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슬로(Maslow)의 5단계 욕구론

2011. 10. 20. 11:56Reference_______☆/☆ETC☆


인간은, 생리적 동기의 충족이 주는 만족에 그치지 않고, 더 고차원적인 형태의 심리적 동기를 추구한다. 동물 역시 생리적 동기를 추구하며 그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활동을 하는데 동물과 인간이 다른것은 여기에 있다. "더 고차원적인 형태로 나타나는 심리적 동기"

1단계 생리적 욕구 ; 신체적 균형을 유지하거나 본능을 충족하는데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욕구.

2단계 안전 욕구 ; 신체나 정서적 위협에서 자신을 보호하고자 하는 욕구.

3단계 사회적 욕구 ; 사회적으로 어느 한 위치에 자리잡고자 하는(인간은 사회적 존재이므로)

소속감을 느끼고자 하는 욕구. 주로 친분 우정 소속감등에 대한 관심으로 나타난다.

4단계 존경욕구 ; 사회적 욕구를 넘어서 어느 한 위치에 자리잡았을 때 인정이나

존경 받고 싶어하는 심리적 욕구.

자기 존중 욕구라고도 볼 수 있으며 자존, 자율, 성취등과 같은 내부적 요인을 포함-

지위, 신분안정, 인정, 관심에 대상이 되기를 원하는 외부적인 요인이 있다.

5단계 자아실현 욕구 ; 자기 발전 또는 본인이 성취하고자 하는 것을 위해

재능과 잠재력을 극대화 하려는 욕구로 가장 높은 수준에 해당된다. 자기 완성에 대한 갈망.

이렇게 매슬로는 다섯가지 욕구가 그 강도와 충족 면에서 계층구조를 형성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각 차원의 욕구가 충족되지 않으면 다음단의 욕구가 생길 수 없다는 것.

예를 들어 사회적 욕구가 충족되지 않으면 자존 욕구나 자아실현 욕구가 생길 수 없다는 사실-

당장 자신의 보호가 급급한 이들에게 사회적인 위치나 자아실현의 중요성을 아무리 설명해도 그들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욕구는 안전 욕구라는 것이다.

그는 극소수의 사람들이 자아 실현을 추구하는 단계로 들어선다고 주장하였다.

나 뿐만이 아니라 항상 의문을 가졌을지도 모른다.(우리 모두는) - 왜 인간은 서로 추구하고자 하는 바가 다르며 행동의 동기도 다른것인지. "왜 저 사람은 저런 행동을 하는 것일까?" 이것은 개개인마다 충족된 욕구의 단계가 다르기 때문에 생기는 당연한 현상에 대한 의문이 아닐까. 추측해본다.



[인간 행동과 심리학 189p 참고]