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_______☆/☆Business☆(44)
-
중국온라인 시장 분석(재직자/국비지원/창업교육/타오바오/중국쇼핑몰) 2012.11.29
-
앱 선택시 유료·무료 여부가 중요
"앱 선택시 유료·무료 여부가 중요" 사용후기 중요성 다소 높아져2012.07.25. 수 10:47 입력[민혜정기자] 앱 선택시 유료·무료 여부가 중요하다는 조사가 나왔다. KTH(대표 서정수)는 앱 포털 팟게이트(대표 박무순)와 함께 '2012년 2분기 스마트폰 이용 실태'를 조사한 결과를 25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아이폰 이용자, 안드로이드폰 이용자 모두 앱 선택 시 유료 및 무료 여부가 가장 중요하다고 답했다. 이는 지난 1분기 조사 때와 같은 결과다. 이어서 아이폰 이용자는 '리뷰', '랭킹'을 안드로이폰 이용자는 '사용후기' , '다운로드 수'를 꼽았다. 안드로이드폰 이용자의 경우 1분기때와는 달리 사용후기를 다운로드 수에 비해 더 고려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아이폰과 안드로이드폰의 매뉴얼 ..
2012.07.25 -
페이스북 마케팅의 성공사례, 스타벅스 페이스북(소셜 네트워크) 마케팅 사례 분석
페이스북 마케팅의 성공사례, 스타벅스 페이스북(소셜 네트워크) 마케팅 사례 분석 경기 침체 시, 기업들은 마케팅 비용에 대해 진지한 고민, 기회비용 등에 대해 꼼꼼히 따져보게 된다. 이럴 때일수록 마케터들이 눈을 돌리는 채널은 SNS(Social Network Service)다. SNS 마케팅의 대표적인 성공사례로 꼽히는 커피전문점, 스타벅스의 전략을 분석해 SNS 마케팅 실행에 적용하고 있는 많은 마케터들. 그렇다면 오늘은, 스타벅스의 페이스북 마케팅 성공사례를 낱낱이 분석해보도록 하겠다. SNS.. 단순히 즐길거리, 심심풀이 도구로 이용하고 인식하고 있으나, 이것을 정작 마케팅에 활용함은 상당히 어렵다. 사회적으로 미치는 영향력이나 유저의 참여도로 보면, SNS는 기업들이 마케팅에 활용할만한 충..
2011.09.16 -
글램라이프 “쉿! 명품도 반값 할인”
“48시간 안에 해외 명품을 50% 이상 할인된 가격에 구매하세요. 시간이 지나면 구할 수 없습니다.” 3월7일 문을 연 프라이빗 쇼핑클럽 ‘글램라이프’는 회원제로 ‘비밀’스럽게 운영된다. 비회원에게 상품 정보를 공개하지 않는 게 철칙이다. 회원가입은 운영진의 승인이나 초대를 받아야 가능하다. 명품은 할인 이미지를 알리지 않고 재고를 처리하고, 소비자는 질 좋은 명품을 저렴하게 구할 수 있다. 글램라이프와 비슷한 예로는 프랑스의 ‘방트프리베’와 미국의 ‘길트그룹’이 있고, 국내에는 ‘트리스트’와 ‘프라이빗 라운지’가 있다. 이들 업체는 미국의 그루폰, 국내의 티켓몬스터와는 또 다른 모델이다. 지역 상권을 노리는 공동구매 사이트와 달리 프라이빗 쇼핑클럽은 하나의 상품을 전국에 판다. 글램라이프의 회원은 1..
2011.06.22 -
[소셜커머스]소셜 커머스 진화 방향은?
지면일자 2011.06.22 소셜커머스 사용자들이 바라는 것은 ‘차별 없는 서비스’와 ‘높은 할인율’이었다. 소셜커머스 역시 이러한 방향에 맞춰 서비스를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란 분석이다. ‘소셜커머스가 어떤 형태로 제공되면 더 편하게 이용할 것 같나’라는 문항에 50.1%는 ‘정상가로 카드 결제 후 추후 명세서에서 차감’ 방식을 선호한다고 답했다. 소셜커머스의 고질적 문제로 지적되는 고객 차별 논란을 의식하는 소비자가 그만큼 많은 것으로 풀이된다. 이어 ‘위치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쿠폰 서비스’를 원한 응답자가 28.7%, ‘QR코드 서비스’를 선호한 응답자가 11.9%로 나타났다. 차별 없는 서비스에 대한 욕구를 기반으로 스마트폰을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에 기대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소셜커..
2011.06.22 -
오프라인 소셜커머스의 4가지 트렌드
오프라인 상거래에는 물리적인 제약이 따랐다. 상점과 상품을 탐색하기 위해서 물리적으로 이동해야 했으며, 상거래 경험을 공유하는 것은 같은 물리적 공간에 있는 사람들끼리만 가능했다. 구매 결정에 참고할 수 있는 정보는 상품의 실물, 포장, 간판, 광고물, 판매자의 설명 등에 불과했다. 그런데, 모바일 기술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가 이러한 오프라인 상거래의 물리적 장벽을 허물어뜨리고 있다. 스마트폰의 증강 현실 앱을 이용하면 이동없이 주위 상점과 상품들을 탐색할 수 있다. QR코드로는 상품에 관한 보다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SNS를 이용해 자신의 위치 정보와 상거래 경험을 실시간으로 지인들과 공유할 수 있게 되었다. 디지털화된 상점과 상품을 손 안에 불러와 자유롭게 탐색하고 하이퍼링크로 웹을..
2010.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