또는 용혈 증가 때문이며 이는 부적합한 수혈로 올 수 있다. 심한 경우에 핵황달을 초래한다.
- 태아의 간세포의 미숙으로 각종 효소 분해 능력이 없어 3~4일 정도 황달이 있다.
24) record of neonate : length, weight, circumference of head, foot print
25) neonatal reflexes : grasping reflex, rooting reflex(먹이찾기반사) 등
26) placental blood barrier : 태반혈 장벽
27) fetal movement : fetal heart sound
[ Symptomatic and Pathological terms 증상 및 생리 용어 ]
1) polyamnoiosis(hydramnios, 양수과다) : 비정상적인 임신 상태로 양수과잉이 특징이다. 임신중독증이나 당뇨병과 같은 모체질환과 관계가 있다. 위장관, 기도, 심혈관계의 기형을 포함하는 태아의 질환은 양수의 정상적인 교환을 방해해 양수과다증을 일으킨다. 양막 조기파열, 조기산통, 주산기 사망률 등이 증가한다.
- Down's syndrome
- hypoamniosis(oligohydramnios, 양수과소증) : 양수의 양이 비정상적으로 적거나 없는 것.
2) omphalitis(제대염) : 제대절단부의 염증으로 심한 경우에는 발적, 부종, 화농성 삼출액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3) omphalocele(제대헤르니아, 제류) : 배꼽 주변 복벽의 결손으로 인해 형성한 복부 내장의 선천적 헤르니아. 이러한 결함은 대개 출생 직후 외과적으로 교정된다.(제대탈장의 한 유형)
4) premature baby : 미숙아
5) eclamsia(임신중독증, 자간증) : 임신으로 인해 야기되는 심각한 형태의 고혈압. 대발작, 혼수, 고혈압, 단백뇨와 부종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절박한 경련증상은 흔히 40℃ 이상의 체온 상승과 불안, 위통, 심한 두통과 혼탁시야를 포함한다. 합병증으로는 뇌출혈, 폐부종, 신부전, 간괴사, 태반파열, 저섬유소원혈증, 용혈과 망막출혈이 있고 때로는 일시적으로 시력을 잃는다.
6) abortion : 유산
- impending abortion : 절박 유산
7) placental previa(전치 태반증) : 태반이 자궁 내에서 비정상적으로 부착해 자궁 경부의 내구를 덮은 상태. 이는 임신 3기 무통출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8) placental abruptio(abruptio placentae, 태반 박리증) : 임신 20주나 그 이상 되어, 또는 태아가 출산되기 전 진통 시 정상적인 위치에 있던 태반의 박리. 종종 심각한 출혈을 동반하기 때문에 모자 사망의 중요한 원인이 된다. 고혈압, 전자간증은 태반조기박리를 증가시킨다. 박리된 조직으로부터의 출혈은 복부 통증, 경직된 자궁 수축의 원인이 된다. 출혈은 자궁 안에서 보이지 않게 일어날 수도 있고, 갑작스럽게 다량의 출혈을 일으키기도 한다. 심한 경우에는 몇 분 안에 쇼크나 사망이 일어날 수도 있다.
9) hydatidiform mole(hydatid mole, 포상기태) : 포도알처럼 커진 융모막. 융모의 자궁 내 종양덩어리로 퇴행성 장애의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1차적으로 난자의 결함, 자궁 내 비정상, 또는 영양 결핍의 결과인 것 같다. 특징적 징후는 심한 구역질, 자궁출혈, 빈혈증, 갑상선기능항진증, 임신 기간 중 보기 드물게 커진 자궁, 태아 심음이 없거나 부종, 고혈압 등이다.
10) placental anomaly : 태반기형
- bisected P.
- multilobulated P. : 다엽성
11) ectopic gestation(pregnancy)(eccyesis, 자궁외 임신) : 자궁강 외에 정착한 비정상 임신
- tubal rupture(자궁파열)을 일으킬 수 있다.
12) abdominal pregnancy(복강임신) : 복강 안에서 태아가 성장하는 자궁외 임신. 태반은 복부 또는 내장복막에 부착될 수도 있다. 복강임신은 임신 기간 동안 복부는 커지나 자궁은 작은 상태 그대로 머물러 있을 때 의심된다.
[ Clinical Procedures and Operative Terms ]
1) transection and ligation of umbilicus : 배꼽의 횡절단 & 결찰(절단)
2) umbilical anomaly : 탯줄(배꼽) 기형
- umbilical vein and artery
- umbilical knoding
3) umbilical cord : 제대
4) C-Section(cesarean section, 제왕절개술) : 복부와 자궁을 절개하고 복부 밖으로 아기를 꺼내는 외과적 과정. 비정상적인 산모나 질 분만으로는 태아 상태가 위험하다고 판단할 때 수행한다.
5) amniotic puncture & examination : 양수천자 및 검사
6) normal delivery : 정상분만
7) induced delivery : 유도 분만
8) amniotic analysis and pathological examination(양수진단과 병리학시험)
[ Abbreviations 약어 ]
1) OB-GY
2) C-Sec. - C-Section : 제왕절개술
3) H-Mole - hydatidform mole : 포상기태
4) Cx. Ca. - cervical carcinoma : 자궁암
5) N.D. - normal delivery : 정상분만
6) I.D. - induced delivery : 유도분만
ⅩⅤ Endocrine System [ 내분비계 ]
[ Anatomical Terms 해부학적 용어 ]
1) exocrine gland(외분비선) : 한선이나 피지선처럼 상피의 관을 통해 피부 표면으로 열리는 다세포성 선으로 하나의 관인 단순선과 여러 개의 관인 복합선이 있다.
2) thyroid gland(갑상선) : 목의 앞쪽에 위치한 내분비 장기로 주로 티록신을 분비하고 일부에서 칼시토닌을 분비하기도 한다. 뇌하수체의 갑상선자극호르몬의 작용을 받으며 티록신을 생성하기 위해 요오드가 필요하다.
3) parathyroid gland(부갑상선) : 갑상선의 좌우 배면에 붙은 4개의 작은 기관. 부갑상선에서 분비하는 부갑상선호르몬은 혈중 칼슘 농도를 유지하고, 정상 신경근육의 자극, 혈액 응고, 세포막 안정성을 조절한다.
4) adrenal gland(부신) : 신장 맨 위에 있는 2개의 분비기관으로 신장의 보호 지질막으로 싸여 있다. 각각 두 부분으로 이루어진 부신은 피질과 수질이라는 독립적인 기능을 갖는다.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는 부실피질자극호르몬과 반응하여 코르티솔과 안드로겐을 분비하며, 이 부신 안드로겐은 간에 의해 테스토스테론과 에스트로겐으로 전환되는 전구물 역할을 한다. 부신수질은 에피네프린, 노프에피네프린을 생성한다.
- adrenal cortex : mineralocorticoid, glucocorticoid, androgen, estrogen progesteron 분비
- medulla : epinephrine, norepinephrine 분비
5) pancreas : 췌장(이자)
- insulin, glucagon, somatostatin 분비
6) pituitary gland(뇌하수체) : 접형골의 공에 있는 뇌 바로 밑에 위치한 내분비선으로 생명 유지에 필요한 많은 호르몬을 공급한다.
- anterior lobe(adenogypophysis, 전엽) : ① growth H.(성장H.) ② thyroid stimulating H.(갑상선자극H.) ③ adrenocorticotrophic H.(ACTH, 부신피질자극H.) ④ follicle stimulating H.(FSH, 난포자극H.) ⑤ luteonizing H.(LH, 황체형성 H.) ⑥ prolactin(PRL, 유즙분비자극) ⑦ melanocyte stimulating H.(멜라닌 세포자극H.)
- posterior lobe(neurohypophysis, 후엽) : ① antidiuretic H.(ADH, 항이뇨H.) ② oxytocin(자궁수축)
7) testes(고환) : testosterone 분비
8) ovary(난소) : estrogen, progesterone 분비
9) pineal body(황체) : melatonin
10) hypothalamus(시상하부) : 간뇌의 일부로, 제 3뇌실의 바닥과 측벽의 일부를 형성한다. 이것은 말초자율신경계, 내분비 과정 및 체온, 수면, 식욕과 같은 많은 신체적 기능들을 항진시키고 조절하며 통합한다.
11) hypothalamo-pituitary-adenal axis(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축) : 음성 되먹임 회로에서 신체의 호르몬 활동도를 조절하는 신경내분비계의 복합된 체계
[ Symptomatic and Pathological Terms 증상 용어 ]
1) exophthalamus : 안구돌출증
2) hirsuitism(남성형 다모증) : 유전이나 호르몬 기능 이상, 포르피린증, 약물 투여 등의 결과로 신체의 털이 남성형 분포 양상으로 과도하게 많은 것.(hypertrichosis)
- 질병으로 인해 스테로이드계 약을 복용할 경우도 털이 생긴다.
3) virilism(남성화) : 여성이 남성의 2차 성징을 획득하는 과정으로, 흔히 부신기능 이상, 호르몬제 투여의 결과로 나타난다.
4) goiter(갑상선종, 갑상선비대) : 감상선이 비대해진 것으로 목 부분의 돌출된 종창으로 알 수 있다. 갑상선비대는 갑상선기능항진증, 갑상선기능저하증 또는 정상적인 갑상선 기능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갑상선종은 큰 혈관 주위를 둘러싸는 경우도 있고 흉골이나 흉강 아래에 있는 경우도 있다.
- ① endemic goiter(지방병성 갑상선종) : 요오드의 식이섭취 부족으로 인한 갑상선의 확대. 요오드결핍으로 갑상선호르몬의 형성과 분비가 감소한다.
② nodular goiter(결절성 갑상선비대) : 결절을 포함한 갑상선종으로 암으로 될 가능성이 많다.
③ toxic goiter(중독성 갑상선종) : 안구 돌출과 전신성 질환과 관련 있는 갑상선의 비대.
④ toxic nodular goiter(중독성 결절성 갑상선종) : 갑상선 비대는 뚜렷이 구별되는 많은 결절과 갑상선 호르몬의 과잉 분비가 특징이다. 신경과민증, 진전, 허약, 피로, 체중감소, 불안정과 같은 갑상선중독증의 전형적인 징후는 보이지만 안구 돌출은 드물다.
5) hyperthyroidism(갑상선기능항진증) : 갑상선의 과잉 활동으로 특징지어지는 상태. 대개 선이 비대해져 있고, 갑상선호르몬이 정상보다 많이 분비되어 신체의 대사 과정이 촉진된다. 안절부절, 안구돌출증, 떨림, 지속적인 공복감, 체중 감소, 피로, 열에 대한 내성 부족, 심계항진, 설사가 나타날 수 있다.
6) hypothyroidism(갑상선기능저하증) : 갑상선의 활동 저하가 특징인 상태. 이것은 선의 부분적 또는 전체 절제, 항갑상선제의 과잉 복용, 시상하부의 갑상선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에 대한 영향 감소, 뇌하수체의 갑상선자극호르몬 분비 감소 또는 갑상선 자체의 위축에 의해 초래될 수 있다. 체중증가, 정신적․신체적 기면, 피부의 건조, 변비, 관절염, 신체의 대사과정 저하가 일어날 수 있다.
- ① cretinism(크레틴병, 선천성 갑상선기능저하증) : 심한 갑상선기능저하증을 보이고, 때로는 다른 종류의 내분비질환과 관련되는 선천성 질환. 전형적 증상은 난쟁이증, 지능 저하, 비만 얼굴 모양, 건조한 피부, 큰 혀, 배꼽탈장, 근조화 불능 등이다. 갑상선종을 자주 앓거나 요오드 결핍 시 흔하게 나타난다.
② myxedema(갑상선기능저하에 의한 점액수종) : 갑상선 기능저하증의 가장 심한 형태. 손, 얼굴, 발, 안와 주위 조직의 종창이 특징이다. 이 단계에서 이 질병은 혼수․사망을 초래하기도 한다.
7) thyroid carcinoma(갑상선암) : 갑상선의 신생물로 일반적으로 성장이 느리고 다른 신생물보다 지연된 임상 경과를 보인다. 암의 첫 번째 증상은 갑상선의 크기 증가, 촉진 가능한 덩어리, 쉰 목소리, 연하곤란, 호흡곤란, 통증 등이다.
- follicular cell carcinoma(여포세포암) : 비교적 예후가 좋아 평균연령까지 산다.
8) hyperparathyroidism(부갑상선 기능항진증) : 부갑상선호르몬의 과잉 분비, 골격계로부터의 칼슘 흡수 증가, 신장과 위장 관계에서의 칼슘 흡수 증가와 4개의 부갑상선 중 어느 한 곳의 기능 이상으로 특징지어지는 내분비의 비정상적인 상태. 1개 또는 그 이상의 부갑상선의 문제와 관련되어 발생되는 원발성과 부갑상선의 기능 항진에 대한 보상 작용으로 신체의 다른 부분에서 저칼슘혈증 상태를 초래하는 속발성(이 있다.
- 원발성 : ① 신장조직-칼슘 침착이 일어나면 결석이 생기고 이는 신부전을 초래.
② 뼈와 관절-골다공증 발병으로 통증과 취약성이 증가하여 골절, 활액낭염, 가성통풍 발 생.
③ 위장-췌장염과 가스트린 분비의 증가로 만성적이고 찌르는 듯한 상복부 통증 발생. 소 화성 궤양으로 식욕부진, 오심, 토혈이 일어날 수 있다.
④ 신경근육계-전신피로, 위축
⑤ 중추신경계-의식 상태의 변화, 혼수, 정신병, 비정상적 행동, 성격장애 등
- 속발성 : 불균형 증상이 더 많이 일어나고 구루병과 같은 장골의 비정상 상태 유발
9) hypoparathyroidism(부갑상선 기능저하증) : 부갑상선의 불충분한 분비 상태. 이것은 원발성 부갑상선 기능 이상이나 혈청 칼슘치의 상승으로 인해 생길 수 있다.
10) Cushing's syndrome(쿠싱 증후군) : 부신피질에서 코르티솔의 만성 과다 생산 또는 몇 주 이상 과량이 글루코코르티코이드를 주입함으로써 발생되는 대사장애. 가장 흔한 원인은 ACTH 분비를 증가시키는 뇌하수체종양이다.(hyperadrenocorticism) 특징적으로 환자는 당에 대한 내성이 감소되어 신체 중심부의 비만과 둥근 얼굴, 견갑골의 지방 축적, 흔들거림, 흉․복부에 줄무늬 양상의 지방 축적, 군살이 많고, 무월경이 오거나 테스토스테론 수치의 감소, 근위축, 부종, 저칼륨혈증, 약간의 정서 변화를 보인다. 고혈압, 신결석, 신경증이 올 수 있다.
- ACTH의 과다 분비로 발생
11) Addison's disease(부신피질 기능부전) : 흔히 자가면역 과정, 감염, 신생물, 분비선 출혈 등의 결과로 생기는 부신피질 기능의 부분적 또는 전체적 부전에 기인하는 생명을 위협하는 상태. 부신피질의 3가지 일반적 기능(당류 코르티코이드, 미네랄 코르티코이드, 남성호르몬)이 모두 상실된다. 피부와 점막의 청동색 색소 침착의 증가, 감소된 내성, 식욕부진, 탈수, 체중 감소, 위장장애, 불안, 우울, 그 밖의 감정적 장애와 감기에 대한 내성 감소가 특징이다.
- 부갑상선에 결핵이 있을 경우 등 혈압이 내려간다.
12) pheochromocytoma(갈색세포증) : 부신 수질 또는 교감신경부신경절의 크로마핀 조직에 생기는 혈관 종양으로 에피네프린과 노르에피네프린의 과다 분비로 인한 지속적 또는 간헐적 고혈압이 특징이다. 전형적인 징후는 두통, 심계항진, 발한, 신경과민, 고혈당, 메스꺼움, 구토, 심부전 등이다.
- medullary carcinoma(수질암종) : 섬유조직이 거의 없거나 약간 포함된 상피의 연성 악성 신생물
13) gigantism(거인증) : 성장호르몬의 과잉 분비로 유발되는 질환. 말단비대증은 손, 발, 얼굴의 과잉 성장이 특징이다. 정상 신체 비율과 성적 발달이 있는 거인증은 주로 초기 아동기에서 성장호르몬의 과잉 분비로 나타난다.
14) acromegaly(말단비대증) : 얼굴․턱․사지 뼈의 점진적이고 현저한 팽창과 신장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대사이상 질환. 중년과 노인에게 나타나는 질환으로 성장호르몬이 과잉 생산되어 발생한다.
15) dwarfism(소인증) : 신체의 비정상적인 발육부전으로 수많은 병적 상태와 관련되어 있고 다양한 정신지체를 동반하기는 하지만, 모든 경우에서 매우 작은 키를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유전적인 결성, 뇌하수체나 갑상선 같은 내분비 기능 이상, 구루병, 신장질환, 장의 흡수장애 같은 만성 질환 그리고 모성 박탈증후군과 같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등 매우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16) diabetes insipidus(요붕증) : 하수체후엽계의 손상으로 일어나는 대사성 질환. 항이뇨호르몬 생산 및 분비 결핍, 또는 신세뇨관의 ADH에 대한 반응 부전으로 인해 다량의 요 배설 및 심한 갈증을 특징으로 한다. 드물게 수분의 자기 과량 섭취로 인한 증상이 생긴다. 후천적, 유전적, 특발성, 신경성 또는 신장성으로 일어난다.
17) hermaproditism(내분비 양성증) : 한 사람에게 고환과 난소조직이 함께 있는 드문 질환으로 고환조직에는 정자 수송관이나 정자가 있고, 난소조직에는 난포나 백체가 있다. 염색체 이상으로 발생한다.
18) thyroid storm(갑상선 위기) : 갑상선호르몬의 분비가 증가하여 갑상선기능항진증이 조절되지 않은 상황에서 발생하는 위기로, 감염․스트레스 또는 항갑상선 약물의 처치가 부적절한 환자를 대상으로 갑상선절제술을 시행했을 때 주로 나타난다. 고열, 빠른 맥박, 호흡장애, 불안정, 쇠약 등을 특징으로 한다.
19) seminoma(고환 악성종양, 정상피종) : 가장 일반적인 고환 종양이며, 성숙하였거나 성숙 중인 고환의 세정관 상피층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진다.
20) pituitary chromophobe adenoma : 뇌하수체 혐색소성 선종
21) ovarian cyst(난소낭포) : 장액 또는 뮤틴성 물질로된 구형의 낭종으로 난소 외측 또는 난소 내측으로 자란다.
- ovarian carcinoma(난소암) : 난소의 악성 신생물로서 초기에는 거의 발견되지 않고 상당히 진행한 후에 진단된다. 불임, 미산, 첫 출산이 늦은 경우, 습관적인 유산, 자궁내막증식증 등이며 잠복기를 거친 후 종양은 복부 또는 골반에서 촉지할 정도로 커지고 생리 주기가 불규칙하거나 생리혈의 양이 지나치게 많을 수 있으며, 좀 더 진행한 경우 복수, 하지의 부종, 복부 및 하지 동통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많은 경우 종양은 복강으로 퍼져 나가고 조기에 종양세포가 횡격막 아래 림프선과 대동맥 주위의 림프절로 전이한다.
22) adrenocarcinoma(선암종) : 선조직의 악성 상피세포 종양의 커다란 집합체. 특정한 종양은 환부 조직의 세포학적 확인에 의해 진단하고 명명한다.
[ Therapy and Operative Terms 치료와 수술 용어 ]
1) thyroidectomy : 갑상선 절제술
2) parathyroidectomy : 부갑상선 절제술
3) adrenalectomy : 부신 적출술
4) hypophysectomy : 뇌하수체 절제술
5) radiation therapy for hyperthyroidism by 131I(갑상선기능항진증을 위한 방사선치료)
6) thyroid scanning by radioactive idine
[ Abbreciations 약어 ]
1) ACTH - adrenocorticotropic hormne : 부신피질자극호르몬(adrenal corticotropic hormone)
2) ADH - antidiruretic hormone : 항이뇨호르몬
3) BMR - basal metabolic rate(기초대사율) : 금식 또는 휴식 상태에서 생체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단위 시간에 사용되는 에너지의 양. 그 비율은 사용된 산소의 양에 의해 결정되는데, 몸무게(kg)당 단위 시간, 또는 신체 표면적 당 사용된 칼로리로 나타낸다.
4) DM - diabetes mellitus : 당뇨병
5) FBS - fasting blood sugar : 공복혈당
6) IDDM - insulin dependent DM(인슐린의존형 당뇨병) : 아동․성인에게 발병하는 것으로 인슐린이 절대적으로 부족해 탄수화물 대사를 제대로 할 수 없다. 매우 심한 갈증, 배뇨량의 증가, 먹고 싶은 욕구 증가, 체중감소, 체력감소, 눈에 띄는 안절부절못함 등의 증상이 나타낸다.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 환자는 인슐린, 신체활동, 식이에 민감하며 케톤증을 초래한다. 바이러스 감염이나 자가 면역 질환과 같은 환경적인 요소 때문에 발병하기도 한다.
7) K+ - potasium ion
8) Na+ - sodium ion
9) NIDDM - non-insulin dependent DM(비인슐린의존성 당뇨병) : 인슐린의존성이나 케톤증이 아닌 당뇨병의 한 종류로 환자는 증상과 지속적인 과혈당증을 교정하기 위해 인슐린을 사용한다 해도, 감염이나 스트레스오 같은 특별한 상황에서는 케톤증을 일으킬 수 있다. 탄수화물 대사의 이상에는 복합적인 원인이 있다.
10) PTH - parathyroid hormone, parathormon(부신호르몬)
< Radiology 방사선학 >
[ Diagnostic Terms 진단 용어 ]
1) nuclear medicine(핵의학) : 방사선 동위원소를 이용하여 진단, 치료, 수술하는 의학분야. 핵의학에서 쓰는 방사성 핵종이나 방사성 약물은 인공적으로 만든다. 방사성 약물은 특정 기관이나 조직의 구조, 기능, 분비, 배설과 부피에 관한 정보를 탐지하기 위한 추적자로 쓰인다.
2) radiation therapy(radiotherapy, 치료방사선) : 악성 종양의 증식을 막기 위해 X선이나 감마선을 이용하여 유사분열 속도를 감소시키거나 DNA합성을 방해하여 신생 질환을 치료하는 것.
3) diagnostic radiology(진단방사선학) : 외부적으로 방사 물질을 사용하여 내과적으로 영상화하는 것
4) upper GI series(상복부 위장 촬영) : 식도에서 십이지장까지 이르는 상부 소화기관을 말하는 것. 이 용어는 흔히 황산바륨 용액을 삼킨 후에 하는 방사선 촬영이나 X선 투시검사에 적용된다.
5) colon study(lower GI series, 대장촬영) : 바륨을 항문을 통해 관장하여 역류시킴
6) angiocardiography(심혈관조영술) : 신장과 심장의 대혈관의 방사성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 방사성 조영제를 정중정맥을 통해 카테터를 심장에 삽입하여 직접 주사한다.
7) arteriography(동맥조영술) : 방사선 비투과물질을 특정 혈관에 주입하여 방사선적으로 동맥을 관찰하는 방법.
8) bronchography(기관지조영술) : 기관지에 조영제로 막을 씌운 후 시행하는 기관지 X선 촬영검사법
- 기관지 안으로 이물질을 넣은 후 마취시킴.
9) hysterosalpingography(자궁난관조영술) : 임신을 하지 못하는 여성의 생식기계 비정상에 대한 진단의 한 부분으로, 자궁과 난관의 방사성 조영 영상을 보여주는 방법. 크기, 모양, 기관의 위치, 종양, 누공, 난관폐쇄나 폴립을 보여준다.
10) myelography(척수촬영(조영)술) : 조영제를 척수와 척주 지주막하강에 주입한 후 촬영하는 방사선 조영술. 이는 외상과 질병으로 인한 척주의 손상을 확인․연구하기 위해 이용한다. (척수강 안)
11) lymphangiography(림프관조영술) : 조영제를 주입한 후 림프선과 림프관을 X선으로 검진하는 것
- 특수한 약물을 이용하여 림프관이 많이 모인 쪽으로 한 두 방울씩 떨어뜨려 본다.(1~2일)
12) sialography(타액선조영술) : 비투과성의 방사성 조영 물질을 주사하여 타액선관을 방사선으로 촬영하는 방법
- 이하선 등에 암․돌 등의 의심이 생길 때
13) ventriculography(뇌실조영술) : 대뇌실에서 뇌척수액을 제거한 뒤에 공기나 조영 물질을 주입하고 찍는 머리의 X선 촬영 검사
14) arthrography(관절조영술) : 관절 내를 볼 수 있는 방사선 요법
15) fluoroscopy(X-선 투시검사) : 형광경을 사용하여 신체의 일부나 기관의 기능을 눈으로 검사하기 위한 방사선과의 한 기술. 이 기술은 자궁 내의 태아 수혈이나 심장카테터술과 같은 여러 가지 임상적 절차에서 중요한 즉각적인 연속 영상을 제공한다.
16) ultrasonography(초음파촬영술) : 필스의 반사 또는 연속적인 고주파의 음파를 측정하여 기록함으로써 몸의 깊은 곳에 있는 구조를 영상화하는 방법. 태아 기형, 담석, 심장병, 종양의 진단 등 여러 가지의 의학적 상황에서 유용하다.
17) simple radiography(단순 촬영)
- chest PA(가슴 후전방향), Rt. femur shaft AP & Lat.(오른쪽 대퇴골간 전후 & 바깥쪽),
Rt. hand PA & oblique(오른쪽 손 등에서 바닥방향 & 비스듬하게)
18) bone scan(골주사) : 방사선 분자의 발산으로 만들어진 상을 통해 뼈를 볼 수 있도록 방사성 물질을 주입하는 것.
- 99mTC : 뼈 전체에 퍼짐(골절여부 판단 - 예 : 늑골)
19) liver and spleen scan(간과 비장 주사)
20) thyroid scan(갑상선 주사)
- 동위원소인 131I를 이용
21) external radiation therapy(ERT, 체외 방사선치료) : 방사선조사기에 의해 외부에서 조사된 방사선을 이온화하여 치료에 이용하는 방법. 암 치료뿐 아니라 반혼비대, 장기이식의 거부반응을 억제하는 데 이용된다.
- cobalt(코발트) : 방사성 동위체 60Co나 coblat-60은 γ선을 방출하여 종종 암 치료에서 캡슐에 싸인 방사선의 출처로서 이용된다.
- iridium(이리듐)
22) internal radiation therapy : 체내방사선치료
- sealed source Tx., 정맥주사 또는 구강 투입
23) radiology(방사선학) : 방사능 물질과 관련된 의학의 한 분야로, 촬영을 위해 다양한 기술을 사용하며 질병의 진단과 치료를 위해 다양한 방사성 에너지원을 이용한다.
24) radiologist(방사선과 전문의사) : 방사선학에 전문인 의사. 미국 방사선과학위원회에 의해 능력을 평가받고 인정받아 면허를 획득한다.
25) nuclear physician : 핵 내과의
26) radiolucet(방사선 투과성) : 최소한의 흡수로 X선을 관통하게 하는 물질과 관련
- X-ray상으로 검게 보임.
27) radiopaque(방사선 비투과성) : X선이나 다른 방사능 에너지의 투과를 막는 것. 뼈는 비교적 방사선 비투과여서 X선 필름에서 희게 나타난다.
- X-ray상으로 하얗게 보임.
28) film badge(필름 배지) : X선이나 다른 방사선 원천에서 작업하는 사람들의 노출 정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 이온화된 방사선에 민감한 사진 필름 다발.
29) CT - computerized tomography, computered tomography
30) CAT - computerized axial tomography
31) contrast study(조영촬영술)
32) contrast medium(조영제) : 내부 구조의 시각화를 위해 카테터를 통하거나 몸 속에 주입하는 것으로, X선 상으로 식별하기 어려운 부분을 시각화시킨다.
33) small bowel series : 소장조영술
34) interventional radiology : 중재적 방사선학
- 방사선 촬영을 하면서 방사선 의사가 수행하는 치료과정(주로 심장)
- angiographic balloning, coiling, radioisotope injuction, aspiration under the fluoroscophy
35) enchocardiography : 초음파 심장검사
- 판막, 심장벽의 두께, 관상 동맥의 모양
36) radioisotope(방사성 동위원소 이용 조영술) : 치료 또는 진단의 목적에 방사능 동위원소로 사용한다.
37) radioimmunoassay(RIA, 방사성 면역측정법) : 혈청 내 항원, 항체, 기타 단백질의 농도를 결정하는 데 이용하는 방사선 기법. 의심되는 단백질과 어떤 방법으로 반응하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에 방사능 표지를 하여 주입 후 반응을 관찰한다.
38) tagging : 꼬리표 붙이기
- tag(소부속기, 폴립, 표지) : 주 구조의 가장자리와 각진 부분에 부착된 작은 조직의 부분.
39) PET scan - positron emission tomography(양전자 방출 단층촬영) : 다양한 인체 구조에서의 대사 활동을 검사하기 위하여 방사성 물질을 사용하는 전산화 방사선 촬영기법. 양전기 입자나 양전자를 방출하는 방사성 물질을 운반하는 글루코오스 같은 생화학제를 흡입하거나 주사한 다음, 양전자가 인체의 세포에서 정상적으로 발견되는 음전자와 결합할 때, γ선을 방출한다. 이 γ선을 탐지하여 침범한 장기의 대사 활동 강도를 색깔로 표시한 상으로 전환한다.
[ Abbriviations 약어 ]
1) AP, PA - anteroposterior, posteroanterior
- mortise view, oblique view
2) 198AU - radioactive gold, ridioisotope of the gold
3) 99mTC - radioactive technetium
< Male Reproductive System 남성 생식계 >
[ Anatomical and Symptomatic Terms 해부학 및 증상 용어 ]
1) testes : 고환(testicle)
2) scrotum : 음낭
3) epididymus : 부고환, 부정소
- 쥐를 굶긴 실험에서 굶어도 정상과 같은 지방율을 보였다.
4) vas deferens(정관) : 음낭에서 올라오고 사정관을 형성하는 정낭과 만나는 고환의 부고환 확장. 신경, 림프, 혈관과 섬유성 결합조직에 의해 닫히고 정삭의 서혜부 관을 통해 지나간다.
5) prostate(전립선) : 성인 남자에게서 방광 경부와 요도의 심부를 싸고 있는 내분비선으로 응고된 정액을 액화시키는 분비물을 생성한다. 근육과 선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골반강 내에 위치하며, 특히 비대해졌을 때 치골 결합 아래쪽, 항문의 복면을 통해 촉진할 수 있다.
6) azoosperimia(무정자증) : 정액 내 정충의 결핍. 정소의 기능 장애, 혼합 화학요법, 부고환의 세관 봉쇄에 의해 생기거나 정관절제술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7) epididymitis(부고환염) : 부고환의 급성적․만성적 염증. 원인은 성병, 요로감염, 전립선염, 전립선절제술 또는 장기간 유치도뇨관을 사용한 경우 등이다. 증상은 오한, 발열, 서혜부 통증과 부고환의 압통과 부종 등이다.
8) prostatitis(전립선염) : 대개 감염의 결과로 인한 전립선의 급성 또는 만성 염증. 환자는 작열감, 빈뇨, 긴박뇨를 호소한다.
9) orchitis(고환염) : 하나 또는 양쪽 고환의 염증으로, 부종과 동통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종종 유행선 이하선염, 매독 또는 결핵에 의해 발생하기도 한다.
10) phimosis(포경) : 포피가 좁아져 귀두가 밖으로 나오지 못하는 상태로 보통 선천적이며 감염으로 인해 초래할 수도 있다. 포피 절개가 주요 치료법으로 음핵에 생기는 경우는 드물다.
11) cryptorchism(잠고환증) : 고환 중 하나나 2개 모두가 음낭으로 내려오지 못해 복부나 서혜부에 잠재해 있는 발달상의 결함.
12) BPH - benign protatic hypertrophy(양성전립선비대증) : 악성 종양이나 염증 소견은 없으나, 보통 점진적으로 진행되며 요도의 폐쇄를 일으켜 요의 흐름을 방해한다. 빈뇨, 야뇨, 동통과 비뇨기계 감염 등의 원인이 될 수 있다.
13) hydrocele(음낭수종) : 주머니 같은 강이나 관, 특히 고환초막이나 정삭을 따라 액체가 모이는 것. 이러한 상태는 부고환 또는 고환의 염증이나, 정관에서 림프관 또는 정맥의 폐색증에 기인한다.
- 고환이 커짐. 구멍이 좁다
14) inguinal hernia(서혜부 탈장) : 장관의 고리가 서혜구로 들어온 탈장. 남자의 경우 때때로 음낭으로 채운다. 서혜부 탈장은 탈장된 부분이 감돈하고, 괴저 또는 폐색으로 장관을 통한 배출물의 통로가 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보통 외과적으로 복구한다.
15) gonorrhea(임질) : 성병의 일종으로 주로 비뇨생식기계에 침범하며, 간혹 인두, 결막, 직장에 침범할 수도 있다. 직접 접촉이나 분비물 접촉으로 감염이 일어난다. 요도염, 배뇨곤란, 화넝성이고 초록빛이 도는 노란색의 요도 또는 질 분비물, 붉고 부어 오른 요도 입구, 요도입구나 질 주위의 가려움, 화끈거림 또는 통증이 있다. 감염이 퍼져 나가면 메스꺼움, 구토, 발열을 일으킨다.
16) syphilis(매독) : 스피로헤타속이 원인인 성적 전염병. 선천성 매독은 자궁 내 감염에 의한 것이며, 후천적인 것은 3개로 증상에 따라 3기로 나누어 치료한다.
- 증상이 거의 없음. 삼차신경․척수 등에도 영향을 미침.
17) trichomoniasis(trichomonas, 트리코모나스 감염) : 원충 질트리코모나스에 의한 질 감염. 가려움증, 화끈거림, 거품이 있고 녹황색을 띠는 질 분비물이 특징이다.
18) testosterone : 테스토스테론
- dihydrotestosterone(디히드로테스토스테론)
19) spermatogenesis : 정자생성
20) seminiferous tubule(정세관) : 고환의 엽에 있는 윤문상의 조직에 싸인 긴 실 모양의 관
- sertoli cell(지주세포), leidig cell, basement membrane
21) sterility : 남성 불임증
22) ejeculatory duct : 사정관
23) seminal vesicle : 정낭
24) asperimia : 무정자증, 무정액증(정액 형성 또는 사정의 결함)
25) chlamidial infection(클라미디아 감염) : 세포내에 기생하는 미생물속으로 일반적으로 그람 음성균의 속성을 가지며 특별한 세균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 일종의 원생층
26) herpes genitalis(성기 포진증) : 주로 성관계에 의해 옮겨지는 단순 포진 바이러스 2형에 의한 만성 감염. 남녀 생식기의 피부와 점막에 통증이 있는 소포발진을 일으킨다. 임신 기간 중 감염은 태아에 전염된다.
- herpes simplex virus(단순포진바이러스)
[ Therapy and Operative Terms 치료 및 수술용어 ]
1) circumcision(포경수술, 환상절개법) : 남성 성기의 포피나 음핵의 귀도 포피를 절제하는 외과적 시술. 신생아 남아에서 널리 시행되고 있다.
2) orchiectomy : 고환절제술
3) orchiopexy(고환고정술) : 음낭으로 하강하지 않은 고환을 음낭으로 이동시켜 다시 올라가지 않도록 음낭에 고정하는 외과적 수술. 고환을 음낭하부와 대퇴 내측으로 고정시키기도 한다.
4) prostatectomy(전립선 절제술) : 양성 전립선비대증에서 시행되는 전립선 일부의 외과적 제거 또는 전립선암에 시행되는 전립선의 전 적출 등이 있다. 대부분 요도를 통해 직장경을 삽입하고 그것을 통해 전립선 조직을 깎아 내어 방광 개구 부위를 잘라낸다.
5) vasectomy(정관 절제술) : 정관의 일부분을 외과적으로 제거하는 남성 불임 시술.
6) vasovasotomy(정관 복원 문합술) : 정관절제술로 절단되거나 결찰된 정관의 말단을 연결하는 외과적 시술. 수정 능력 재생을 위해 실시한다.
7) VDRL - venereal disease laboratory test for syphilis(성병검사) : 매독 진단
8) semen analysis : 정액 분석
9) TUR - transurethral resection of th prostate(경요도절제술) : 요도를 경유한 전립선절제술과 같이 요도를 통한 외과적 수술
10) STD - sexually transmitted disease(성전파 질환) : 일반적으로 생식기 접촉이나 성교에 의해서 얻는 전염성 질환. 5대 성병은 임질, 매독, 연성하감, 서혜부육아종, 임파육아종이다.
11) PSA - prostate specific antigen for malignant tumor(전립선 특이항원) : 전립선에서 생성된 단백질로 전립선암이나 전립선에 생긴 다른 질환에서 상승 현상을 보일 수 있다.
- tumor marker : (예 : α-FP(feto protein), C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